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상
진상
실제
진실
실태
현실
진리
스페셜
"
사실
"(으)로 총 3,989건 검색되었습니다.
[지뇽뇽 사회심리학] 나 지금 이대로 괜찮은 사람이야
2018.05.12
보인다. 자존감은 높지만 스스로에게 너그럽지 못한 사람들은 자신이 실패했다는
사실
을 받아들이기가 두려워 애꿎은 타인에게 책임을 전가하는 경향을 보이기도 한다. 반면 스스로에게 너그러울줄 아는 사람들은 자신의 잘못이 존재한다면 쿨하게 인정하고 책임지려는 모습을 보이는 편이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나이가 들면 왜 효자손이 필요할까
2018.05.08
신호를 전달한다. 나이가 들어 메르켈 세포가 주는 게 만성적인 가려움증의 원인이라는
사실
이 최근 밝혀졌다. - 위키피디아 제공 건조한 피부도 가려움에 취약 연구자들은 이런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가려움의 신경회로 모형을 제시했다. 즉 젊은이의 피부에서는 가벼운 물리적 자극을 ... ...
70만년 전 인류는 어떻게 바다를 건너 필리핀에 왔나
동아사이언스
l
2018.05.03
이들에게도 (그 동안 다른 지역의 전유물로 여겨진) 정교한 도구 제작 문화가 있었다는
사실
을 알게 됐다”고 말했다. 13만~11만 년 전 중국 내륙에 살던 인류가 만든 뼈도끼. 돌 등을 다듬은 흔적이 남아 있다. -사진제공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치료제 나올까?
2018.05.01
상황이다) 환자 전부 진짜 약을 받은 임상시험이다. 이미 허가를 받은 약물로 안전성이
사실
상 확보된 상태에서 약효의 통계적 유의성을 보겠다고 죽어가는 사람들 절반에 가짜 약을 주는 건 비윤리적이기 때문이다. 다만 정식 3상 임상시험에서도 그런지 아니면 약효를 정확히 판단하기 위해 ... ...
우리가 네안데르탈인이 아니라 호모 사피엔스인 이유, 뇌 구조!
동아사이언스
l
2018.04.26
호모 사피엔스의 뇌 구조를 비교한 결과, 호모 사피엔스의 소뇌가 8배 가량 더 크다는
사실
을 발견해 ‘사이언티픽 리포트’ 26일자에 발표했다. 소뇌는 언어 능력이나 집중력 등과 관련 있다고 알려져 있다. 왼쪽은 호모 사피엔스, 오른쪽은 네안데르탈인의 두개골 모형이다. 뇌 용량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흡은 어떻게 감정을 조절할까
2018.04.24
변연계와 변연계 앞 전전두엽에 전달돼 뉴런네트워크가 동조해 감정을 조절한다는
사실
이 밝혀졌다. 변연계 앞 전전두엽은 변연계와 정보를 주고받으며 공포와 불안을 지각하는 영역이다. 미국 펜실베이니아 밍홍 마 교수팀은 생쥐를 대상으로 조건화된 공포로 몸이 얼어붙는 반응과 코를 통한 ... ...
남북 종전 선언 기대 속… 북한 IT과학은 어느 수준?
2018.04.19
일반적인 SNS와 똑같습니다. 북한이 이같은 페이스북 복제품을 개발해 사용한다는
사실
은 미국의 온라인 인프라 업체 딘네트웍스의 더그 매더리가 북한 DNS에 기반한 페이스북 복제 시스템을 발견하며 드러났습니다. 그리고 이 사이트는 스코틀랜드 출신 10대 소년에 의해 곧바로 해킹됐는데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위산과다 치료제, 세대교체 일어나나?
2018.04.17
potassium ion-competitive acid blocker. 이하 P-CAB)’ 개념을 떠올렸다. 양성자 펌프는
사실
양성자 혼자 이동시키는 게 아니라 칼륨이온(K+)과 연동해 작동한다. 앞의 양쪽 문 출입구 비유를 들면 이렇다. 세포막을 사이에 두고 왼쪽이 위 내강이고 오른쪽이 세포질이다. 세포 안에 있는 양성자(수소이온)가 ... ...
[표지로 읽는 과학] 나무는 어떻게 겨울잠을 잘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4.14
낮의 길이가 줄어들면 아브시스산과 해당 호르몬 수용체가 늘어나면서 반응이 증폭되는
사실
을 확인했다. 이런 변화는 세포 사이 구멍을 막아 원형질 연락사가 통신을 중단시키는 원인이 되는 것이다. 세포 사이 구멍이 막히면 식물체 내에서 성장 촉진 신호를 계속해서 만들어내도 성장이 정지된 ... ...
[호킹, 별이 되어 떠나다] 호킹의 말로 되돌아본 그의 삶
과학동아
l
2018.04.11
게로치, 그리고 나는 일반상대성이론 내 인과구조에 관한 이론을 개발했다. 한 분야를
사실
상 우리가 독차지하는 기분은 정말 멋졌다”며 호킹은 당시의 성과를 자서전에서 회상했다. 호킹은 연구의 일부를 1966년 박사학위논문으로 펴내 대학에서 애덤스 상을 받았다. "이론물리학자는 단 ... ...
이전
314
315
316
317
318
319
320
321
3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