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위논문
논제
시문
석사논문
석사
박사 학위 논문
글
뉴스
"
논문
"(으)로 총 6,470건 검색되었습니다.
방대본 "덱사메타손 염증 줄일 뿐 근본적 치료제 아냐"
동아사이언스
l
2020.06.17
(덱사메타손과 관련해) 임상시험을 해서 중증도를 낮추거나 하는 데 효과가 있었다는
논문
이 발표됐다”며 “(덱사메타손이) 스테로이드 계통의 약물로 오래 전부터 써왔던 그런 흔한 약물로 염증반응을 좀 줄여주는 목적으로 사용이 되고 있고, 일부 병원에서도 그런 목적으로 처방이 되고 있는 ... ...
코로나에 친구랑 못 노는 아이들 정신건강에 빨간불
연합뉴스
l
2020.06.17
우울증과 불안증 증가라고 보도했다. 지난 4월 미국 의사협회 저널 소아과학에 실린
논문
을 보면 중국 후베이성(湖北)에서 두 달 이상 자택격리됐던 초등학생 1천784명을 조사한 결과 우울증과 불안증 증상을 보인 학생이 각각 23%와 19%에 달했다. 아동과 청소년 정신의학 전문가인 리베카 라이알론 ... ...
항염증 스테로이드제 '덱사메타손' 중증환자 치료효과 렘데시비르보다 탁월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17
효과를 확인했다고 16일(현지시간) 예비 결과를 발표했다. 정식 데이터는 향후
논문
으로 공개할 예정이다. 리커버리 프로젝트는 영국 내 코로나19 환자 및 정상인 1만1500명 이상이 참여한 초대형 코로나19 임상시험 프로젝트다. 기존에 코로나19 치료제 가능성이 제기됐던 에이즈약 칼레트라 ... ...
코로나19 회복 환자서 얻은 수천 종 '항체 칵테일' 치료 효과 쏠쏠하네
동아사이언스
l
2020.06.17
발굴도 봇물 이날 사이언스에는 새로운 단일클론항체를 발굴한 연구 결과도 세 편
논문
으로 공개됐다. 미국 스크립스연구소와 국제비영리기구인 국제에이즈백신이니셔티브(IAVI)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 의대팀은 중등 및 중증 코로나19 환자 3명에게서 항체를 생산하는 면역세포(B세포) 1800여 개를 ... ...
[의학바이오 게시판] 생체막 모방형 물질 발라 이물면역반응 감소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06.16
발간하는 국제학술지 ‘바이오매터리얼즈 사이언스’ 지난 3월 21일자 표지
논문
으로 발표됐다. ■ 고려대 구로병원은 마다가스카르에 병리조직 및 세포 자동염색기와 자동봉입기를 기부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들 도구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진단을 위해 필요한 ... ...
'배터리 천하통일' 리튬이온배터리에 도전할 고성능 나트륨이온배터리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16
)로 조절해 에너지 변환 효율을 높이고 수명도 늘린 새로운 음극재를 완성했다. 연구팀은
논문
에서 “이들을 조합한 결과 1kg에 280Wh(와트시)의 전기를 저장하는 에너지 밀도를 지니고 에너지 효율은 78%인 나트륨이온배터리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며 “이는 현재 사용되는 리튬이온배터리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수소는 진정한 ‘그린연료’로 거듭날 수 있을까
2020.06.16
말미에서 가시광선의 넓은 파장 범위에서 빛을 흡수하는 새로운 광촉매 개발을 보고한
논문
두 편을 소개했다(각각 2018년 ‘네이처 촉매’, 2019년 ‘네이처 재료’에 실렸다). 여기에 자신들이 개발한 보조촉매 개념을 적용하면 양자 효율이 10%에 이를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궁금해서 두 본문을 ... ...
[인터뷰] 코로나19 변종 초강력 전염성 첫 연구한 재미 최혜련 교수
연합뉴스
l
2020.06.16
연구했다. 4월 중순부터 연구를 시작해 6월 초에
논문
을 냈다. 이렇게 짧은 시간에
논문
을 쓴 적이 없다. 그만큼 경쟁이 심해 그랬는데, 함께 고생한 연구진에게 너무 감사하다. -- 코로나19가 여전히 확산하고 있다. 전문가로서 하고 싶은 말씀은. ▲ 이 바이러스와 같은 계열인 사스 바이러스가 1 ... ...
"코로나19 항체, 최장 2개월간 지속"
연합뉴스
l
2020.06.16
항체(면역반응)가 형성됐을 수도 있다고 연구팀은 덧붙였다. 이 연구 결과는 연구
논문
을 해당 분야 전문가들의 검토 전에 미리 공개하는 사이트인 MedRxiv에 실렸다. ... ...
코로나19 세포 침투력 강해졌다지만 실제 감염력 차이 아직 모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15
두 조각으로 나눈다. 이 과정 이후 비로소 사스코로나바이러스-2는 인체세포에 침투한다.
논문
에서 연구팀은 스파이크 단백질의 614번 아미노산의 변이에 주목했다. 약 3만 개로 이뤄진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게놈에서 2만3402~2만3404번 염기에 발생한 변이로, 스파이크 단백질의 614번 아미노산을 ... ...
이전
334
335
336
337
338
339
340
341
3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