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로"(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 단맛 실험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안드레아 윈디쉬 박사는 가족과 함께 사탕을 이용해 특별한 실험을 진행했어요. 바로, 사탕이 녹는 속도를 수식으로 만든 거예요.연구팀은 먼저 사탕을 완벽한 구 모양이라고 가정한 뒤, 간단한 수식을 세워 시간에 따라 사탕이 줄어드는 양을 계산했어요. 그 결과, 시간이 지남에 따라 줄어드는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미친 화학자의 실험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염도가 매우 높아진 거예요.그런데 사해보다 염도가 더 높은 호수가 있어요. 그 주인공은 바로 남극의 돈 후안 호수예요. 돈 후안 호수의 염도는 무려 바닷물의 18배, 사해의 8배나 돼요. 이곳은 영하 50℃에 이르는 매우 추운 지역이지만, 염도가 어찌나 높은지 물이 얼지도 않지요. 돈 후안 호수의 ... ...
- [수학뉴스] 방정식을 풀었더니 웬 테러리스트?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쓰고 있는 멘지오 교수를 수상하게 지켜보던 사람이 있었습니다. 멘지오 교수 바로 옆에 앉은 승객이었지요. 승객은 승무원를 불러, 옆 좌석에 테러리스트가 앉아있다고 적은 종이를 승무원에게 건넸습니다. 깜짝 놀란 항공사 직원들은 이륙하려던 비행기를 급히 회항시켰습니다.미분방정식은 ... ...
- PART 1 크다고 다 빅데이터일까?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수 있다.우리는 매일 스마트폰이나 컴퓨터로 검색을 한다. 궁금한 게 생기면 어디에서나 바로 인터넷을 이용해 찾아볼 수 있다. 이때 검색어는 내가 무엇이 궁금한지,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지 데이터로 남긴다. 여기에는 내가 검색한 시간과 위치까지 담겨 있다.이 데이터를 확인하면 사람들이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24차원에서 공을 촘촘히 쌓으려면?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주인은 다 아는 수학 상식! 바로 케플러 추측입니다. 크기가 같은 공을 상자에 가장 많이 담으려면 피라미드 모양으로 쌓아야 한다는 것이지요. 그런데 이를 3차원이 아니라 더 큰 차원, 8차원과 24차원으로 확장하면 어떻게 될까요? 최근 우크라이나의 수학자가 이를 해결했습니다. 상상도 안 되는 ... ...
- [소프트웨어] 40년 전 최고의 인기 게임! 퐁Pong수학동아 l2016년 06호
- 1972년의 유명한 고전 게임 ‘퐁’을 직접 만들어 봅시다.오늘의 미션인류 최초의 게임은 바로 1958년 오실로스코프에 그래픽 표시 장치를 이용해 만든 ‘테니스 포 투’입니다. 연구소 방문객의 지루함을 달래기 위해 만들어졌지요. 1972년에는 ‘테니스 포 투’에서 영감을 얻은 1세대 비디오 게임 ... ...
- [SW 기업 탐방] 라온스퀘어수학동아 l2016년 06호
- 기자는 두더지 뒤에 나오는 광고에도 자연스럽게 집중하게 됐다. 이 광고를 만든 곳이 바로 이번에 소개할 ‘라온스퀘어’다. 사람의 시선을 잡아끄는 아이디어로 광고답지 않게 재미난 광고를 만드는 신생 기업이다. 어제 왔던 손님, 오늘 또 왔네사람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광고에 대해 찾아보면 ... ...
- [수학동아 클리닉] 유레카! 부력의 원리수학동아 l2016년 06호
- 더 많이 넘치게 된다는 사실을 깨달은 것이다. 그리고 아르키메데스가 알게 된 이 사실은 바로 부력의 원리다.부력의 원리를 이용하면 합금에 포함된 금속이 각각 차지하는 비율을 수학적으로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아르키메데스는 부력의 원리로 왕관에 은이 섞여 있는 사실을 밝혔다. 그렇다면 ... ...
- [News & Issue] 웨어러블 미생물 전지 시대!과학동아 l2016년 06호
- 프로젝트를 성공한 뒤, 평소 웨어러블 기술에 관심이 많았던 이에로풀로스 교수는 곧바로 둘을 융합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물론 쉽진 않았다. “부드러운 튜브 형태의 미생물연료전지를 배열하는 문제가 가장 어려웠어요. 착용자의 종아리를 두르게 될 웨어러블 뼈대에 미생물연료전지 여러 개를 ... ...
- [Knowledge] 생명과학의 성배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도 마치 자기 것인 양 신경을 쓰게끔 작용한다. 직접 적합도와 간접 적합도를 합하면 바로 ‘포괄 적합도(inclusive fitness)’가 된다. 해밀턴은 1964년 논문에서 사회적 행동의 경우 자연 선택은 각 개체의 포괄 적합도(고전적인 의미의 직접 적합도가 아니라!)를 최대화하는 방향으로 작용함을 ... ...
이전3323333343353363373383393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