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d라이브러리
"
발표
"(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기후변화 회의론에 대한 회의론 8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지적한다). 최근 미국 워싱턴대 연구팀이 ‘네이처 지오사이언스’에 그 이유를
발표
했다. 남반구에서는 수심 수천 m 아래에 가라앉아 있던 차가운 물이 용승해서 해빙을 지속시킨다는 것이다(논문➋).FACT C남승일 극지연구소 극지고환경연구부 책임연구원은 “기후변화 현상은 온난화뿐만이 ... ...
어기면 일어나는 비극, 해녀의 법칙
수학동아
l
2017년 03호
12월 13일 개럿 하딘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산타바바라 생물학과 교수가 사이언스지에
발표
했다. 지하자원이나 바다에 사는 물고기처럼 모든 사람이 함께 사용할 자원을 마구잡이로 사용하면 결국 고갈된다는 내용이다.그중 공유지를 이용하는 목동 이야기가 있다. 여러 목동들이 양을 기를 수 있는 ... ...
선을 넘은 사랑, 혜성을 만들고 죽이다
수학동아
l
2017년 03호
반비례하기 때문이다. 조석력을 계산하려면 영국의 수학자 브룩 테일러가 18세기에
발표
한 ‘테일러의 정리’를 사용해 근삿값을 구해야 한다. 테일러의 정리를 이용하면 분모가 서로 다른 분수의 뺄셈을 다항식으로 바꿔 풀 수 있다. 뉴턴의 직접적인 후계자로 미분학★을 연구한 테일러가 뉴턴의 ... ...
Part 2. 미시세계 꿰뚫는 열쇠, 수학
수학동아
l
2017년 03호
정리해 ‘브래그 조건(오른쪽 그림 참고)’을 만족할 때 이런 무늬가 나타난다고
발표
했다. 이에 대한 공로로 1915년에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물질의 구조를 분석하려면 회절 무늬를 분석해야 한다. 이때 ‘푸리에 변환★’을 쓴다. 푸리에 변환은 계산이 복잡해서 1940년대까지는 소금 결정인 ... ...
[과학뉴스] 전기 없이 작동하는 메모리 소자 나올까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수 있다는 기존 이론을 실제로 확인하고 그 결과를 ‘네이처 피직스’ 1월 31일자에
발표
했다.자성체 안에는 자기적인 상태가 같은 여러 개의 구역이 있는데 이를 ‘자구’라 하고, 자구 사이의 경계를 자구벽이라 부른다.자구벽은 전하 이동도가 높고 저렴하게 만들 수 있어 메모리 소자로 활용될 ... ...
[과학뉴스] 조울증 일으키는 단백질 실마리 찾아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치료의 새로운 실마리가 될 수 있는 연구결과를 국내 연구진이
발표
했다.서판길 UNIST 생명과학부 교수와 김정훈 포스텍 생명과학과 교수 공동연구팀은 피엘씨감마원(PLCγ1)이라는 단백질의 기능 이상이 조울증 발생의 핵심 요인이라는 것을 밝혔다. PLCγ1은 뇌의 신호전달을 담당하는 단백질로, 서 ... ...
[Issue] 과학·공학·의학 발달의 일등공신 ‘히든 피겨스’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업무도 이렇게 분석해 논문으로
발표
했습니다. 간호행정 논문이 197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발표
되기 시작한 걸 고려하면, 박명자는 이 분야의 선구자인 셈이죠.1903년 한국 최초로 정규 간호 교육을 시작한 보구여관.선교사 마가렛 에드먼드(가운데)가 주도했다. 그 외에도 많은 간호사가 한국의 ... ...
[Origin] 잠자는 사자는 과연 너그러운 걸까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윌리엄스는 노화가 어떻게 진화했는지 설명하는 이론을 1957년에 학술지 ‘진화’에
발표
해 학계의 주목을 끌었다.놀랍게도, 문제는 노화만이 아니었다. 윌리엄스는 전문적인 진화학자들조차 모든 형질이 어떤 식으로든 유익했기 때문에 자연 선택됐다는 식으로 게으른 설명을 남발하는 현실에 ... ...
[Future] 전자회로의 ‘미싱링크’ 멤리스터는 존재하는가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되찾았다.하지만 그로부터 7년 뒤인 2015년 ‘사이언티픽 리포트’에 한 편의 논문이
발표
됐다. ‘잃어버린 멤리스터는 아직 찾지 못했다’라는 이 논문의 저자 사샤 폰게르 중국 난징대 고체마이크로구조국립연구소 연구원은 “HP가 개발한 멤리스터는 진짜 멤리스터가 아니”라고 주장한다. 대관절 ... ...
[Future] 주목받지 못한 반도체 영웅, 강대원 박사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살아계셨다면 노벨상도 충분히 받을 수 있는 발명이라고 생각합니다.” 국내 반도체 학계의 원로인 김석기 고려대 전기전자공학부 명예교수는 강대원 박사의 업적에 대 ... 주관)에서도 강 박사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올해 처음 ‘강대원 상’을 제정해 2월 15일 첫 수상자를
발표
했다 ... ...
이전
335
336
337
338
339
340
341
342
3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