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이팟나노
아이팟
쥐샥
아이팟 나노
아이팟나mp3
아이팟나노 4
아이팟나노 512
뉴스
"
나노
"(으)로 총 3,693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 브리핑] 기초과학연구원(IBS) 외
2014.09.05
남창희 초강력레이저과학연구단장, 오용근 기하학수리물리연구단장, 이영희
나노
구조물리연구단장 등 IBS 과학자 8명이 강연자로 나선다. 강연은 11월 13일까지 총 8회에 걸쳐 서울도서관, 울산중부도서관 등 전국 8개 도서관에서 열린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이 아시아태평양 지역 ... ...
단점 투성이 유기반도체의 화려한 변신
2014.09.01
국내 연구진이 기존 유기반도체에 많이 쓰이는 물질 ‘펜타센’(오른쪽)에 ‘TSB3’라는 유기 절연체를 접합시켜 성능을 높이는 데 성 ... 26일자에 실렸다. 이번 연구는 조 교수가 단장을 맡고 있는 글로벌프론티어사업 ‘
나노
기반소프트일렉트로닉스연구단’의 지원으로 진행됐다. ... ...
길이만 30km, 세계 최장 가속기 ILC
2014.08.28
벗어나면 전기적인 힘을 가해 위치를 조정한다. 이 시스템의 강점은 전자의 궤도를
나노
미터(nm, 10억분의 1m) 단위로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다는 점이다. 충돌하는 입자의 크기가 27nm에 불과하기 때문에 이 정도 수준의 정밀도는 필수다. 실제로 연구팀이 지난해 12월부터 일본 국립 고에너지 ... ...
‘건강한’ 그래핀 양자점 개발
2014.08.28
그래핀 양자점의 모습. - KAIST 제공 양자점은 원하는 색의 빛을 모두 구현할 수 있는
나노
크기의 소재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와 박막 태양전지 등 여러 분야에 양자점을 이용하려는 연구가 활발하다. 하지만 양자점에는 납과 카드뮴 등 인체와 환경에 독성이 있는 물질이 들어가 있어 문제가 ... ...
전기 대신 열로 작동하는 차세대 메모리소자
2014.08.27
시간 동안 작동하는 레이저를 이용해 메모리소자에 열을 가했더니 온도 차이가 발생해
나노
자석의 방향이 바뀌면서 스핀전류가 발생했다는 것이다. 이때 스핀의 방향이 바뀌는 속도는 전기를 썼을 때보다 1000배나 빨라졌으며 발생하는 스핀전류량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민병철 연구원은 ... ...
유리처럼 투명한 자석, 진짜?
2014.08.27
것이라고 알려져 왔는데, 이를 뒤엎는 결과를 내 놓은 것이다. 카본나이트라이드
나노
튜브의 자성을 발견한 연구팀. 홍지상 교수(가운데)와 아큄 하쉬미 연구원(왼쪽), 타오 후 연구원(오른쪽)이 연구를 수행했다. - 한국연구재단 제공 홍 교수팀은 카본나이트라이드가 ‘팔걸이 의자’나 ... ...
세상에서 가장 가는 ‘금바늘’
2014.08.27
이 연구결과는
나노
분야 국제학술지 ‘ACS
나노
’ 12일자 온라인 판에 게재됐다. 금
나노
탐침을 이용한 뇌 신경 분석결과. 기존의 텅스텐 탐침에 비해 훨씬 정밀한 뇌신호를 얻었다. - KAIST 제공 ... ...
올리브오일로
나노
입자 만든다
2014.08.26
“3년 내에 기술을 실용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표면적이 넓은 2차원
나노
소재를 이용해 차세대 질병 진단키트에도 응용이 가능하며 근적외선을 이용한 광열치료에도 이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 ...
전자기판 투성이 태양전지에 엽록소가 쏘옥~
2014.08.25
1m) 크기의 미세한 은입자를 식물에서 엽록소와 결합시켜 이같은 문제를 해결했다. 은
나노
입자로 엽록소에서 빠져나가는 파장대의 빛을 흡수해 재사용했으며 엽록소를 전극기판 위에 배열할 때 출력저하 현상 역시 감소시켜 태양전지의 효율을 증가시키는데 성공했다. 실험결과 기존보다 일반 ... ...
반도체 두께가 겨우 원자 몇 개?
2014.08.24
원자 몇 개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반도체 p-n 접합의 모식도. 상하 수직면에 단원자층의 그래핀을 전극으로 사용했다. - 고려대 제공 이철호 고려대 KU-KIST 융합대 ... 응용 연구에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성과는 ‘네이처
나노
네크놀로지’ 11일자에 실렸다. ... ...
이전
334
335
336
337
338
339
340
341
3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