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음
시초
출발
시작
원조
원시
본래
d라이브러리
"
최초
"(으)로 총 5,549건 검색되었습니다.
이연희 교수, 로레알-유네스코 여성생명과학진흥상 수상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서울여대 생명공학과 이연희 교수가 6월 21일 로레알코리아와 여성생명과학기술포럼, 유네스코 한국위원회가 제정한 ‘한국 로레알-유네스코 ... 않는 질병이 미토콘드리아의 기능 장애로 생긴다는 사실을 밝혔으며, 백 교수는 세계
최초
로 암 전이 억제 유전자의 전사 메커니즘을 규명했다 ... ...
앙코르 공연 - 줄기세포의 꿈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5월 인천국제공항. 서울대 수의대 황우석 교수 귀국 기자회견이 열리고 있다. 그는 세계
최초
로 환자 체세포를 난자에 이식, 복제배아를 만들어 줄기세포를 얻었다. 맥쿨록과 김성체, 허겁지겁 등장한다.)김성체 : (낮은 목소리로) 다행히 아직 안 끝났네요.기자 : 영국에서 대문, 사립문 비유를 ... ...
콘택트렌즈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직접 붙여 시력을 높여주는 콘택트렌즈. 1887년 스위스에서 유리로 만든
최초
의 콘택트렌즈가 선보인 이래 소재와 제작 기술이 꾸준히 발전해오고 있다. 안경과 달리 상이 찌그러져 보이지 않고 착용하기 편리한데다 미용 효과도 높아 널리 애요되고 있다. 지금도 진화를 계속하고 있는 콘택트렌즈의 ... ...
04. 디지털의 화려한 플래시댄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모르는 ‘황맹’이라고 불릴지도 모른다.그간 HDD의 홈그라운드는 컴퓨터였다. 1956년
최초
로 등장한 HDD는 용량이 불과 5MB였지만 몇 년 뒤 16비트 컴퓨터에는 40MB짜리가 장착됐다. 이후 1980년대 중반까지 HDD는 부지런히 용량을 늘리면서 컴퓨터의 주기억장치로 자리 잡았다.1990년대 초부터 가속이 ... ...
2030년으로 떠나는 시간여행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개발 201336 수환경·토양환경·생태환경 보호기술 실용화 201737 오염물 배출
최초
화한 공정기술 개발 201538 노인과 장애인용 지능형 로봇 개발 201439 노인과 장애인 안전을 위한 복합기술 보급 201540 개인정보시스템 실용화 201241 스마트 도로교통 관제시스템 보급 201342 품질·경제성·환경성 최적화 ... ...
우주선 블랙박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약리학자 헤라트에서 출생 약물(藥物)에 관한 저서를 페르시아어(語)로 편집한
최초
의 인물이며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널리 페르시아 · 인도 등을 여행했다 1821~1895 영국의 수학자 58년에 발표한 행렬론(行列論)은 선형대수의 기원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19세기 기하학의 총화라고 할 수 있는 59년의 ... ...
03. 빠른 비트에 몸을 맡겨라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971년 인텔이
최초
로 마이크로프로세서 4004를 개발했을 때 여기에는 2300개의 트랜지스터가 들어있었다. 2000년 개발된 펜티엄4에는 약 4000만개가 들어있었다. 집적도가 무려 1만7000배가량 늘었다. 트랜지스터의 집적도가 2년에 2배씩 증가한다는 무어의 법칙을 적용하면 거의 맞아 떨어진다.그런데 ... ...
마침내 부활한 네안데르탈인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소녀였다. 소녀의 이름은 ‘피에레뜨’.이 발견을 기리기 위해 그 자리에 세계
최초
의 멀티미디어 고인류 박물관이 세워졌다.소녀의 유골은 프랑스 고인류학계에 적잖은 충격을 가져왔다. 유골이 발견된 장소에선 후석기 인류였던 크로마뇽인의 유골도 함께 발견됐다. 이는 약 3~10만년에 살았던 ... ...
구름 위에서 즐기는 웹서핑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2004년 5월 드디어 루프트한자가 세계
최초
로 뮌헨-로스엔젤레스 노선에 기내 인터넷 서비스를 시작했다.위성을 이용한 기내 인터넷 시스템을 개발한 것은 미국의 기내 인터넷 서비스 업체 CBB(Connexion by Boeing)다. 루프트한자와 대한항공 모두 CBB의 위성 ... ...
황우석 교수 맞춤형 줄기세포 시대 열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얻었다.황 교수팀은 지난해 2월 이미 복제한 인간배아에서 줄기세포를 추출하는데 세계
최초
로 성공한 바 있다. 그러나 당시 얻은 줄기세포주는 단 한 개뿐이다. 게다가 체세포와 난자 모두 ‘건강한’ 여성 1명의 것이었기 때문에 그 줄기세포는 ‘여성용’이었던 셈.그러나 이번 연구에서는 성별과 ... ...
이전
315
316
317
318
319
320
321
322
3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