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곧
즉시
당장에
직접
꼭
varo
d라이브러리
"
바로
"(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식]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증명하다!
수학동아
l
2016년 05호
‘정리의 진위 여부를 증명할 수 없는 수학정리’라고 언급했다.이 문제를 증명한 것이
바로
‘앤드루 와일스’다. 그는 열 살이었던 1963년에 에릭 템플 벨이 쓴 라는 책에서 FLT를 처음 발견했다. 와일스는 훗날 책 를 통해 어린 자신도 이해할 만큼 간단한 문제가 ... ...
[소프트웨어] 신선한 채소가 매주 집으로! ‘만나CEA’
수학동아
l
2016년 05호
구약성서인 에 따르면 이스라엘 백성이 굶주릴 때 하늘에서 내려준 음식이
바로
‘만나’다. 식량 문제를 해결하는 데 조금이라도 보탬이 되고 싶어 농업을 시작했다는 전 대표와 잘 어울리는 이름 같았다.만나CEA가 채소를 키우는 방법도 이름만큼 독특하다. 이곳에서는 씨앗을 작은 ... ...
Part 4. 숨을 불어 넣어 다시 태어난 합성생물들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엄청난 부지와 자본, 그리고 시간이 필요하다. 물론 현재로서는 합성 효모에서 모르핀을
바로
생산해내는 수율도 1.5%에 불과해 생산성이 매우 낮지만, 스몰케 교수는 본인이 설립한 바이오업체 ‘안테이아’에서 합성효모의 테바인 생산 수율을 높이는 연구를 하고 있다.우리나라에서는 이상엽 KAIST ... ...
[Knowledge] 저와 대화해 볼래요?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발달심리학자 페니 패터슨 박사는 고릴라와 대화를 시도했다. 첫 번째 실험 대상이
바로
암컷 고릴라 코코였다. 패터슨 박사는 고릴라 성대와 구강의 해부학적 구조를 고려했을 때 인간이 쓰는 음성 언어를 가르치는 건 불가능하다는 결론을 내리고, 수화를 가르치기 시작했다. 미국의 수화(나라별로 ... ...
[Knowledge] 당신은 오늘 몇 발자국의 질소를 남겼나요?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점차 커지고 있는 질소화합물의 위험성을 알리기 위해 2012년 처음 등장한 개념이
바로
‘질소발자국’이다. 2006년부터 대중적으로 알려진 탄소발자국에 비하면 생소한 개념이다. 질소발자국 역시 탄소발자국과 마찬가지로 개인이 생활과 소비활동을 할 때 배출되는 질소의 양을 뜻한다. 직장인 ... ...
[Photo] 웅황(Orpiment) 프로메테우스의 선물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역사적 건축물을 돋보이게 하는 것은 화려한 단청이다. 그리고 그 화려함의 핵심은
바로
밝은 노란색 안료인 웅황이다. 웅황의 광물명인 orpiment는 황금(auro)색 안료(pigment)라는 뜻의 그리스어에서 유래했다.우리나라의 궁전이나 국가적 대형 건축은 공사 내역을 정리해 둔 기록을 남겼는데, 특히 ... ...
[Tech & Fun] Science Fiction_K박사의 섬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먹으면 됐을지도 몰라요.정말 그럴까요? 아니에요. 애초에 K박사가 연구를 시작한 동기도
바로
그 때문이었으니까요. K박사 추종자들의 이상한 믿음 말이에요. 그들 입장에서 보면 틀린 말은 아니긴 해요. 모든 동물은―초식동물마저도, 다른 생명을 죽여 자기 안으로 받아들여 살아가야만 하니까요. ... ...
[출동! 어린이 과학동아 기자단] 황북기 교수님의 따끈따끈 실험교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4호
다리의 상판을 지탱하는 다리지요.그런데 기자들이 만든 현수교에 콜라캔을 올리자마자
바로
다리 중간이 내려앉는 ‘사고’가 발생했어요. 대체 이유가 뭐였을까요? 황 교수님은 기자들이 만든 현수교의 끈 상태를 지적했어요. 끈이 거의 직선으로 당겨져 있었거든요.“현수교를 연결하는 줄이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입 안 대고 풍선을 불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4호
보통 수십에서 수백 배까지 늘어나요. 따라서 풍선 속에 드라이아이스를 넣으면 곧
바로
이산화탄소 기체로 변하면서 부피가 늘어나 풍선을 부풀게 만든답니다.정말 풍선 속에 드라이아이스를 넣고 묶기만 하면 동그랗게 부풀어 오를까요? 이밖에도 다양한 실험을 하는 모습과 실험 결과를 ... ...
[수학뉴스] ‘지프의 법칙’ 얼마나 맞을까?
수학동아
l
2016년 04호
순위를 매기면, 그 빈도가 해당 단어의 순위에 반비례하는 수학적인 법칙이 있습니다.
바로
‘지프의 법칙’입니다. 즉, 글에서 가장 많이 나오는 단어는 두 번째로 많이 나오는 단어보다 빈도가 약 2배 높으며, 세 번째로 많이 나오는 단어보다는 빈도가 3배 높다는 뜻입니다.스페인 ... ...
이전
335
336
337
338
339
340
341
342
3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