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용"(으)로 총 15,13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인공지능, 인간 못 넘는다수학동아 l2018년 01호
- 그릴 수 없으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색연필을 더 쓰거나 그래도 안 되면 다른 도구를 이용해 그리려고 노력할 거예요. 하지만 인공지능은 입력받은 기호와 규칙만 가지고 있으니, 색연필 외에 다른 도구를 사용할 순 없어요. 만약 계속 그림을 그리라고 하면 오류가 나고 말거예요 ... ...
- 시계장인은 수학천재? 태엽 시계의 반란수학동아 l2018년 01호
- 취한 전략이다. 오차가 적고 튼튼하며 값이 싼 쿼츠 시계에 밀린 기계식 시계는 수학을 이용한 예술성을 택했다. 셀레스티아의 균시차 기능이 대표적이다. 해가뜨고 지는 건 지구의 자전 때문인데, 지구는 태양 둘레도 돌고 있다. 따라서 관측자가 볼 때 태양이 원래 자리로 돌아오는 시간인 ‘ ... ...
- 전세계에 수학덕심 퍼뜨리기 전염병주식회사수학동아 l2018년 01호
- 이해하고 예방 방법을 실천하는 게 매우 중요하거든요. 그래서 전염병주식회사를 이용해 홍보 활동을 했던 겁니다. 인류를 멸망시키는 게 목적인 게임이 현실에선 전염병을 예방한다니, 재미있지요 ... ...
- 수학킹 만드는 보드게임 매트리킹수학동아 l2018년 01호
- 즐길 수 있어요. 각 게임은 모두 사각형 모양의 격자 위에서 진행해요. 대전모드를 이용하면 2~4명이 동시에 대결을 펼칠 수 있고, 컴퓨터와 레벨을 높여가며 대결할 수도 있습니다. 오늘은 두 명이서 게임을 한다고 가정하고, 먼저 하는 사람을 빨간색, 나중에 하는 사람을 파란색으로 표시해서 ... ...
- Part 2. 호모 사이보그, 신분증이 내 몸속에!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심은 건 쌀 한 톨 정도 크기의 ‘RFID칩’이었어요. 이 칩은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를 이용해 신분을 식별(Identification)하는데 주로 쓰여 ‘RFID’라고 불리지요. 또는 ‘전자태그’라고도 부른답니다. 이 칩 안에는 안테나와 집적회로가 들어 있어요. 집적 회로 안에는 신분에 대한 정보나 은행 계좌 ... ...
- Part 1. 현대 기술로 재탄생한 반 고흐의 그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형태로 접을 수 있지요. 이를 ‘DNA 종이접기’라고 한답니다. 연구팀은 이 기술을 이용해 붉은색을 띠는 빛의 파장만 반사하는 구조로 DNA를 접었어요. 그다음 동전 크기의 유리판을 6만 5000여 개의 구역으로 나누고,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어떤 부분에서 붉은빛이 나와야 유리판에 ...
- [과학뉴스] AI로 마음껏 날아다니는 ‘가상 새’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수 있을까. 국내 연구팀이 가상으로 만든 비행생명체(오른쪽 그래픽)를 인공지능(AI)을 이용해 자동으로 제어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제희 서울대 컴퓨터공학부 교수팀은 컴퓨터 시뮬레이션에 AI ‘알파고’에 적용된 딥러닝 기반 강화학습 기법을 적용해, 가상의 비행생명체가 장애물을 피해 ... ...
- [Culture] 이황화결합과 가교결합, 크루아상 & 애플파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식빵이나 시골빵 등을 만들 때에는 밀가루에 물을 조금씩 넣으면서 손이나 기계를 이용해 오랫동안 치댑니다. 이렇게 치대는 동안 밀가루 반죽 안으로 공기가 들어가고, 단백질인 글리아딘(gliadin)과 글루테닌(glutenin) 사이에서 환원성이 강한 설프하이드릴기(-SH)가 산화되면서 이황화 결합(S-S)이 ... ...
- Part 2. 현실 같은 현실 아닌 가상현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체험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해 ‘공존현실’이라는 개념도 생겼다. 원격에 있는 다수의 이용자들이 함께 영상, 음성, 촉감, 동작, 감성 등을 서로 공유할 수 있는 기술을 뜻한다. 서 대표는 “이런 기술이 개인화된 세상에서 사람들의 외로움을 줄이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그 시작 ... ...
- Part 5. 온 몸이 보안 코드, 생체인증 시대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가까운 층에 머물게 되고, 파장이 길어지면 피부 표면에서 먼 층까지 도달하는 원리를 이용했다. 이 시스템은 타인수락율(FAR·타인의 생체정보를 내 것으로 잘못 인식할 확률)이 0.01%, 본인거부율(FRR·생체인식시스템의 오류로 개인을 식별하지 못하는 등 나를 거부할 확률)은 2% 내외로 기존의 지문 ... ...
이전3383393403413423433443453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