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치
정리
배합
정돈
순서
배포
병치
뉴스
"
배열
"(으)로 총 728건 검색되었습니다.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 코로나19 감염 여부를 신속·정확하게 진단하는 새로운 방법
2021.04.16
9 진단법(이하 크리스퍼 진단법)의 원리도 동일하다.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의 유전자
배열
을 특이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크리스퍼 단백질이 사용된다. 크리스퍼 진단법은 바이러스의 유전물질을 증폭한 뒤, 고도의 민감도로 검출하는 방법이다. 통상 1시간 이내의 검출시간이 소요된다. MIT연구진이 ... ...
이차원 반도체 물질 형성될 때 일차원 구조 거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06
관찰했다. 연구팀은 각 줄의 단면이 삼각형이라는 사실을 추가로 관찰하고 삼차원으로
배열
돼 있던 산화몰리브덴이 일차원 구조를 거쳐 층을 이루는 과정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또 조만호 연세대 물리학과 교수팀과 엑스레이 광전자 분광법을 이용해 이황화몰리브덴의 층이 쌓이다 보면 반도체 ... ...
[영상+]달리는 차량에 내려앉는 드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31
내려앉는다. GIST 제공 연구팀은 값싼 상용 적외선 발광다이오드(LED)를 3차원 반구 형태로
배열
해 어느 방향으로든 적외선을 방출하는 마커를 개발했다. 차량이 내는 적외선을 탐지하는 회전 카메라를 드론에 달아 마커를 인식하고 착륙 지점을 찾는다. 적외선은 투과율이 높아 나뭇잎이나 비닐 등 ... ...
무겁고 두꺼운 VR기기, 안경처럼 얇아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26
거리를 줄였다. 2차원 렌즈
배열
은 작은 렌즈들이 병렬로
배열
된 광학 소자다. 2차원 렌즈
배열
을 삽입하면, 눈과 렌즈 사이에 확보돼야 할 거리를 그대로 확보하면서 렌즈의 초점거리를 줄일 수 있다. 연구팀은 “공간을 기존 대비 절반 이하로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한번 더 두께를 ... ...
피부에 이식한 태양전지로 빛 만들어 뇌 기능 조절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23
가능한 근적외선 기반 무선 전력 발생 기기를 고안했다. 먼저 소형 태양전지 소자를
배열
해 유연성을 높인 전원부를 피부 아래 조직에 이식하고 피부 침투 효율이 가장 높은 근적외선을 이용해 전력을 발생시키는 시스템을 구현했다. 연구팀은 피부에 삽입된 태양전지와 뇌에 삽입된 광원을 ... ...
노화 불가피 ‘허블’ 대신할 차세대 우주망원경 ‘제임스웹’ 지상 테스트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1.03.15
최종 테스트를 위해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의 전자 장비와 과학 장비들이
배열
됐다. NASA 제공. 1990년 발사돼 30년간 천문학과 우주 기원 연구에서 족적을 남긴 허블 우주망원경의 뒤를 이을 차세대 우주망원경 ‘제임스웹’이 10월 발사를 앞두고 최종 테스트를 완료, 발사 준비에 돌입했다. 15일 ... ...
[표지로 읽는 과학]그래핀 뛰어 넘는다는 '보로핀' 시대가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4
이뤄진 물질이다. 크기가 수 나노미터(nm·10억분의 1미터)에 불과한 원자를 한 겹으로
배열
했다. 보로핀은 매우 흥미로운 물질로 꼽힌다. 나노미터급에서 3차원에 이르기까지 금속 성질을 보인다. 반면 보로핀의 원료가 되는 붕소는 비금속 및 반도체 성질을 가진다. 일부 과학자들은 보로핀이 ... ...
서른 살 된 허블망원경 너무 힘들었나…"안전모드 진입"
연합뉴스
l
2021.03.09
JWST의 주경은 6.5m로 허블(2.4m)의 2.5배에 달한다. 폭 1.3m 육각형 모양 반사경 18장을
배열
해 주경을 구성하는데, 태양 차광판과 마찬가지로 접어서 발사한 뒤 우주에서 펼쳐지게 설계됐다. [NASA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 ...
약 130억 광년 밖 초기 우주서 제트 내뿜는 퀘이사 관측
연합뉴스
l
2021.03.09
처음 포착돼 퀘이사 후보에 올랐다. 이후 전파망원경
배열
인 칼 G. 잰스키 초대형
배열
(VLA) 등을 통해 같은 위치에서 전파원이 확인됐으며, ESO의 초거대망원경(VLT) 등을 동원한 후속 관측을 통해 블랙홀의 질량과 주변 물질을 빨아들이는 속도 등이 확인됐다. 연구팀은 P172+18의 블랙홀이 태양 질량의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프로야구에서 4할 타자는 왜 사라졌을까
2021.03.05
여겼다. 만약 화석기록이 진화의 매 단계마다 충실하게 남아 있다면 이를 연대별로
배열
했을 때 급격한 변화보다 완만한 변화를 보게 될 것이라고 생각했다. 현실의 화석은 그렇지 않다. 생명체가 화석화된다는 사실 자체가 대단히 까다로운 조건을 만족해야 하고 이를 온전하게 발견하는 것 또한 ... ...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