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실
과일
실과
결과
결실
너트
조리개
d라이브러리
"
열매
"(으)로 총 593건 검색되었습니다.
과일 맛 결정하는 ‘황금비’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이동시킨다. 그런데 이렇게 체관을 압박하면 당분이 뿌리로 내려가지 못하고 대부분
열매
로 이동한다.‘키 큰 사람이 싱겁다’는 말도 과일에겐 맞지 않다. 일반적으로 크기가 큰 과일은 더 많은 양분과 당분을 포함하고 과육도 부드러운 경우가 많다. 배나 사과를 자르면 안쪽에 씨가 있는 과심이 ... ...
가슴 설레는 도시 탈출을 위한 필수품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제품으로 회향유(油)라는 천연물질이 첨가돼 인체에 해롭지 않다. 회향유는 회향이라는
열매
를 증류시켜 얻는 기름으로, 주성분인 ‘아네톨’과 ‘펜촌’이 모기가 싫어하는 향을 풍긴다. 모기는 여름철 최대의 적이라는 걸 잊지 말자.제조사 : 한국 내츄로 바이오텍가격 : 3,000원 발광다이오드 ... ...
물 먹은 바오밥나무에서 해수욕 즐기는 펭귄까지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이 꽃들도 부러워졌다. 또 옆에 있는 풍만한 무화과나무를 보자 자기에게도
열매
를 만들어 달라고 했다. 바오밥나무의 이러한 시기심에 화가 난 신은 나무를 뿌리째 뽑아서는 더 이상 말을 하지 못하도록 거꾸로 심어 버렸다. 그래서 바오밥나무는 마치 뿌리가 하늘로 향한 듯한 우스꽝스러운 모습을 ... ...
다윈도 깜짝 놀랄 부리의 진화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처음 다프네섬에 발을 들였을 때는 주로 씨앗을 먹는 중간크기의 땅 핀치와 선인장의
열매
와 꽃가루를 주식으로 삼는 선인장 핀치 두 종류가 살고 있었다. 땅 핀치는 부리가 두툼하고 선인장 핀치는 뾰족하다. 둘은 먹이가 달라 평화롭게 공존했다. 그런데 1982년 새로운 종의 땅 핀치가 다프네섬에 ... ...
“째깍째깍~” 식물의 생체 시계 유전자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6호
꽃이 여기저기서 피어나겠지요. 계절이 바뀔 때마다 식물은 어김없이 꽃을 피우거나
열매
를 맺어 계절의 변화를 우리에게 알려 줍니다.이렇게 식물이 시간의 변화를 알아챌 수 있도록 해 주는 유전자가 세계 최초로 우리나라 과학자에 의해 발견됐습니다. 포스텍의 남홍길 교수팀은 애기장대라는 ... ...
'신의 물방울' 빚은 주인공 흙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박사는 “토양에서 질소를 많이 흡수한 포도나무는 생장에 더 큰 비중을 두기 때문에
열매
를 탐스럽게 만드는 데 소홀하다”고 설명했다.이 때문에 농업과학기술원에서는 논토양 1kg당 유기물 함량이 30g을 넘지 않도록 권장하고 있다. 질소성분이 담긴 비료를 적당량 살포하도록 하는 것. 김이열 ... ...
일본 최초 우주실험실 '키보' 발사 성공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볼 수 있다병징은 병든 식물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잎 · 줄기 ·
열매
꼭지 ·
열매
에 나타난다처음에는 유침상(油浸狀)이나 점차 표면이 하얘지고 틈이 생기며 나중에 흑색의 작은 입자가 밀생한다심한 때는 지상부가 완전히 말라 죽는다 실수론에서 사용하는 용어 열차에 부속된 자동 ... ...
PART1 영원한 적도 동지도 없다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있게 한다. 질소는 단백질과 핵산을 이루는 핵심원소이므로 콩과식물은 단백질이 풍부한
열매
를 맺는다. 생태학자들은 오래전부터 뿌리혹박테리아가 질소를 고정하는 작업이 중노동이라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 그럼에도 이들은 왜 뿌리혹 속에 갇혀 묵묵히 주어진 일을 할까.미국 데이비스 ... ...
조선조류열전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둥지를 짓고 메추리알 크기의 흰색 알을 낳는다.좋아하는 먹이는 식물의 씨앗이나
열매
, 곡물이다. 민가 근처에 사는 염주비둘기는 사람이 준 과자 부스러기를 먹기도 했다고 한다.염주비둘기는 영국, 인도, 중국 등 유라시아대륙에서 동아시아에 이르는 넓은 지역에 서식한다. 그러나 한반도 전국에 ... ...
까악~! 까마귀 자판기로 돈을 벌겠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3호
그 때 잡아먹는 거로군요!”“거 봐, 지란아. 새는 정말 똑똑하다구. 호두 같은 딱딱한
열매
의 껍질을 깨기 위해서 높은 곳에서 일부러 떨어뜨릴 정도라니까. 더 놀라운 건, 얼마나 높은 데서 떨어뜨려야 하는지도 알고 있다는 거야.”새의 지능에 대한 이야기가 오가는 중에 제트는 눈이 내린 ... ...
이전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