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실
과일
실과
결과
결실
너트
조리개
d라이브러리
"
열매
"(으)로 총 593건 검색되었습니다.
양귀비 진통 효과 비밀 풀렸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약 2만 3000종에 이르는 양귀비 유전자를 정밀 비교했다. 분석 결과 T6ODM효소가 양귀비
열매
의 알칼로이드 성분인 테바인을 코데인으로, 이를 CODM효소가 다시 모르핀으로 바꿔주는 핵심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사람의 간에서 마약을 모르핀으로 전환시키는 ‘사이토크롬 P450’ 효소와 동일한 ... ...
과학으로 쓰는 걷기 예찬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옮기면서 햇빛에 노출되는 양을 줄이기 위해서라는 가설도 있다. 또 나무에 달린
열매
를 잘 따기 위해 두 다리로 서서 다니게 됐다는 주장도 있다.소수 의견이지만 단순히 에너지 소비를 줄이기 위해 진화했다는 설명이 있다. 이는 수십 년 전에 등장한 가설인데, 먹을거리가 부족하던 최악의 ... ...
GMO는 인류 식량 문제 해결할까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육종을 할 때 유전자 표식을 거쳐 우수한 유전자를 갖고 있는 개체를 고르게 된다.
열매
가 크거나, 가뭄에 좀 더 잘 견디거나, 수확량이 많은 좋은 종자를 유전자로 찾는 것이다. 리프킨 이사장은 “GMO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는 거대 GMO기업을 제외하고 상당수 과학자들도 이 방법에 찬성하고 있다”며 ... ...
과학으로 벗겨본 남녀 탐구생활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만족스러운 물건을 사기 위해 쇼핑몰을 샅샅이 뒤지는 여성의 쇼핑 행동은 가장 잘 익은
열매
를 따기 위해 덤불을 샅샅이 뒤졌던 여성의 채집습성에서 나왔어요. 여성은 채집하는 공간에서 물건의 위치를 구별하고 기억하는 능력이 뛰어나요. 실제로 재래시장에 남녀를 불러다 놓고 진열된 과일과 ... ...
밸런타인데이 초콜릿 파동 온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초콜릿의 맛과 향을 결정하는 데 가장 중요한 과정은 바로 콩 발효와 볶기다. 잘 익은
열매
를 수확한 뒤 콩만 분리해 발효시킨다. 콩을 발효시키는 이유는 쓰고 떫은 맛을 내는 탄닌을 없애고 유기산을 증가시켜 특유의 맛과 향을 내기 위해서다. 하얗던 콩은 발효가 끝나면 갈색이 된다. 콩을 물로 ... ...
일본 이리오모테 섬에 가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더 유명하다.
열매
(씨앗)가 익으면 그냥 떨어뜨리는 보통 나무와 달리, 맹그로브는
열매
를 모체에서 한동안 더 키운 뒤 거기서 싹이 트고 뿌리가 나면 떨어뜨린다. 나무줄기에 싹이 터서 그 자리에 바로 새로운 나무줄기가 솟아나기도 한다. 줄기가 50cm 정도 자라면 자식을 출가시키듯 몸에서 ... ...
동식물의 즐거운 새해맞이 잔치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술이 다르듯이 동식물들도 다양한 음료를 즐긴다. 박주가리는 뿔처럼 길쭉하고 뾰족한
열매
를 맺은 채 잔치에 왔다. 박주가리는 깃털처럼 하얀 실타래가 달린 씨앗 잔을 들었다. 씨앗은 길이 6~8mm에 뒤집어 놓은 달걀처럼 생겼다. 하얀 실타래가 달린 덕에 바람을 타고 날아간다.들국화 위에 걸린 ... ...
미래 대 예측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시작했지요. 이렇게 동식물을 가축과 농작물로 만든 덕분에 인류의 삶은 사냥을 하거나
열매
를 따먹던 생활에서 농사를 짓는 생활로 바뀔 수 있었답니다 ... ...
나무 포유류의 조상 수미니아 제트마노비’!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6호
적들이 많은데 말이에요.아하~! 그러니까 땅 위에 사는 적들을 피하고 풍부한 나무
열매
를 따 먹으려고 나무 위에 사신다는 말씀이군요! 제가 사는 시대에도 비슷한 이유로 나무 위에 사는 동물이 여럿 있어요. 그런 동물들의 친척뻘 되시겠네요?어허~, 친척이라니, 지금이 어떤 시대인 줄 알고 ... ...
똥의 황홀한 변신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인터내셔널’ 2004년 7월호에 실었다.그의 연구에 따르면 사향고양이 뱃속에 들어간 커피
열매
는 과육은 소화되고 씨만 바깥으로 배설되는데, 씨가 온전히 나오는 것이 아니라 여러 내장을 거치면서 발효된다. 발효를 일으키는 주인공은 소장에 있는 젖산균이다. 이때 커피의 쓴맛을 내는 ... ...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