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용"(으)로 총 15,132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설마 내가 우울증? 우울증 검사 직접 받아봤습니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대상으로 15분간 휴식을 취하게 한 뒤 다시 15분간 심전도를 측정했다. 이어서 이 정보를 이용해 호흡동성부정맥(RSA·Res piratory Sinus Arrhythmia)을 확인했다. RSA는 숨을 들이마실 때 증가하는 심박수와 숨을 내쉴 때 감소하는 심박수의 변동을 의미한다. 분석 결과 우울증 환자가 조울증 환자보다 RSA ... ...
- Part 3. 반 고흐의 그림을 추적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그림의 표면 아래에 숨어 있는 카마인 레이크 성분을 조사한 후,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이용해 을 복원해냈지요. 그 결과 벽은 물론, 벽과 가구에서도 붉은색이 강해졌답니다. 반 고흐가 그림을 그린 시간을 알아내다!고흐는 2000점이 넘는 그림을 남겼어요. 대부분은 고흐가 동생 ... ...
- [Culture] 천재의 공간에서 그를 만나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날개를 움직이는 데 한계가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그는 대안으로 바람을 이용했다. 날개의 형태를 점점 단순화시켜서 사람의 몸 바로 옆에 움직이지 않는 날개가 달린 최초의 글라이더를 생각해냈다. 뿐만 아니라 그는 바람을 파악할 수 있는 풍향계와 낙하산도 설계했다. 라이트 형제가 ... ...
- Part 2. 현실 같은 현실 아닌 가상현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체험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해 ‘공존현실’이라는 개념도 생겼다. 원격에 있는 다수의 이용자들이 함께 영상, 음성, 촉감, 동작, 감성 등을 서로 공유할 수 있는 기술을 뜻한다. 서 대표는 “이런 기술이 개인화된 세상에서 사람들의 외로움을 줄이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그 시작 ... ...
- Part 5. 온 몸이 보안 코드, 생체인증 시대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가까운 층에 머물게 되고, 파장이 길어지면 피부 표면에서 먼 층까지 도달하는 원리를 이용했다. 이 시스템은 타인수락율(FAR·타인의 생체정보를 내 것으로 잘못 인식할 확률)이 0.01%, 본인거부율(FRR·생체인식시스템의 오류로 개인을 식별하지 못하는 등 나를 거부할 확률)은 2% 내외로 기존의 지문 ... ...
- [Future] 뒤로 공중돌기 완벽 성공, 너의 이름은 아틀라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조 선임연구원은 “높은 상자에 올라갈 만큼 강한 힘을 내는 이유는 유체의 압력을 이용한 ‘유압 구동 방식’으로 작동하기 때문”이라며 “사슴이나 고라니를 상상하면 된다”고 설명했다. 몸을 허공에 띄울 만큼 점프력이 좋은데다, 착지했을 때 사람처럼 빠르게 무게중심을 잡거나, 힘이 ... ...
- [Origin] 롯데월드타워의 시간은 빨리 흐른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밝혔다. 2010년 미국 표준기술연구소(NIST)가 두 개의 알루미늄 이온 광격자 시계를 이용해, 하나는 지표면에 두고 하나는 지상 33cm에 놓은 뒤 시간차를 측정한 실험을 진행해 79년간 90억 분의 1초만큼의 시간 차이가 난다는 결과를 얻었는데, 이와 유사한 연구다.doi: 10.1126/science.1192720 이 책임연구원은 ... ...
- [Culture] 과학동아가 선정하는 이달의 책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서로 한정된 영양분을 활용하기 위해 경쟁한다. 또 이들 동물의 행동을 인간이 이용하기도 한다. 코끼리 똥으로 만든 종이, 사향고양이 커피 등이 그렇다. 저자는 대변의 순환과정을 통해 톱니바퀴처럼 맞물려 돌아가는 세상을 관찰하라고 권한다. 대변은 자연계를 구성하는 하나의 작은 부분일 ... ...
- 이공계 직업 정보 [화학&신소재]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물질이 나노 크기가 되면 화학적, 기계적, 전자적, 광학적 특성이 완전히 달라지고, 이를 이용해 기존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려는 연구가 이어지고 있다. 2010년 노벨 물리학상이 돌아간 ‘그래핀’처럼 새로운 나노 소재를 개발할 수도 있고, 반도체 메모리의 집적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나노 기술을 ... ...
- Part 2. 인공지능, 인간 못 넘는다수학동아 l2018년 01호
- 그릴 수 없으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색연필을 더 쓰거나 그래도 안 되면 다른 도구를 이용해 그리려고 노력할 거예요. 하지만 인공지능은 입력받은 기호와 규칙만 가지고 있으니, 색연필 외에 다른 도구를 사용할 순 없어요. 만약 계속 그림을 그리라고 하면 오류가 나고 말거예요 ... ...
이전337338339340341342343344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