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뉴스
"
빛
"(으)로 총 4,002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양 따라 고개 돌리는 ‘해바라기’ 태양전지
2015.09.09
달아 방향을 바꿀 수 있게 만든 태양전지가 있었는데, 다른 태양전지에 비해 태양
빛
을 40% 더 많이 모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복잡한 장치 탓에 지붕에 달기에는 무겁다는 단점이 있었다. 스타인 교수는 “이 기술이 상용화되면 태양광 발전에 드는 비용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 ...
고양이 눈동자가 세로로 길쭉한 이유
2015.09.07
나타날 확률이 희박한 위아래에서 오는
빛
은 줄이면서 천적이 출몰하는 좌우에서 오는
빛
은 늘리는 구조다. 파노라마 영상을 밝게 볼 수 있는 장치인 셈이다. 연구자들은 계통분류학적 기법을 써서 눈동자 모양의 진화과정을 재구성했다. 그 결과 눈동자의 모양이 필요에 따라 독립적으로 여러 ... ...
132억 년 전 은하 모습 찾았다
2015.09.06
지구와 더 멀리 떨어져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전까지 가장 멀리서 발견된
빛
은 2009년 탐지된 ‘GRB 09423'으로 적색편이 수치가 8.2로, 지구와는 130억 9500만 광년 떨어져있었다. 이 연구결과는 ‘천제물리학저널(Astrophysical Journal Letters)’ 8월 28일자에 실렸다. ... ...
‘인공 세포핵’ 유전 질환 치료길 연다
2015.09.04
수행한다. 실제로 이 시스템에 발광 유전자를 붙인 뒤 사람의 유방암세포에 넣었더니
빛
을 내는 단백질이 만들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의 유전자 치료는 세포핵 속에 특정 유전자만 삽입하거나 mRNA를 넣어 특정 단백질을 만들게 하는 방식이었지만 효율이 낮다는 한계가 있었다. 인공 ... ...
우리 개도 TV 볼 수 있을까요?
2015.09.04
않았다. 고양이의 시각은 개와 크게 다르지 않다. 고양이의 망막에도 노란색과 보라색
빛
을 구분하는 2가지 원추세포가 있고, 동체시력도 개와 비슷하다. 이웅종 천안연암대 동물보호계열 교수는 “개는 사람의 관심을 받기 위해 노력하는 습성이 있어 TV를 보는 행동을 칭찬하다 보면 TV 시청 ... ...
빛
으로 자원을 만든다! 인공광합성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9.02
민병권 센터장은 인공광합성 장치를 만드는 데 성공했어요. 식물에서는 엽록소가
빛
을 에너지로 사용하도록 도와 줘요. 광합성 과정의 핵심이지요. 인공광합성에서는 태양전지기술이 엽록소의 역할을 대신해요. 이 기술이 만든 전기가 물을 산소와 수소 이온으로 분리하지요. 이때 만들어진 수소 ... ...
“펭귄 위(胃) 속엔 십중팔구 플라스틱 쓰레기 있다”
2015.09.01
집하장에서 처리되지 않고 흘러나온 것들이다. 연구진은 바닷새가 플라스틱의 밝은
빛
때문에 먹이로 착각하거나 무심코 삼키는 경우가 많은데, 이들이 위에 쌓이면서 체중 감소뿐 아니라 나아가 죽음에까지 이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공저자인 반 세빌리 영국 임페리얼 칼리지 박사는 “플라스틱 ... ...
맹점의 생리학
2015.09.01
수도 있지만 암점이 커지면 문제가 된다. 예를 들어 황반변성 같은 경우 황반을 중심으로
빛
의 정보를 처리할 수 없는 변성의 범위가 점점 커지면서 시각이 불완전해지고 결국은 실명에 이를 수도 있다. 그런데 시각훈련을 하면 이런 진행을 억제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속속 발표되고 있다. ... ...
지난해 노벨 화학상 수상자, 새로운 현미경 또 개발
2015.08.30
쏘는 방법 때문이었다. 연구팀은 이를 개선하기 위해 기존 초고해상도 형광현미경보다
빛
을 덜 주는 방법으로 살아있는 세포를 찍을 수 있는 현미경인 ‘SIM(structured illumination microscopy)’을 새로 개발했다. SIM은 광학현미경 해상도의 2배 이상인 높은 해상도로 초당 12프레임으로 영상을 얻을 수 ... ...
수학으로 ‘생체리듬’ 설계했더니, 실제로 움직여
2015.08.28
빛
이 깜빡이며 생체리듬을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 결과는 성공적이었다. 단백질에서
빛
이 깜빡이면서 인공 미생물은 안정적인 생체리듬을 유지하고 있음을 알렸다. 김 교수는 “인공 생체회로 2개를 설계해 안정적인 생체리듬을 구현했다”며 “아직은 기초 단계지만 앞으로 미생물을 이용해 ... ...
이전
337
338
339
340
341
342
343
344
3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