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로"(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 알면 알수록 신기한 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다른 색이나 무늬는 여러 종류의 새가 한서식지에서 한꺼번에 번식할 경우, 자신의 알을 바로 찾아낼 수 있게 하는 ‘표시’ 역할도 한답니다.2005년 영국 옥스퍼드대학교의 앤드류 고슬러 교수는 여러 알을 조사해, 알의 색소들이 얇은 알 껍데기를 보충하는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알아냈어요. 알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반짝반짝 오로라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우주를 이야기 할 때는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거리의 단위와는 다른 단위를 사용해요. 바로 광년(Ly)과 천문단위(AU), 파섹(pc)이랍니다.광년은 빛이 진공에서 1년 동안 나아간 거리예요. 1광년은 약 9조 4600억km랍니다. 지구에서 안드로메다은하까지는 230만 광년, 시리우스까지는 8.6광년 떨어져 있어요 ... ...
- [지식]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증명하다!수학동아 l2016년 05호
- ‘정리의 진위 여부를 증명할 수 없는 수학정리’라고 언급했다.이 문제를 증명한 것이 바로 ‘앤드루 와일스’다. 그는 열 살이었던 1963년에 에릭 템플 벨이 쓴 라는 책에서 FLT를 처음 발견했다. 와일스는 훗날 책 를 통해 어린 자신도 이해할 만큼 간단한 문제가 ... ...
- [소프트웨어] 신선한 채소가 매주 집으로! ‘만나CEA’수학동아 l2016년 05호
- 구약성서인 에 따르면 이스라엘 백성이 굶주릴 때 하늘에서 내려준 음식이 바로 ‘만나’다. 식량 문제를 해결하는 데 조금이라도 보탬이 되고 싶어 농업을 시작했다는 전 대표와 잘 어울리는 이름 같았다.만나CEA가 채소를 키우는 방법도 이름만큼 독특하다. 이곳에서는 씨앗을 작은 ... ...
- [Editor’s Note] 혼자 밥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주로 나). 그런데 이들이 처음으로 오프라인에서 모였을 때 한 일이 뭐였는지 아는가. 바로, 잔디밭에 둘러 앉아 함께 밥을 먹는 거였다.지금 생각해 보니, 아이러니가 몇%쯤 함유돼 있는 고급 이벤트였던 것 같다. 꿈보다 해몽일지 모르지만, 역시 예술가다운 발상이었다(그 친구는 지금 영화감독이 ... ...
- Part 4. 숨을 불어 넣어 다시 태어난 합성생물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엄청난 부지와 자본, 그리고 시간이 필요하다. 물론 현재로서는 합성 효모에서 모르핀을 바로 생산해내는 수율도 1.5%에 불과해 생산성이 매우 낮지만, 스몰케 교수는 본인이 설립한 바이오업체 ‘안테이아’에서 합성효모의 테바인 생산 수율을 높이는 연구를 하고 있다.우리나라에서는 이상엽 KAIST ... ...
- [Knowledge] 저와 대화해 볼래요?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발달심리학자 페니 패터슨 박사는 고릴라와 대화를 시도했다. 첫 번째 실험 대상이 바로 암컷 고릴라 코코였다. 패터슨 박사는 고릴라 성대와 구강의 해부학적 구조를 고려했을 때 인간이 쓰는 음성 언어를 가르치는 건 불가능하다는 결론을 내리고, 수화를 가르치기 시작했다. 미국의 수화(나라별로 ... ...
- 내 눈이 뿔났다! 시력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피곤한 경태가 책상에서 졸다가 눈을 떴어요. 그러자 믿기지 않는 광경이 펼쳐졌어요. 바로 성난 눈알들이 자신을 노려보며 원망하는 게 아니겠어요?“야, 안경태! 너 눈에 대해 제대로 알고나 이렇게 우릴 혹사시키는 거야? 지금부터 우리가 하는 말 잘 들어. 안 그럼 우리 가출할 거야!”어떻게 ... ...
- [수학동아클리닉] 제주 올레에서 만나는 수학이야기수학동아 l2016년 05호
- 보이나요? 2+3=5와 같이 앞의 두 수를 더하면 그 다음 수가 됩니다. 이 규칙으로 만든 수가 바로 피보나치 수입니다. 이 수가 신비로운 이유는 자연에서 종종 발견되기 때문입니다. 제주 올레에서도 이 수를 찾을 수 있습니다.제주 올레의 피보나치 수올레에서 쉽게 찾을 수 있는 솔방울에도 ... ...
- PART 1. "나는 1년 계약직 과학자 입니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호칭도 듣지만, 사실 2년마다 계약을 새로 하는 비정규직이다. 취직에 성공하면 바로 다음 자리 걱정을 시작해야 한다. 연구를 고민하는 시간보다 가족의 미래를 걱정하는 시간이 더 길다. 이 일을 언제까지 할 수 있을지, 지금 그만두는 게 나을지 매일같이 고민이다.K박사에겐 아픈 기억이 있다. 수 ... ...
이전3343353363373383393403413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