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처음"(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인체 플랫폼화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미정이다. 인공 기관지다른 사람의 기증이 필요 없는 인공생체 이식의 길은 2011년 처음 열렸다. 영국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의 알렉산더 세이펄리언 박사는 기관지암에 걸린 스웨덴 환자의 기도를 3차원 입체영상으로 촬영한 뒤, 인체 친화적 플라스틱으로 복제품을 만들었다. 스웨덴 병원에서는 이 ... ...
- [Tech & Fun] 물리학자, 언어의 특징을 밝히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사이의 유사성을 연구한 사례는 있었지만, 전세계 모든 언어를 대상으로 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과거에는 백인의 교육받은, 부유하고 민주주의적인 몇 개의 국가, 문화를 대상으로 편중돼 연구가 이뤄져왔다. 이를 ‘WEIRD(White, Educated, Industrial, Rich, Democratic) 소사이어티’라고 부르기도 한다.영어의 .. ...
- [Career] 계산과학·공학을 쉽고 빠르게, 에디슨과학동아 l2016년 06호
- 활용하고 있는데, 수업 교과목 수로 따지면 785개에 이른다.에디슨의 일부 프로그램은 처음 다뤄보는 고등학생도 큰 어려움 없이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쉽고 편리하다. 대전과학고 2학년인 김재현, 오상준, 정민 학생은 올해 초 학교에서 연구를 하며 에디슨을 활용했다. 피아노 망치의 타격위치를 ... ...
- [Tech & Fun] 이래도 사람, 저래도 사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연구의 바탕이 되는 이 같은 세계관을 분석한 평전이다. 국내에 그의 평전이 번역된 건 처음이다. 그의 사상은 광대하고 미묘해서 한마디로 요약할 수 없기로 정평이 났는데, 그에게 지적인 빚을 졌다고 생각하는 두 명의 사회학자가 이에 도전했다.책에는 그간 잘 알려지지 않은, 휴머니즘에 대한 ... ...
- [가상인터뷰] 단단한 소라 껍데기의 비밀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층의 경계면에서 뚝 끊겨 버렸어요. 균열이 끊긴 소라 껍데기는 더 이상 파괴되지 않고 처음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었지요.이런 구조 덕분에 소라 껍데기는 같은 탄산칼슘으로 이루어진 광물인 ‘아라고나이트’에 비해 수십 배 강한 강도를 가질 수 있답니다.닥터 그랜마 : 네 단단함을 이용해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미친 화학자의 실험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있는 용질의 양이 정해져 있기 때문이에요. 그래서 물에 소금을 넣고 유리막대로 저으면 처음에는 잘 녹다가 어느 순간 아무리 저어도 더 이상 녹지 않는 거지요. 이처럼 더 이상 녹일 수 없는 가장 진한 용액을 ‘포화 용액’이라고 해요.융합 개념 파헤치기세상에서 가장 짠 호수는?사람들이 ... ...
- [과학뉴스] 불나방의 초음파 경고 “나 맛없거든!”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메시지를 전달했다. 2007년 실험실에서 확인된 행동이 실제 자연에서 확인된 건 이번이 처음이다.연구팀은 불나방이 무조건 초음파로만 박쥐의 공격을 물리치는 것은 아닐 것이라고 추측했다. 실제로 많은 경우 이리저리 도망을 다닌다. 다우디연구원은 “에너지 비용을 고려해 두 가지 방법을 섞어 ... ...
- [Knowledge] 우리나라의 첫 우주범선, 항해준비 완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호와는 다르게 한 변이 10m인 사각형 돛을 적용했다. 하지만 역시나 궤도 진입에 실패했다.처음으로 심우주 탐사에 성공한 우주범선은 일본 JAXA의 이카로스다. 이카로스는 2010년 5월 20일에 발사돼 같은 해 12월 8일, 금성에서 8만800km 떨어진 지점까지 다가가는 데 성공했다. 203일 만에 이뤄낸 ... ...
- [Tech & Fun] Science Fiction_추억충과학동아 l2016년 06호
- 가능성을 80퍼센트 정도 줄여준다고 했지만 나머지 20퍼센트는? 그 이전에 감염되었다면? 처음부터 추억충에 감염된 독서 모임 사람이 윤정 하나뿐이 아니었다면? 만약 이 기억을 가진 추억충이 은성 자신에게 감염된다면 어떻게 될까? 만약 윤정이 새로운 추가 기억을 담은 추억충에게 다시 감염이 ... ...
- 아인슈타인의 중력파 이야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조금씩 오차가 생겼지. 이런 오차를 바로 내가 상대성이론으로 바로잡은 거야. 그리고 처음으로 ‘중력파’라는 개념을 알아냈지. 중력파는 “시공간의 그물이 파도처럼 일렁이는 것”아인슈타인은 상대성이론을 통해 새로운 관점에서 우주를 바라볼 수 있게 만들었어요. 우주를 편평한 공간으로 ... ...
이전3203213223233243253263273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