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치
정리
배합
정돈
순서
배포
병치
뉴스
"
배열
"(으)로 총 685건 검색되었습니다.
손 안 대고 기체로 반도체 한꺼번에 조립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11
그 결과 머리카락 굵기보다 얇은 0.02mm 두께의 휘어지는 반도체칩을 손상 없이 기판에
배열
하고 이를 0.002mm 이내의 오차 범위 내에서 쌓을 수 있는 장비를 완성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열에 의한 변형이 적고 시간당 반도체 생산량을 기존 후공정에 비해 100배 이상 높일 수 ... ...
[사이언스N사피엔스]19세기 화학의 정점 주기율표의 성립
2020.06.11
원자량에 따라서가 아니라 원자 속의 양의 전기를 띠는 요소인 양성자의 개수에 따라
배열
된다. 즉, 원자의 양성자 개수가 원소를 특정하는 지표이다. 이에 따르면 텔루륨은 52번, 요오드는 53번이다. 역시나 멘델레예프의 촉이 옳았다. 멘델레예프는 이런 베팅을 즐겼다. 주기율표를 만들 때 ... ...
털 나고 피지 생기고 촉각까지 전달...인공피부 탈모치료 새 길 열까
동아사이언스
l
2020.06.08
것이 특징이다. 피부는 다양한 기능을 하다보니 20종 이상의 세포가 여러 층으로
배열
된 형태를 갖는 등 구조가 복잡하다. 쾰러 교수 연구팀은 지난 2018년 줄기세포로가 피부를 형성하는 초기 과정에서 모낭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아내고 털이 자라는 인공피부를 개발했다. ... ...
나노 신소재 '멕신' 전기 잘 통하는 긴 섬유로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07
것과 비슷하다. 그 뒤 무질서하게 놓인 벡신을 용액을 이용해 일정한 간격과 방향으로
배열
하고 이를 긴 섬유 형태로 뽑아냈다. 연구팀이 개발한 멕신 섬유화 기술 과정이다. 한국연구재단 제공 이렇게 제조한 멕신 섬유는 전기전도성이 기존의 멕신 섬유의 약 20배, 강도는 10배 높았다. ... ...
메모지처럼 붙이고 가위 잘라도 빛나는 LED 패널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04
LED와 직접 결합하지 않아 쉽게 떼어낼 수 있다. LED 패널도 박막이 아닌 마이크로 LED
배열
을 바로 제조하기 때문에 굽히거나 접어도 깨지지 않는다. 연구팀이 개발한 LED 패널은 접착 테이프로 떼어내면 될 정도로 기판에서 쉽게 떨어졌다. 떼어낸 패널을 구부러진 표면에 붙여도 작동됐다. LED 패널은 ... ...
약 520광년 밖 젊은 별 주변서 행성 형성 첫 직접 증거 포착
연합뉴스
l
2020.05.21
행성이 형성되고 있다는 점은 몇 년 전 칠레 북부 아타카마 사막에 있는 전파망원경
배열
인 '아타카마 대형 밀리미터/서브밀리미터집합체'(ALMA)를 통해 처음으로 제시됐다. 천문학자들은 당시 ALMA 이미지에서 별 주변의 원반 안쪽에서 두 개의 나선팔을 찾아냈다. 보칼레티 박사 연구팀은 VLT 스피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눈이 없어도 볼 수 있을까
2020.05.19
알아보는 수준이었고 단어를 읽을 수 있는 사람은 한 명에 불과했다. 망막에 2차원적으로
배열
된 전극에서 패턴을 지닌 정보(자극)를 보내더라도 시각피질에서 이를 제대로 처리하지 못한다는 말이다. 따라서 망막 보철에 대한 열기가 식었고(장치 구입비에 시술비를 포함하면 약 2억 원이 든다) ... ...
성균관대-삼성전자, 마이크로LED 집적도 20배 높일 접착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5.13
신용카드보다 작은 가로세로 5cm 크기의 기판에 100 μm 간격으로 60만 개의 마이크로LED를
배열
할 수 있는 수준이다. 기존 상용기술에 비해 집적도를 20배 이상 높였다. 또 영하 40도부터 영상 85도까지의 다양한 환경과 충격에서도 기판이 안정적으로 결합한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휘어지는 PET 기판 ... ...
극저온, 진동, 마모에 강한 무인항공기 소재 개발
과학동아
l
2020.05.08
수직
배열
탄소나노튜브는 물질 내부 또는 표면에 탄소나노튜브가 세로로
배열
된 물질로 촉매, 물질흡착 등에 주로 활용된다. 이런 현상은 탄소나노튜브와 그 주변에 배치된 폴리우레탄-우레아 입자들이 미세하게 분리되면서 일어났다. 연구팀은 폴리우레탄-우레아 입자가 분리되면서 ... ...
트럼프"증거 있다" WHO "근거 있다면 달라"…가장 힘센 사내 입 통해 확대되는 코로나19 음모론
동아사이언스
l
2020.05.05
증거를 내놨다. 판케르크호버 팀장은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1만5000개의 유전자
배열
을 확보하고 있지만, 우리가 확인한 바로는 모두 자연에서 발생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난달 28일까지 분석된 3650개 게놈을 바탕으로 바이러스 이동을 시각화한 그림이다. 넥스트스트레인 화면 캡쳐 ... ...
이전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