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처음"(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당신의 여름은, 어떤 냄새인가요?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조이 베어 연구원과 리차드 토마스 연구원이 1964년 ‘네이처’에 발표한 기고문에서 처음 등장했다(doi: 10.1038/201993a0).식물은 발아 과정에서 기름을 분출하는데, 이 기름은 주변 흙이나 바위 틈 사이에 모인다. 연구팀은 비가 내리고 마르는 과정에서 기름이 공기 중으로 분출돼 나는 냄새가 ... ...
- [지식] 그래프의 화려한 변신수학동아 l2016년 07호
- 메이플 또는 매스매티카다.우연이 만드는 아름다움“두 가지 방법으로 작업해요. 처음에는 적당히 수식을 넣고 괜찮은 이미지가 나오면 식을 바꿔가며 작품을 만들었습니다.”예가니는 어떤 그림이 나올지 생각하지 않고 일단 수식을 넣어봤다. 모험적인 이 방법이 재밌는 건 우연이 만들어내는 ... ...
- [과학뉴스] e라이프(eLife)과학동아 l2016년 07호
- 5년 기준)로 높아 생명과학자들 사이에서는 알짜로 통한다.e라이프는 저널계의 금수저다. 처음부터 세계적인 연구기관인 미국 하워드휴스의학연구소, 독일 막스플랑크 협회, 영국의 웰컴트러스트생어연구소의 도움을 받았다. 2012년부터 5년간 1800만 유로(237억 원)를 지원받았고, 올해 6월 1일에는 250 ... ...
- [과학뉴스] 물고기가 사람의 얼굴을 알아본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런 능력이 새에게서 관찰된 적은 있지만 물고기에서 발견된 건 처음이다.영국 옥스퍼드대와 호주 퀸즐랜드대 공동연구팀은 공중에 있는 먹이를 잡기 위해 입으로 물총을 쏘는 물총고기(Toxotes chatareus )의 수조 위에 모니터를 설치하고 특정 사람의 얼굴을 반복적으로 ... ...
- [과학뉴스] 우주팽창, 예상보다 빠르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우주가 기존에 예측한 것보다 최고 9% 더 빨리 가속팽창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항공우주국(NASA)과 유럽우주국(ESA) 등의 공동연 ... 어릴 수도 있다는 뜻도 된다. 연구결과는 6월 9일 논문 수집 웹사이트 ‘아카이브’에 처음 공개됐고 학술지 ‘천체물리학’에 게재될 예정이다 ... ...
- [News & Issue] 목성 미스터리의 구원자 주노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많은 무인 우주 탐사선이 목성에 다가갔지만, 이렇게 가까이 다가간 탐사선은 주노가 처음이다.목성은 지구에서 매우 멀리 떨어져있다. 지구에서 목성까지의 거리는 최소 6억2800만km에서 최대 9억2800만km에 이른다. 그럼에도 목성을 탐사하고자 하는 이유는 목성이 여러 가지로 특이한 행성이기 ... ...
- [Interview] “400년 전 조선 비행기, 불가능하지만은 않았을 겁니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시작했다. 하지만 아무리 만들어도 허전했다. ‘이게 아닌데.’ 그러던 차에 2002년 처음 비거를 만났다. 고원태 작가의 소설 ‘잊혀진 우리 나래 비거’에서였다. 이 씨는, 당시 조선의 기술과 환경 조건에서 하늘을 나는 항공기를 만들 수 있을지 그 가능성을 극한으로 탐구했다. 열정은 유학을 간 ... ...
- INTRO. 진화 이끈 작은거인 미토콘드리아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에너지를 만드는 데 필요한 NADH와 FADH2를 만든다. 꼬리잡기를 하듯 마지막 물질을 처음 물질로 바꿔 끊임없이 회로를 돌린다. 암 세포는 TCA 회로를 교묘히 조절해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세포를 조절한다(4파트).3단계 양성자를 퍼내라, 전위차를 만들어라TCA 회로에서 만들어진 NADH와 FADH2는 ... ...
- Part 3. 미토콘드리아 바꾼 ‘세 부모 아이’ 안전할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미토콘드리아 비율이 낮아져 정상적으로 잘 자랐지만, 한 세포에서 문제가 일어났다. 처음에 모계 미토콘드리아 비율이 1.3%였던 이 세포는, 36세대가 지난 뒤 비율이 53.2%까지 상승했다. 에글리 박사는 ‘네이처’와의 인터뷰에서 “이런 불확실성 속에서 (세 부모 아이) 연구를 진행하는 것이 현명한 ... ...
- [Knowledge] 페르마, 진짜 여백이 부족했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모듈형태) 사이에 가상의 다리를 놓은 것과 같다. 수학의 역사에서 이런 일은 처음이었다. 독일 뒤스부르크에센대 게르하르트 프라이 교수와 미국 UC버클리 켄 리벳 교수는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갔다.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타원방정식과 연결시킨 뒤, ‘다니야마-시무라의 추론이 옳다면 ... ...
이전3173183193203213223233243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