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치
정리
배합
정돈
순서
배포
병치
뉴스
"
배열
"(으)로 총 685건 검색되었습니다.
세포 움직임까지 느끼는 3D 촉각 인식장치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6
단면(약 0.4㎟)보다 작은 면적에 가로 20줄, 세로 20줄의 정사각형 형태로 총 400개의 센서를
배열
해 3D 촉각 인식장치를 개발하고 장치가 잘 작동하는지 실험을 진행했다. 체중 50kg의 사람이 굽 반경 1cm 구두를 신고 인식장치를 밟았을 때 굽에 가해지는 압력의 면적과 세기가 인식장치에 실시간으로 ... ...
학생이 실험하다 떠올린 아이디어가 배터리·태양전지 혁신할 나노소재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6
성장된다. 연구팀은 이 현상을 이용해 규일한 크기의 결정 알갱이가 규칙적으로
배열
되도록 하는 합성법을 개발하고, 결정의 알갱이 개수를 조절해 경계결함의 밀도와 구조를 조절해 소재의 성능을 개선하는 데 성공했다. 실제로 이 방법으로 개발한 나노 다결정을 수소연료전지의 촉매로 사용한 ... ...
피 한 방울로 중증 알츠하이머 진단…정확도 88%
연합뉴스
l
2020.01.15
'랭뮤어 블로젯 기술'(용액 위에 떠 있는 나노입자를 표면 압력을 조절해 원하는
배열
로 단층 제작하는 기법)을 이용해 고밀도로 탄소나노튜브를 정렬한 진단 센서를 개발했다. 탄소나노튜브는 지름이 나노미터(㎚·10억분의 1m) 수준인 원기둥 모양의 탄소 소재이다. 무작위로 방향성을 가질 ... ...
사실보다 더 사실같은 VR용 디스플레이가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06
LED 물질은 각각 다르다. 기존 방식은 3색 LED를 각각 제작한 후 디스플레이 기판에 옮겨
배열
하는 ‘전사’를 3번 거쳐야만 디스플레이를 만든다. 하지만 전사를 세 번 거쳐 마이크로미터(㎛·100만 분의 1m) 크기로 LED를 정렬하고 화소를 만드는 것은 LED 이송헤드의 크기와 기계적 정확도 등의 문제로 ... ...
[인류와 질병] 오래된 면역계 친구는 누가 있을까
2020.01.04
가장 변이가 많이 존재하는 영역이 CDR3인데, 앞서 말한 RAG 단백질에 의해서 무작위
배열
을 삽입하는 방법으로 사실상 다양성을 무한정 증가시킬 수 있다. T 세포 수용체도 이와 비슷하다. 검열의 진화: 흉선 이렇게 엄청난 수준의 다양성은 수많은 외부 물질에 대한 면역성을 확보시켜 준 일등 ... ...
"대장암 80% 연관 돌연변이, 암세포 어떻게 늘리는지 밝혀냈다"
연합뉴스
l
2019.12.31
www.eurekalert.org)에 공개한 논문 개요에 따르면 임포틴은 핵 위치 신호(NLS)라는 특유의 인식
배열
에 결합해 다른 단백질 분자를 세포핵으로 옮기는, 수송 인자 단백질을 포괄적으로 지칭한다. 하지만 이번 발견에도 불구하고 베타 카테닌의 세포핵 운반에 작용하는 분자 메커니즘은 여전히 불확실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빙판길은 왜 그렇게 미끄러울까
2019.12.25
물분자의 움직임이 느려지면 수소결합의 비중이 점점 커지고 결국 물분자들이 일정한
배열
로 놓인 결정인 얼음이 된다. 이때 물분자 사이에 수소결합을 이루기 위한 공간적 배치 때문에 얼음의 밀도는 물보다도 낮아진다. 그런데 얼음을 이루는 모든 물분자의 상태가 똑같을까. 학창시절 ... ...
빛 색깔과 편광 동시에 제어하는 소형 광원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23
물질을 성장시켜 막대 구조의 모서리 방향을 따라 1차원 구조인 양자선들이 자발적으로
배열
되도록 한 것이다. 그 결과 육각연필 구조의 길이 방향으로 만들어진 양자선은 청색으로 축 방향과 나란한 편광을 지니게 됐다. 반면 연필대와 연필심의 기울어진 부분과 만나는 단면에 형성된 양자선은 ... ...
[화보+] 사이언스·네이처가 뽑은 ‘올해의 사진’
동아사이언스
l
2019.12.17
은하수/CSIRO/사이언스 은하수/CSIRO/사이언스 호주의 전파망원경집합체인 스퀘어킬로미터
배열
패스파인더가 관측하는 하늘 위로 은하수가 펼쳐져 있다. 36개의 전파망원경을 이용해 과학자들은 먼 은하에서 탄생한 고속전파폭발(FRB)을 관측했다. FRB는 1000분의 1초 정도 지속되는 라디오파로 원래 ... ...
‘질화갈륨’ 웨이퍼 기술 스타트업 80억원 규모 투자 유치
동아사이언스
l
2019.12.13
성장하는 결정에 전자 빔을 쪼여 결정을 맞고 회절돼서 나오는 패턴을 읽어 제대로
배열
되는지 확인해야 한다. 아이브이웍스는 박사급 엔지니어들이 눈으로 보고 판단해야 하는 이 패턴을 읽고 분석하는 데 인공지능(AI) 기술을 접목했다. 이를 통해 초박막 구조의 결정 성장을 분석하고 제어하는 ... ...
이전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