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d라이브러리
"
발표
"(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내 이름은 어디 있나요?
수학동아
l
2017년 03호
입학을 허락하지 않았어요.독일 수학자 카를 바이어슈트라스의 도움으로 논문을
발표
했어도 남편의 상점에서 조수로 일해야 했어요. 유럽의 대학교들이 여자 강사를 고용하지 않았기 때문이에요.독일 수학자 에미 뇌터도 대학 입학 때문에 고생했어요. 뒤늦게 학교를 다녀 교수가 됐지만 남자 ... ...
[과학뉴스] 에너지 없이 지붕 식히는 필름?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뜨거워진 물체를 추가 에너지 투입 없이 식힐 수 있는 신소재가 개발됐다.미국 콜로라도대 기계공학과 연구팀은 전기장 안에서 극성을 띠는 절연체인 유전체(dielectricmaterial)로 만든 ...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것으로 기대했다. 연구 결과는 학술지 ‘사이언스’ 2월 9일자에
발표
됐다 ... ...
[과학뉴스] 해리포터 이름을 딴 새로운 게 발견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학계에 보고되지 않았던 새 종이라는 사실을 밝혀내 국제학술지 ‘주키스’ 1월 23일자에
발표
했다.해리플랙스 세베루스는 길이와 너비가 1cm 미만이며, 달걀 모양의 등껍질은 표면이 우툴두툴하다. 또 어두운 심해에 적응하면서 눈 크기가 작아지고 촉각이 발달했다. 응 교수팀은 두 가지 뜻을 담아 ... ...
[과학뉴스] 조울증 일으키는 단백질 실마리 찾아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치료의 새로운 실마리가 될 수 있는 연구결과를 국내 연구진이
발표
했다.서판길 UNIST 생명과학부 교수와 김정훈 포스텍 생명과학과 교수 공동연구팀은 피엘씨감마원(PLCγ1)이라는 단백질의 기능 이상이 조울증 발생의 핵심 요인이라는 것을 밝혔다. PLCγ1은 뇌의 신호전달을 담당하는 단백질로, 서 ... ...
[과학뉴스] 지중해에서도 젠트리피케이션 시작!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동부 지중해 해조류의 서식지가 사라지고 있다고 학술지 ‘생물침투 관리’ 1월 23일자에
발표
했다.연구팀은 독가시치의 일종인 시가누스 루리두스(Siganus luridus) 등이 해조류 생태계를 파괴했으며, 홍해산 홍합이 이스라엘 토착 홍합종을 대체한 것을 확인했다. 1970년부터 2015년까지 35년간 750여 개의 ... ...
[Issue] 미세먼지 의문을 털다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미세먼지 농도에 따라 좋음, 보통, 나쁨, 매우 나쁨으로 표시하며 PM10과 PM2.5를 나눠
발표
한다. 2015년부터는 미세먼지 경보제도 전국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PM10이 2시간 넘게 평균농도 150μg/m3 이상으로 지속되면 주의보가, 300μg/m3 이상이면 경보가 발령된다. PM2.5는 같은 조건으로 90μg/m3 이상이면 ... ...
[Origin] 겨울잠과 잠을 동시에 자는 여우원숭이?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또 그 나무 구멍의 환경에 적응해 겨울잠 패턴이 달라졌다는 점이다(2004년 ‘네이처’
발표
).곰곰히 생각해보면 여우원숭이 입장에서는 체온을 바꿔야만 한다. 능력이 아무리 특출한 원숭이라도 매번 단열이 잘 되는 나무 구멍을 고를 수는 없다. 따라서 환경에 따라 겨울잠 패턴을 바꿀 수 있도록 ... ...
[Career] 꿈의 연구실에서 만든 꿈의 다이오드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장벽을 측정해 이론을 검증한 것이다. 이 연구 결과는 ‘나노레터스’ 1월호에
발표
했다.박 교수는 “스스로 할 수 있어야 유레카의 순간도 경험할 수 있다”며 “앞으로도 연구원들이 숨어 있는 창의성을 드러낼 수 있도록 키워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
Part 1. 기후변화 회의론에 대한 회의론 8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지적한다). 최근 미국 워싱턴대 연구팀이 ‘네이처 지오사이언스’에 그 이유를
발표
했다. 남반구에서는 수심 수천 m 아래에 가라앉아 있던 차가운 물이 용승해서 해빙을 지속시킨다는 것이다(논문➋).FACT C남승일 극지연구소 극지고환경연구부 책임연구원은 “기후변화 현상은 온난화뿐만이 ... ...
[Future] ‘마음의 창’을 열다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커져 보인다. 긴 망원경을 압축시켜서 눈 가장자리에 붙여 놓은 셈이다(구글이 2013년
발표
한 구글 글래스도 비슷한 원리다). 2.8배가 성공했으니, 20배도 시간문제일 가능성이 높다.문제는 다른 데 있다. 인공 눈의 영상을 뇌로 전달하기가 어렵다. 드라마에서는 영상 정보가 대뇌의 일차시각피질(시각 ... ...
이전
337
338
339
340
341
342
343
344
3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