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상
진상
실제
진실
실태
현실
진리
스페셜
"
사실
"(으)로 총 3,989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술이 안 받는 사람은 안 먹는 게 낫다!
2018.01.16
끊어질 경우 이를 복구하는 과정에서 염색체가 잘못 연결될(전좌) 위험성이 있다는
사실
을 발견했다. 이처럼 심각한 손상을 입을 경우 인체 시스템은 세포사멸을 유도하고 그 결과 조혈줄기세포가 줄어들어 빈혈로 이어진다. 알데히드를 대사하는 Aldh2 유전자 양쪽이 다 변이형이고 동시에 손상된 ... ...
[표지로 읽는 과학] 몸통까지 완성된 프랑켄슈타인, 뇌 이식 남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13
'프랑켄슈타인: 현대의 프로메테우스'는 여전히 과학계의 화두다. 프랑켄슈타인은
사실
원작에서 괴물을 만들어 낸 과학자의 이름이었지만 수많은 영화나 연극 등의 작품에서 인간이 만든 괴물의 이름으로 각색돼 더 널리 알려졌다. 충동적이고 난폭할 뿐아니라 연민도 느낄 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9000년 전 사냥개의 활약상 생생하게 묘사된 암각화 감상법
2018.01.09
모습이 지중해 동쪽 레반트 지역의 토종개인 케이넌 도그(Canaan dog)와 매우 비슷하다는
사실
을 발견했다. 그림 위의 사진 두 장이 케이넌 도그로 아래 암각화에 등장한 개와 비슷해 보이지 않는가. 케이넌 도그는 몸무게가 16~25kg인 중형견으로 레반트 지역에서 예로부터 양치기개로 길렀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장내미생물이 피부암 치료에 도움 준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07
연구팀은 악성 흑색종 환자들의 대변 샘플에서 특정 박테리아의 수치가 특히 높은
사실
을 확인했다. 악성 흑색종은 멜라닌 색소를 만드는 멜라닌 세포의 악성화로 생기는 피부암으로 다른 피부암보다 전이가 빠르고 치명적이다. 연구팀은 악성 흑색종 환자 42명의 대변 샘플을 채취했다. 42명 중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남의 시선과 의무감을 벗어던질 때 최고의 성과가 나온다
2018.01.06
시선에 대한 걱정이나 의무감 등에서 벗어나 일과 자신이 하나가 되는 경험을 한다는
사실
을 밝혀냈다. 이를 몰입(flow)이라고 한다(Nakamura, & Roberts, 2017). 일례로 운동 선수들의 경우 시합 전에는 자신의 기량이나 약점, 이전에 실수했던 경험, 사람들의 평가 등을 떠올리며 한참을 걱정하다가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카페라테의 유체역학
2018.01.02
속도가 어느 정도 이상이 돼 두 층의 밀도 기울기가 완만해야 다층구조가 나온다는
사실
이 밝혀졌다. 위는 초속 0.17m로 주입한 경우로 두 층으로 이뤄진 구조가 30분이 지나도 그대로다(a와 b). 가운데는 초속 0.37m로 주입한 경우로 일곱 층으로 이뤄진 다층구조가 됨을 알 수 있다(c와 d). 아래는 ... ...
정신적으로 성숙해진다는 것
2017.12.30
한 번 찾아오면 우리 안에 또아리를 틀고 앉아 영원히 나가지 않을 것처럼 여기곤 하지만
사실
은 많이들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이렇게 자연스럽게 스스로 평정심을 찾아가는 사람들에게는 이미 잘 보내고 있던 감정을 애써 떠올려보거나 관련된 기억을 곱씹는 등의 처치가 되려 부작용을 낳기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오메가3 지방산, 몸에 좋은 것만은 아니다
2017.12.27
못했다. 그럼에도 sEH 효소의 활성을 억제할 경우 당뇨망막병증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사실
은 당뇨로 인해 시력을 잃을 위험성이 높은 사람들에게는 병의 진행을 막을 수 있는 약물이 나올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서 희망을 주고 있다. 2007년 학술지 ‘의약화학저널’에 sEH의 억제제 t-AUCB가 먹는 약물로 ... ...
슬픔을 꽤 잘 견디는 사람들의 패턴
2017.12.23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GIB 제공 ● 삶은 계속 될 것이다 한 가지 흥미로운
사실
은 상실 후 큰 슬픔을 느끼지 않는 것이 방어적이거나 슬픔을 억누르는 행동이라고 보는 시각과 다르게, 많은 사람들(약 45%)이 슬픔을 꽤 잘 견디며 사건 발생 6개월 정도 후에는 사건 전과 비슷한 수준의 정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내 기억력의 품질, 관리하기 나름
2017.12.19
말이다. 여기에 하나를 더하자면 잠을 충분히 자는 것이다. 잠이 기억을 공고히 한다는
사실
은 잘 알려져 있지만 최근 연구에 따르면 이와 더불어 고유망각 과정을 억제하기 때문이다. 이스쿠이에르두는 “진짜 망각은 뉴런이나 시냅스의 폐기 또는 소멸에서 비롯된다. 그것은 기술이 아니다. ... ...
이전
318
319
320
321
322
323
324
325
3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