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표"(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은 외계어!수학동아 l2017년 04호
- 최근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생명체가 있을 가능성이 있는 행성을 7개나 발견했다고 발표했다.NASA가 발견한 행성 7개의 상상도. 이 중 6개는 지구처럼 암석으로 이뤄져 있고,기온이 물이 액체 상태일 정도라 생명체가 있을 가능성이 높다. 이강환 서대문자연사박물관 관장은 “이번에 발견한 행성 ... ...
- [과학뉴스] 우주선 폭발 막는 광섬유 신경망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세계 최초로 개발해 ‘컴포지트 사이언스 앤드 테크놀로지’ 온라인판 2월 28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복합재료 안에 광섬유를 매설했다. 만약 충격으로 재료 내부가 손상되면 광섬유를 통과하는 빛이 바뀐다. 센서로 이를 검출하면 정확한 손상 위치와 정도를 알아낼 수 있다. 권 책임연구원은 ... ...
- [Future] 국내 최고 높이, 롯데월드타워는 바람에 안전할까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비율(테이퍼링 비율)에 따른 바람의 영향을 실험해 국제학술지 ‘풍공학과 공기역학’에 발표했다(doi:10.1016/S0167-6105(02)00286-6). 그 결과 바람이 건물의 정면으로 불어올 때는 예상대로 테이퍼링 비율이 작을수록(위·아래 길이의 차이가 클수록) 바람에 잘 견뎠지만, 측면에서 불어오는 바람에서는 ... ...
- [Origin] 고생대의 문제적 동물, ‘툴리 괴물’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일종이라면, 알려진 유일한 화석 종이 되는 겁니다.”작년에 ‘네이처’에 논문을 발표한 두 연구팀은 모두 살란 교수의 반박을 반박할 후속 논문을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툴리 괴물 논쟁의 다음 막이 오르기 직전이다. 또 어떤 논의가 시작될지, 흥미롭게 지켜보자. +더 읽을거리빅토리아 맥코이 ... ...
- [Culture] 이상한 용손 이야기과학동아 l2017년 04호
- 호랑이 머리를 구해서 용이 산다는 물속에 던졌다고 합니다.”그날 한 아이가 그렇게 발표했다. 쉬는 시간마다 중학교나 고등학교 문제집을 펴서 푸는 척만 하지만 실제로 풀 줄은 모르던 이상한 놈이었는데, 그날만은 그 얼토당토않은 아이의 말이 가슴을 헤집었다.뭔지 알 것 같았다. 나는 용의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스타인버그의 추측수학동아 l2017년 03호
- 물음에 대해 연구해 왔습니다. 그 대표적인 예가 1959년 독일 수학자 헤르베르트 그뢰치가 발표한 ‘그뢰치의 정리’입니다. 삼각형이 없는 평면그래프는 3색으로도 칠할 수 있다고 밝힌 겁니다.4색 정리는 증명 과정이 너무 길어서 다 읽고 확인한 사람이 없습니다. 증명이 맞는지도 컴퓨터가 ... ...
- [과학뉴스] 프리온, 효모에게는 ‘이로운 물질’과학동아 l2017년 03호
- 프리온이 열 스트레스로부터 효모를 보호한다는 연구 결과를 ‘셀 리포트’ 1월 20일자에 발표했다.연구에서 핵심이 된 ‘Lsb2’는 세포골격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단백질로, 여타 단백질처럼 오래 유지되지 않을 뿐더러 열에 약하다. 하지만 Lsb2가 열에 강한 프리온을 만나면 준안정 ... ...
- [과학뉴스] 해리포터 이름을 딴 새로운 게 발견과학동아 l2017년 03호
- 학계에 보고되지 않았던 새 종이라는 사실을 밝혀내 국제학술지 ‘주키스’ 1월 23일자에 발표했다.해리플랙스 세베루스는 길이와 너비가 1cm 미만이며, 달걀 모양의 등껍질은 표면이 우툴두툴하다. 또 어두운 심해에 적응하면서 눈 크기가 작아지고 촉각이 발달했다. 응 교수팀은 두 가지 뜻을 담아 ... ...
- [과학뉴스] 지중해에서도 젠트리피케이션 시작!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동부 지중해 해조류의 서식지가 사라지고 있다고 학술지 ‘생물침투 관리’ 1월 23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독가시치의 일종인 시가누스 루리두스(Siganus luridus) 등이 해조류 생태계를 파괴했으며, 홍해산 홍합이 이스라엘 토착 홍합종을 대체한 것을 확인했다. 1970년부터 2015년까지 35년간 750여 개의 ... ...
- [Career] 꿈의 연구실에서 만든 꿈의 다이오드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장벽을 측정해 이론을 검증한 것이다. 이 연구 결과는 ‘나노레터스’ 1월호에 발표했다.박 교수는 “스스로 할 수 있어야 유레카의 순간도 경험할 수 있다”며 “앞으로도 연구원들이 숨어 있는 창의성을 드러낼 수 있도록 키워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
이전3343353363373383393403413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