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위논문
논제
시문
석사논문
석사
박사 학위 논문
글
뉴스
"
논문
"(으)로 총 6,597건 검색되었습니다.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과학적 인본주의자의 길
2020.07.30
B9%98%EB%A1%9C%EC%84%9C%EC%9D%98-%EA%B3%BC%ED%95%99/ -과학전쟁에 대해서는 내 글 혹은 홍성욱의 다음
논문
을 참고할 것. https://www.sciencetimes.co.kr/news/%EA%B3%BC%ED%95%99%EA%B3%BC-%EC%9D%B8%EB%AC%B8%ED%95%99-%EA%B7%B8-%EC%B6%A9%EB%8F%8C%EA%B3%BC-%EB%8C%80%ED%99%94/ -홍성욱. (1997). 누가 과학을 두려워하는가. 최근" 과학전쟁"(Science Wars) 의 ... ...
세포 신호 전달자 엑소좀, 암세포가 치료 회피에 이용
연합뉴스
l
2020.07.29
과학자들이 영국 암연구소(Cancer Research UK)의 자금 지원을 받아 진행했다. 관련
논문
은 28일(현지시간) 유럽 분자생물학기구가 발행하는 '엠보 저널(EMBO Journal)'에 실렸다. 연구를 주도한 데보라 고베르단 부교수는 "이런 불량 엑소좀은 주변 암세포의 성장을 자극하고 더 공격적인 유형으로 변하게 ... ...
암세포 잡는 T세포, 공격 전환의 급소 찾았다
연합뉴스
l
2020.07.28
"면역학자들이 T세포 수용체를 연구한 지 30년이 넘었는데 놀랍게도 RK 모티프가 (연구
논문
등에) 인용된 적은 한 번도 없다"라고 말했다. 이렇게 중요한 RK 모티프가 그동안 연구자들의 눈길을 피할 수 있었던 이유도 밝혀졌다. RK 모티프는 T세포의 비정상적인 활성화를 막기 위해 '은닉' 상태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토콘드리아 게놈 편집 성공했다
2020.07.28
찾은 효소로 이런 환상적인 결과물을 만들어낼 수는 없었을 것이다. 두 사람은 이번
논문
의 공동교신저자로 이름을 올렸다. 이런 걸 두고 윈윈 효과라고 하는 게 아닐까. ※필자소개 강석기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일했다.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 ... ...
'위험한 조합' 코로나19와 폭염…취약층 또 한 번 위기
연합뉴스
l
2020.07.28
있다는 점이다. 지난 2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Nature Communications)에 실린
논문
을 보면 1960년부터 2012년 사이 북반구에서 '유달리 더운 날'이 닷새 이상 늘었고 이날들은 다른 날들보다 기온이 약 1.5도 높았다. 또 온실가스를 줄이지 못하면 2100년에는 북반구 대부분 지역에서 여름철 ... ...
"슈퍼전파자 외엔 코로나 실내 공기전파 위험 높지 않아"
동아사이언스
l
2020.07.28
JAMA) 네트워크 오픈’ 27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5월 20일까지 발표된 연구
논문
을 이용해 코로나19 환자의 비인두와 객담(가래)의 바이러스량 데이터를 확보했다. 이를 이용해 흉수의 바이러스 데이터를 추정하는 식을 만들고, 여기에 호흡이나 기침 시 발산하는 미세한 입자의 크기와 수, 이를 ... ...
하버드 의대 연구진 "신종 코로나, 후각 뉴런 공격 못 한다"
연합뉴스
l
2020.07.28
않고 신경계 혈관 세포에 감염해 뇌 기능을 방해한다는 가설과 일치하는 것이다.
논문
의 수석저자인 다타 교수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후각) 뉴런을 직접 공격하는 게 아니라 뉴런 지지 세포 등의 기능을 손상하는 것 같다"라면서 "감염증이 사라진 뒤 후각 뉴런이 새로운 거로 대체되거나 ... ...
금세기말 아시아엔 큰 비 많이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27
도쿄도립대 연구팀이 슈퍼컴퓨터와 기상 모델을 이용해 연구한 결과를 요약한
논문
속 그래프다. 최근 30년의 강수(색) 및 바람 방향(화살표)를 100년 뒤인 2075~2112년의 예상 기후와 비교했다. 초록색이 짙을수록 강수량이 느는 지역이고, 노란색이 짙을수록 줄어드는 지역이다. 굵은 점선 부위기 ... ...
조용한밤 시계소리…어떤땐 잘들리고 어떤땐 안들리는 이유?
연합뉴스
l
2020.07.27
자극의 강도가 그 순간의 신경계 흥분성에 따라 달라지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논문
제1 저자인 MPI CBS 박사과정생 틸먼 스테파니는 "다른 과정이 이 부분에서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당신이 주의를 다른 것으로 돌려도 이전의 사물에 대한 강한 뇌 반응은 계속 일어날 수 있다"며 ... ...
"네안데르탈인 통증 문턱 낮아"…일부 현대인에게도 유전
연합뉴스
l
2020.07.24
이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카롤린스카연구소와 막스 플랑크 연구소에 소속된
논문
제1저자 휴고 제베르크 박사는 "이온 통로를 관장하는 네안데르탈인 유전자는 아미노산 3개가 다른데, 1개만 다를 때는 이온 통로 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았지만 3개가 모두 다를 때는 통증 민감도를 높이는 ... ...
이전
336
337
338
339
340
341
342
343
3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