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용"(으)로 총 15,132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승재의 매스일레븐2] 절대 질 수 없는 더비 매치 수학이 점친다!수학동아 l2018년 02호
- 모형에 더해지기도 했지요. 2016년 스위스 로잔 연방공과대학교 연구팀은 기계학습을 이용해 승리 팀을 예측하는 알고리듬을 만들었습니다. 유로 2016에 참가한 팀의 자료와 선수의 경기 기록을 바탕으로 경기마다 각 팀이 이길 확률을 알려주는 통계 모형을 개발한 겁니다. 그 결과 40경기 중 26경기의 ... ...
- Part 3. 빙하를 감시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빙하가 어떻게 변하고, 녹고 있는지를 알아야 해요. 그래서 과학자들은 다양한 방법을 이용해 빙하의 변화를 감시하고 있어요. 최근 미국 워싱턴대학교 응용물리학 연구소 연구팀은 ‘씨글라이더’와 ‘EM-APEX’라는 잠수 로봇을 개발해 남극의 빙붕 아래를 관측할 계획이라고 발표했어요 ... ...
- Part 3. 로봇이 스키를 타는 비결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카메라와 뇌를 담당하는 인공지능, 감각 기관을 대신하는 센서, 몸을 움직이는 모터 등을 이용하지요. 카메라가 영상을 찍으면 이를 인공지능이 분석해서 최적의 경로를 만들어요. 그러면 관절에 달린 모터를 움직여서 무게중심을 이동해 방향을 돌리고, 압력, 기울기 센서를 통해 넘어지지 않도록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열을 흡수하기 때문에 열을 빼앗긴 주변 물체들의 온도가 내려간답니다. 이 성질을 이용해 차가운 온도를 유지시킬 때 주로 사용하지요. 한편 드라이아이스에서 나오는 연기는 수증기예요. 드라이아이스가 주변의 열을 빼앗아 공기가 차가워지면 공기 중 습기가 얼어서 하얀 연기가 피어오른 ... ...
- [Issue] ‘지진의 나라’ 이탈리아는 지금, 인공위성으로 지진 모니터링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기업은 ‘건축구조물의 블랙박스’라고 부르는 무선 센서를 개발했다. 이 센서를 이용해 건물의 구조적인 진동을 측정해 클라우드 플랫폼에 전송하는 원리다. LF시스템이라는 벤처기업은 ‘퀘이크 세이버’라는 지진 등 재난이 발생했을 때 건물 내에서 문이 닫혀 탈출을 방해하지 못하도록 ... ...
- [번외종목] 스키로봇챌린지, 8봇 8색 도전! 로봇 스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없다”며 견고한 내구성을 자랑했다. 태권브이의 전략은 단순하다. 하나의 카메라만 이용해서 기문을 인식한다. 전 이사는 “스키로봇 제어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50대 50으로 중요하다”며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알고리즘이 너무 복잡하면 오히려 문제가 생길 여지가 많다”고 말했다 ... ...
- [Future] 그림이 열일 하는 메디컬 일러스트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국내에서는 메디컬 일러스트가 생소하다. 국내 작가들이 그리는 일러스트는 대부분 어린이용 동화책에 쓰이며, 전문적인 메디컬 일러스트는 해외에 의존하고 있다. 의학 분야를 전문적으로 그리는 작가가 거의 없고, 일러스트 저작권에 대한 법률도 제대로 마련돼 있지 않다. 작가가 의학적 지식을 ... ...
- [규정] 도핑 ZERO ‘클린 올림픽’ 만든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테스트하는 기술도 준비해왔다. 유전자 도핑은 유전자 교정 기술인 ‘크리스퍼’를 이용해 근육량이나 순발력, 지구력 등을 결정하는 유전자를 편집하는 기술이다. 기존의 금지 약물이 세포 수용체에 작용해 약효를 나타냈던 것에 반해 유전자 도핑은 유전자에 직접 작용해 약물의 효과를 나타낼 수 ... ...
- [Culture] 기계공학자의 눈으로 본 라테, 위스키 그리고 와인과학동아 l2018년 02호
- 효과는 사실 ‘와인의 눈물’로 잘 알려져 있다. 와인을 마실 때 우리는 보통 둥근 잔을 이용해 ‘스월링(와인을 마실 때 잔을 빙그르르 돌리는 행위)’을 한다. 와인의 고유한 향을 잔의 중심에 모으기 위해서다. 그런데 이때 시각적으로도 흥미로운 현상이 생긴다. 잔의 표면을 따라 와인이 ... ...
- [Career] 땀과 공기 통하는 숨 쉬는 전자피부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넣어서 샌드위치 구조로 만들고, 온도에 따라 고분자물질의 부피가 변하는 현상을 이용해 그에 따른 자기장 변화를 측정하는 방식이다. 전례가 없는 방식이어서 숱한 시행착오를 겪고 있다. 정우성 석사과정 연구원은 최근 의미 있는 성과를 거뒀다. 고분자물질이 부피가 변하는 과정에서 고정되지 ... ...
이전3333343353363373383393403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