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나노"(으)로 총 3,692건 검색되었습니다.
- 그래핀에 올빼미 그렸더니…2014.12.10
- 성능이 좋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제임스 투어 미국 라이스대 재료과학 및 나노공학과 교수팀은 인공적으로 무늬를 새긴 그래핀 박막 축전기의 성능이 일반 탄소 축전기보다 좋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10일자에 발표했다. 육각형으로 배열된 탄소 분자가 ... ...
- 600V 강력한 전기 파워, 뱀장어의 사냥법2014.12.07
- 빛의 반사와 굴절, 광자의 전달, 비정보성 전파를 촬영하는 데 성공했다. 지금까지는 나노 초 보다 짧은 시간 안에 일어난 현상은 1차원으로 밖에 촬영하지 못했다. 따라서 2차원 이미지를 얻으려면 전체 장면을 차례대로 반복해 촬영해야 했다. 하지만 이제 한 번에 2차원 영상을 얻을 수 있게 됐다 ... ...
- 배터리 없는 ‘진정한 인공와우’ 나온다2014.12.03
- ‘인공와우’의 성능을 크게 높여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허신 한국기계연구원 나노자연모사연구실 책임연구원팀은 인공와우의 핵심소자인 ‘생체모사 무전원 인공기저막 소자’를 개발했다고 3일 밝혔다. 이 소자를 이용해 인공와우를 제작하면 기존 인공와우처럼 귀 외부에 구멍을 뚫고 ... ...
- 전원 꺼져도 정보 보존되는 ‘강유전체’ 수수께끼 풀려2014.12.03
- 메모리 소자의 핵심 물질로 주목받고 있다. 연구진은 티탄산바륨을 이용해 두께가 3nm(나노미터)에 불과한 강유전체 박막을 만들고, 이 박막을 하부전극(LSMO)과 상부전극 사이에 붙인 터널접합소자를 만들었다. 이때 상부전극으로 구리, 금 등 다양한 금속을 이용하는 실험을 진행했다. 그 결과 ... ...
- ‘합금만 쓸모 있다’던 상식 깬 순수 타이타늄 등장 2014.12.03
- 대신 타이타늄을 고온에서 변형시키는 방법을 택했다. 이때 타이타늄의 미세 구조는 nm(나노미터) 단위로 줄어든다. 금속을 이루는 성분의 미세 구조가 작을수록 금속의 강도는 강해지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공정을 거친 타이타늄의 강도는 일반 타이타늄의 강도보다 2배 높았다. 이는 타이타늄 ... ...
- [동정] 한국화학연구원 外2014.12.02
- 이상달 △바이러스시험·연구센터장 김미현 △친환경신물질연구센터장 고영관 △나노바이오융합연구단장 서영덕 △화학인프라본부 화학분석센터장 김종혁 △신뢰성평가센터장 변두진 △한국화합물은행 센터장 이현규 △화학안전연구·평가센터장 공기정 △C-산업육성센터장 이철위 ... ...
- [신나는 공부]국제협력 프로그램으로 과학영재 양성동아일보 l2014.12.02
- 참여해 교수법과 다양한 과학적 지식을 공유한다”고 말했다. 이상천 ACGS 센터장(경남대 나노신소재공학과 교수)은 “ACGS는 2017년까지 공동 과학교재 및 교육 온라인 콘텐츠 개발과 ‘다빈치 사이언스 박스’ 같은 과학 교구를 발전시키는 활동 등을 추진할 예정”이라면서 “2020년까지 국제협력 ... ...
- 물과 기름, 초음파로 섞어 봤니?2014.12.01
- 또한 화학공정을 거쳐야 한다는 점에서 유해 가능성이 남았다. 연구진은 기름 입자를 나노미터(nm, 1nm=10억분의 1m) 크기로 만들어 물과 기름을 섞는 데 성공했다. 지금까지 기름 입자를 마이크로미터(μm, 1μm=100만분의 1m) 크기로 만드는 기술이 있었지만 며칠 지나지 않아 기름 입자끼리 달라붙으며 ... ...
- 125nm HIV 막는 0.03mm 두께 콘돔과학동아 l2014.11.28
- 원인균인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를 막을 수 있을까. 실제로 정자의 최대 지름은 3000nm(나노미터), 성병 중 하나인 임질의 병원균 지름은 800nm인 데 비해 HIV의 지름은 125nm에 불과하다. 김 차장은 “문제없다”며 “미국 식품의약국(FDA) 실험 결과 콘돔을 잡아 늘린 상태에서도 병원균과 바이러스가 ... ...
- 강철보다 튼튼한 ‘방탄 그래핀’ 2014.11.28
- 초속 22km의 빠른 속도로 충격을 전파하는 특성 때문이다. - 이재황 교수 제공 ‘꿈의 나노물질’로 불려온 그래핀의 방탄 효과가 한국계 미국인 과학자에 의해 입증됐다. 이재황 미국 매사추세츠주립대 기계공학과 교수는 라이스대 연구진과 공동으로 그래핀의 충격 흡수 실험을 진행한 결과 ... ...
이전3273283293303313323333343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