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처음"(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별 인터뷰] 파워에너지 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탐사 구역에 가다가 길을 잘못 들어서 헤맨 적이 있는데, 그날 엄청 무서웠어요. 그리고 처음 개구리를 잡던 날은 미끈거려서 비명을 질렀는데, 이제는 오래 하다보니 적응이 돼서 개구리는 제가 가장 잘 잡을걸요?알면 알수록 지사탐이 점점 좋아져요!모든 생물을 자세히 관찰하고 모르는 건 뭐든지 ... ...
- [지식]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증명하다!수학동아 l2016년 05호
- 와일스’다. 그는 열 살이었던 1963년에 에릭 템플 벨이 쓴 라는 책에서 FLT를 처음 발견했다. 와일스는 훗날 책 를 통해 어린 자신도 이해할 만큼 간단한 문제가 아직도 풀리지 않고 남아있다는 점이 그의 호기심을 자극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당시에 앤드루 ... ...
- [소프트웨어] 내 짝꿍을 소개하는 앱!수학동아 l2016년 05호
- 여러분은 처음 만난 짝꿍과 어떻게 친해지나요? 이번 호에서는 서로 대신 소개해주는 앱을 만들면서 짝꿍을 알아가고 친해지는 시간을 가져볼까 합니다. 덤으로 스크린, 버튼, 레이아웃에 대해서도 배울 수 있지요. 그럼 우리 같이 친구를 소개하는 앱을 만들어 볼까요?오늘의 미션띵동! 수상한 ... ...
- [재미] 마왕의 탑 5화_오일러의 한붓그리기수학동아 l2016년 05호
- 있을 때도 한붓그리기가 가능해요.”“홀수점이 두 개만 있어도 가능하다고요? 그럼 처음에 말했던 그래프와 뭐가 다르지요?”단이 이해가 안 간다는 듯이 물었다.“홀수점이 두 개인 그래프에서는 홀수점에서 시작해야만 한붓그리기가 가능해요. 그리고 한 홀수점에서 시작하면 항상 다른 ... ...
- [News & Issue] 지구의 노래를 들어라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지표 발파, 폭발사고, 로켓발사 등 인공 음원에서도 나온다.인프라사운드는 냉전 시대에 처음 주목 받았다. 구 소련과 미국이 서로의 핵실험을 감시하려고 인프라사운드를 관측하기 시작했다. 저주파인 인프라사운드는 고주파 음파에 비해 에너지 감쇄가 적어 먼 거리에서도 신호가 잘 잡힌다. ... ...
- [Knowledge] 저와 대화해 볼래요?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보여준 ‘칸지’의 이름을 따 이 연구를 ‘칸지 프로젝트’라고 부른다.사실 칸지는 처음부터 언어를 훈련하기 위해 선택된 개체는 아니었다. 그의 양모인 ‘마타타’라는 암컷보노보 침팬지가 선발돼 훈련을 받고 있었고, 당시 칸지는 9개월짜리 수컷 새끼였다. 아쉽게도 마타타는 수업에 큰 ... ...
- [Knowledge] 당신은 오늘 몇 발자국의 질소를 남겼나요?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점차 커지고 있는 질소화합물의 위험성을 알리기 위해 2012년 처음 등장한 개념이 바로 ‘질소발자국’이다. 2006년부터 대중적으로 알려진 탄소발자국에 비하면 생소한 개념이다. 질소발자국 역시 탄소발자국과 마찬가지로 개인이 생활과 소비활동을 할 때 배출되는 질소의 ... ...
- [Tech & Fun] 막스플랑크 화학생태학연구소과학동아 l2016년 05호
- 1800년대 후반 예나대 교수였던 생물학자 헤켈이 ‘생태학(Okologie)’이라는 단어를 처음 만들어냈거든요. 그 전통을 이어 받아 현재는 막스플랑크연구소 중 생물 분야의 연구소가 3개나 예나에 모여 있습니다.이색 생물학 엿보는 재미그중 막스플랑크 화학생태학연구소에서는 식물과 곤충의 ... ...
- 내 눈이 뿔났다! 시력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얻게 된 뒤 뇌가 어떻게 빛을 인지하고 시각 정보를 처리하는지 꾸준히 관찰했지요.처음에는 수술 후에도 뇌가 시각 자극에 대한 반응을 하지 않았어요. 그러다가 점차 사물의 형태와 색을 구별하고 점점 정확하게 볼 수 있게 됐지요. 파완 신하 교수는 이 프로젝트를 통해 인간의 뇌가 경험과 학습을 ... ...
- [Editor’s note] 꿈을 이루려면 수학을 배우자수학동아 l2016년 05호
- 반드시 들어야 하는 수학 과목을 끝낸 뒤로는 수학 문제를 쳐다보지도 않았거든요.처음에는 이해할 수 없었지만, 사연을 듣고 나니 고개가 끄덕여졌습니다. 그만큼 수학이 살아가는 데 쓸모가 있었던 겁니다.어떤 사람에게는 일하는 데 도움이 되고, 어떤 사람에게는 사고력을 기르는 데 도움이 ... ...
이전3243253263273283293303313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