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각"(으)로 총 14,498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터뷰] 가장 중요한 평가 요소는 ‘인성’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진학한 뒤 공부하고 성장하면서 융합과 창의성의 기반을 쌓아나갈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KAIST 교수가 매주 창의공학 특강대전과학고는 교사 62명 중 37명이 수학, 과학, 정보 교사로 이뤄져 있으며, 수학과 과학, 정보 학습을 위한 강의실과 실험실 53곳을 확보하는 등 수학 및 과학에 특화된 ... ...
- 논리적 사고력, 어떻게 키울 것인가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나)의 부모, 자손 그리고 (다)의 x, y, t 사이에 어떤 공통점이 있고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생각해봐야 한다. (다)의 x, y는 좌표에서 위치를 나타낸다. t는 시간이다. 화성의 공전궤도는 공간에 존재한다. 즉, 공간상의 위치를 시간이라는 매개변수로 나타낸 것이 공전궤도 함수라고 할 수 있다. 이를 ... ...
- [인터뷰] 물리학자, 눈결정의 별이 되다수학동아 l2018년 02호
- 조금씩 이해하게 되면 희열을 느끼지요. 느리더라도 꾸준히 눈결정의 비밀을 파헤칠 생각입니다. # 이제 곧 겨울이 끝납니다. 눈결정을 연구하는 과학자들이 많이 아쉬워할 것 같네요. 눈을 볼 수 있는 날짜가 얼마 남지 않았으니까요. 그런데 도대체 눈결정을 연구해서 무엇에 활용할 수 있을지 ... ...
- [INTERVIEW] 끈기와 근성 있다면 도전하세요! 화이트해커 박세준수학동아 l2018년 02호
- 즐기는 것을 하길 바랍니다. 이것은 비단 어떤 분야에만 해당하는 것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본인이 즐겁게 공부할 수 있다면 힘들더라도 꾸준히 하게 되는 동기부여가 될 수 있으니까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안전한 스마트시티 만들 숨은 튜링을 찾아라!Part 1. 이 문제 풀면 나도 ... ...
- [Issue] 설마 내가 우울증? 우울증 검사 직접 받아봤습니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인구 10만 명당 자살률이 30.3명에 달했다. 같은 해 우리나라는 10만 명당 8.8명이었던 것을 생각하면 매우 높은 수치다. 핀란드 정부는 의사, 심리학자 등 전문가 245명을 동원해 심리부검을 했고, 그 결과를 토대로 자살 원인을 분석해 자살예방프로그램을 마련했다. 그 결과 2012년에는 10만 명당 15. ... ...
- [공지] 지구사랑탐사대, 어린이 과학동아 기자단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Q이번 연구를 통해 어떤 결과를 얻었나요?동네 주민들이 매미를 ‘시끄러운 벌레’라고 생각하는 것이 의아했어요. 그래서 매미의 생애 과정과 다양한 종류를 소개해 매미에 대한 인식을 바꾸고 싶었지요. 작년 여름 동안 매미 6종(말매미, 유지매미, 참매미, 쓰름매미, 애매미, 털매미)을 보고, ... ...
- [Issue] 야식의 유혹, 도저히 뿌리치기 어렵다면 ‘착한 야식’을!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그러니까 한 판의 16분의 1만 먹는 걸로 약속해요, 우리. 라면의 열량은 대략 500kcal로 생각보다는 안 높습니다. 물론 열량이 탄수화물에 편중돼 있고, 나트륨 함량이 높아 다양한 영양분을 골고루 섭취할 수 있는 야식은 아닙니다. 만약 아침엔 식욕이 없고, 밤에 야식을 찾으면서, 잠을 못 자는 ... ...
- [Issue] 중국은 어떻게 ‘슈퍼 차이나’가 됐나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결과라고 무시하는 소리도 들린다. 하지만 한국이 반도체 최강자의 자리에 오른 과정을 생각해보면 중국의 현재를 그냥 무시하기는 어렵다. 과거 한국 역시 ‘따라잡기’라는 비판을 받았지만 확실한 목표를 가지고 노력한 결과 지금의 자리에 이르렀다. 반도체 성장의 길을 함께했던 필자가 중국의 ... ...
- [Future] 저항 유전자로 바이러스 막는 ‘슈퍼 가축’ 시대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위험이 있다”며 “AI 저항 유전자를 넣은 형질전환 닭이 AI에는 감염되지 않겠지만, 생각지도 못한 또 다른 질환에 취약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현재 국내에서는 좋은 유전자를 후대에 전해줄 수 있는 전통 육종 방법도 연구 중이다. 유전체에 원하는 유전자가 있는지 확인하는 ... ...
- [인터뷰] “왜?”라고 질문하라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왜 이런 발견을 하려고 했는지, 왜 그런 실험을 했는지, 어떻게 결과를 만들어냈는지 생각해 보는 기회가 중요하다는 판단에서 고안한 방식이다. 김 입학처장은 “평소에 스스로 ‘왜’라는 질문을 많이 던져본 학생이라면 쉽게 답할 수 있을 것”이라며 “좋은 질문을 던지는 사람이 POSTECH이 ... ...
이전3383393403413423433443453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