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이팟나노
아이팟
쥐샥
아이팟 나노
아이팟나mp3
아이팟나노 4
아이팟나노 512
뉴스
"
나노
"(으)로 총 3,693건 검색되었습니다.
3차원 반도체 회로 기술 세계 최초 개발
2014.10.20
원리 규명에 세계 최초로 성공한 데 의의가 있다”며 “앞으로 유기분자 기반
나노
구조체 등 다양한 연구에 기여하고 싶다”고 말했다. 이 연구성과는 국제 학술지 ‘미국립과학원회보(PNAS)’ 7일자 논문으로 게재됐다. ... ...
나노
바이오융합기술 세계 최고 석학 루크 리 UC버클리 교수
2014.10.20
나노
융합기술의 현주소는 어떤가. 한국의 의료 서비스는 세계 최고 수준이다. 많은
나노
바이오기술 연구자들이 논문을 통해 이미 세계 최고 수준의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 줬다. 이제는 실제로 이런 기술을 산업화해서 상품을 생산하는 면에서 리더십을 보일 때라고 생각한다. ... ...
‘한국판 퀴리 부인’ 찾아보니…
2014.10.17
귀재’라는 점 때문이다. 그는 미래창조과학부가 지원하는 글로벌프런티어사업인 ‘
나노
기반 소프트일렉트로닉스연구단’ 소속으로 유기 반도체 재료 등에 대한 국내 특허를 24건이나 보유하고 있다. 스마트폰에 많이 쓰이는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AMOLED)가 대표적인 유기 반도체인데, 김 교수는 ... ...
전자회로 끊어지면 레이저 포인터로 딱 2분만!
2014.10.15
끊어진 부분에 레이저 빛을 비췄더니 아조고분자가 빛의 편광 방향에 따라 움직이면서 은
나노
와이어도 같이 움직여 끊어진 부분이 다시 붙었다. 이번에 개발된 회로는 업무용 레이저포인터로 2분 정도 쪼여주는 것만으로도 끊어진 부위가 원래 상태로 완벽하게 돌아왔다. 이 교수는 ... ...
LED 교통신호등 수명 2배로 늘렸다
2014.10.14
될 수 있도록 모두 컴퓨터 자료로 바꿔 홈페이지(npdb.kriss.re.kr)에 공개했다”며 “향후
나노
입자를 이용한 광전자 소자 기술개발의 가속화가 일어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 ... ...
“화재 경고! 노트북 전지에 화재 경고!”
2014.10.14
미리 알아낼 수 있도록 양극과 분리막 사이에 50nm(
나노
미터·10억 분의 1m) 두께의 얇은
나노
구리막을 추가했다. 양극과 구리막 사이에는 전압 차이가 존재하는데, 리튬 가시가 자라서 구리막에 닿으면 전압차가 사라진다. 연구진은 전압차가 0이 되는 순간 신호를 보내 사용자의 전자기기에 ... ...
구리+아연+주석=친환경 박막 태양전지
2014.10.14
구리, 아연, 주석, 황으로 이루어진 원료 입자가 기계화학적 반응을 통해 CZTS(구리-아연-주석-황) 화합물
나노
결정으로 합성되는 과정. 이번 연구성과는 '나 ...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성과는
나노
기술 분야 학술지 ‘
나노
스케일’ 21일자 표지논문으로 선정됐다. ... ...
“노벨상 수상자의 공통점은 ‘유쾌함’”
2014.10.14
말했다. 한편 올해 노벨 화학상 후보로 기대를 모았던 유룡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
물질 및 화학반응연구단장의 수상 불발에 대해 아멜린 관장은 “올해 화학상을 거머쥔 청색 발광다이오드(LED)는 1990년대 초에 등장했는데 이제야 받았다”며 “노벨상을 수상하기까지 대개 수십 년이 걸리는 ... ...
[2014 노벨 화학상] 빛의 한계 뛰어 넘은 과학자 3명 공동 수상
2014.10.09
아쉬움을 표시했다. 유 단장이 20여 년간 연구해온 메조다공성물질은 세계적으로도
나노
물질 분야에서 미래 유망 분야로 손꼽히는 만큼 올해가 아니어도 수상 가능성이 높다. 특히 유 단장은 주기율표에 있는 다양한 원소를 이용해 메조다공성물질을 제조하는 데 있어서는 독보적인 기술을 ... ...
헉! 전자기파 쪼이니 체세포가 줄기세포 되네
2014.10.06
iPS세포)를 효율적으로 만들어내는 방법을 개발하고
나노
분야 학술지 ‘ACS
나노
’ 10월호에 발표했다. 전자기파를 의료분야에 이용하려는 시도는 꾸준히 있었지만 전자기파를 줄기세포 연구에 접목한 건 김 교수팀이 최초다. 연구팀은 50Hz의 전자기파를 완전히 성장한 쥐에서 얻은 체세포에 가해 ... ...
이전
331
332
333
334
335
336
337
338
3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