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음
시초
출발
시작
원조
원시
본래
d라이브러리
"
최초
"(으)로 총 5,549건 검색되었습니다.
자성측정기 MPMS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헬륨을 액화시키는데 성공했고, 1911년 마침내 수은을 액체 헬륨으로 냉각하는 과정에서
최초
로 초전도 현상을 발견했다.그런데 모든 물체가 초전도체가 되는 것은 아니다. 현재 원소주기율표에 있는 112개 원소 중 30개 정도만이 저온에서 초전도체가 된다. 이 때문에 극한물성팀에서는 자성측정기 ... ...
만약에 세상의 모든 가로등이 사라진다면?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들어선 지도 벌써 100년이 넘었다. 서울시에 따르면 1900년 4월 10일 종로 네거리에 세운
최초
의 가로등 수는 고작 3개였는데 100년이 지난 지금 서울 시내의 가로등 수는 12만2444개에 이른다고 한다. 밝기 또한 1970년대에는 7~9럭스(lx)로 파리나 뉴욕 같은 대도시의 절반 수준이었던 것이 1992년에는 30lx로 ... ...
고전물리학 고집한 현대물리학의 아버지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흑체복사를 설명하려고 부단히 애를 썼다.1859년 독일의 물리학자 구스타프 키르히호프가
최초
로 흑체복사를 설명하는 키르히호프 법칙을 발표했다. 흑체복사를 분광기로 보면 각 파장에 해당하는 에너지 스펙트럼을 알 수 있다. 그는 이 스펙트럼의 에너지 분포가 흑체의 모양이나 종류에 상관없이 ... ...
노화원인 '활성산소' 규명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박사는 “세포 내에서 활성산소가 단백질의 구조와 기능을 변화시키는 메커니즘을 세계
최초
로 규명해 과학전문지 ‘네이처 구조분자생물학’ 12월호에 발표한다”고 11월 15일 밝혔다.활성산소는 세포 내에 너무 많아지면 단백질을 멋대로 변형시켜 뇌졸중, 암, 치매 등 질병과 노화의 원인으로 ... ...
500층에 도전하는 초고층 빌딩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엘리베이터가 설치되면서 고층 빌딩을 일컫는 마천루가 나타나기 시작했다.1909년 세계
최초
의 초고층 건물로 불리는 ‘메트로폴리탄라이프타워’가 뉴욕에 건설됐다. 이 건물은 50층 높이다. 1913년 57층 규모의 울워드 빌딩이 뉴욕에 등장했다. 1929년에는 당대 최고 높이인 77층의 크라이슬러 빌딩이 ... ...
"배아복제 연구 재개" 황우석 교수팀 美서 공식선언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문 교수는 “최근 영국 정부가 뉴캐슬대 연구팀에 대해 연구 허용 방침을 정했고
최초
의 복제양 돌리를 탄생시킨 로슬린 연구소 이언 윌머트 박사에게도 곧 연구를 허용할 것이라는 소식이 전해지고 있다”면서 “일본도 허용 방침을 정했고 중국 등 기존 연구팀들이 연구에 박차를 가하고 ... ...
01. 멀수록 강해지는 이상한 힘 규명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물질의 최소단위는 무엇일까? 쿼크다. 쿼크는 1964년 미국의 물리학자 머레이 겔만이
최초
로 그 존재를 주장했고, 겔만은 이 공로를 인정받아 1969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그렇다면 쿼크와 글루온을 중성자나 양성자, 중간자로 결합시키는 힘은 무엇일까? 바로 강력이다. 그렇다면 물리학자들의 ... ...
RNA로 유전병 고친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우선 RNA 간섭은 바이러스 감염성 질환 치료에 이용될 수 있다. 현재 RNA 간섭 기술을 세계
최초
로 개발해 원천특허를 확보한 투셀 박사를 중심으로 설립된 생명공학기업인 알나이람(Alnylam)뿐 아니라 시르나사를 비롯한 많은 제약회사와 대학 연구진들이 여러 종류의 암과 에이즈 바이러스, 간염 ... ...
X선 회절분석기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시작됐다. 1895년 독일 물리학자 빌헬름 뢴트겐이 X선을 발견한 후 1912년 막스 폰 라우에가
최초
로 X선 회절을 이용해 결정구조를 밝힐 수 있다고 예측했고, 같은 해 X선 회절무늬 사진 촬영이 실제로 성공했다. 1950년대 DNA의 이중나선 구조를 발견하는데도 X선 회절무늬가 결정적 역할을 했다. 그렇다면 ... ...
02. '죽음의 입맞춤' 유비퀴틴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있었다.유비퀴틴은 1975년 당시 면역에 관여하는 단백질로 알려져 있었고 흉선에서
최초
로 분리됐다. 과학자들이 흉선 이외에 어디에 이 단백질이 있는지 조사한 결과 놀랍게도 모든 조직에서 관찰됐다. 그래서 ‘어디에나 존재하는’ 이라는 의미의 라틴어를 따서 ‘유비퀴틴’ 이라고 이름붙인 것. ... ...
이전
323
324
325
326
327
328
329
330
3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