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음
시초
출발
시작
원조
원시
본래
d라이브러리
"
최초
"(으)로 총 5,549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자기 북극과 남극 바뀔까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오늘과 내일은 강력한 지자기 폭풍이 나타나게 될 것이 예견되므로 심장질환이 있는 환자들은 특별히 건강에 관심을 돌리기 바랍니다.” 지 ... 대한 아이디어를 얻기 원한다”며 “스웜 프로젝트가 끝날 때쯤이면 세계에서
최초
로 자기장 변화를 예측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 ...
식물에도 눈동자가 있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받아들이는 빛의 양을 필요에 따라 적절히 조절하는 메커니즘을 갖고 있다는 것을 세계
최초
로 밝혀냈다.포항공대 생명과학과 남홍길 교수와 유종상 박사 연구팀은 식물에서 발현되는 ‘피토크롬’이라는 단백질에 주목했다. 싹이 틀 때부터 꽃을 피울 때까지 식물의 모든 성장과정은 빛에 의해 ... ...
마젤란이 본 것은 성운 아닌 은하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수축해 태아별 중심부에서 수소가 타기 시작하면 별이 무더기로 탄생할 것이다.인류
최초
의 세계 일주 항해자로 알려진 마젤란은 사실 1519년부터 3년간 진행된 세계 일주를 끝내지 못했다. 대서양을 지나고 남아메리카 남단의 마젤란해협을 거쳐 태평양을 건넌 마젤란은 1521년 4월 필리핀의 ... ...
질병원인 밝혀줄 유전자 변이 지도 완성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미국인 71명의 DNA를 분석한 결과 158만 개의 SNP(단일염기다형성)를 찾아내 SNP 지도를
최초
로 작성했다고 2월 17일 과학전문지 ‘사이언스’에 발표했다.SNP란 피부 및 머리카락 색깔, 체질, 질병 가능성 등 개인 및 인종의 유전적 특성을 나타나게 하는 부분으로 DNA의 0.1%에 해당한다. 2001년 인간게놈 ... ...
면역 높여 암 치료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핵심기능을 하는 자연살해(NK)세포가 골수의 줄기세포에서 생성되는 과정을 세계
최초
로 규명했다”고 2월 22일 밝혔다. 자연살해세포는 혈액 내 백혈구의 일종으로 체내에서 암세포를 직접 파괴하는 면역세포다. 이 연구성과는 국제 학술지 ‘이뮤니티’에 발표됐다.최 박사팀은 ‘VDUP1’이란 ... ...
숫자에 숨겨진 저글링의 비밀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나름대로의 법칙이 있다. 미국 매사추세츠대 수학과 그레고리 워링턴 교수는 지난해
최초
로 무작위 저글링을 수학적으로 풀어냈다. 그의 연구에 따르면 무작위 저글링은 유한수열의 형태보다는 마치 월드 와이드 웹과 같은 네트워크로 나타난다고 한다.공을 한번 던질 때 공중에서 머물 수 있는 ... ...
450만년전 인류화석 발견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ramidus)에 속한다.아르디피테쿠스 라미두스는 인간과 침팬지가 갈라진 직후에 존재했던
최초
의 인간으로 분류된다. 에티오피아에는 아르디피테쿠스 라미두스 외에도 554만~577만년 전 ‘아르디피테쿠스 카다바’(Ardipithecus Kadabba)가 존재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아르디피테쿠스 라미두스는 전체 ... ...
80시간의 세계 일주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방향의 성분이 특정하게 불연속적인 값을 갖도록 방향을 잡는다는 방향양자화를 증명한
최초
의 실험 소립자를 특징짓는 정수값을 가진 내부 양자수 기묘도(奇妙度)라고도 한다 강한 상호작용을 하는 소립자군을 강입자(强粒子)족이라고 칭하며 이들 입자, 예를 들면 양성자와 중성자 또는 π중간자( ... ...
MS 철옹성 무너뜨린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펼치는 것도 이런 악순환의 고리를 끊기 위함이다.한글과컴퓨터는 지난해 12월 국내
최초
로 리눅스 체험관인 ‘글로벌 리눅스 카페’를 열어 리눅스에 파이어폭스를 탑재한 데스크톱을 여러대 배치했다. 누구나 들어와서 무료로 리눅스와 파이어폭스를 체험할 수 있다.그렇다면 리눅스는 윈도를 ... ...
레우벤후크의 현미경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피, 뇌조직을 연구했다. 액체를 관찰하는 방법을 개선시켜 가다가 그는 결국 인류 역사상
최초
로 미생물을 관찰하게 된다.레우벤후크가 처음 미생물을 관찰했다는 사실을 왕립학회에 보고한 것은 1674년 9월 7일이었다. 호수에서 물을 떠서 현미경으로 관찰을 하던 레우벤후크는 그 속에서 뱀이 ... ...
이전
319
320
321
322
323
324
325
326
3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