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상
진상
실제
진실
실태
현실
진리
스페셜
"
사실
"(으)로 총 3,989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객성과 신성과 초신성
2017.09.05
찬드라세카 질량에 이른 백색왜성이 중력수축을 하다 폭발한 게 1형 초신성이지만
사실
다른 시나리오도 있다. 즉 근접쌍성계의 두 별의 질량이 비슷해 비슷한 시기에 둘 다 백색왜성이 될 경우 그 어느 쪽도 동반성으로부터 물질유입을 기대할 수 없다. 그런데 둘 사이의 거리가 아주 가까울 경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섹스와 젠더의 과학
2017.08.29
재조사에 들어갔고 여성이 이 약물을 대사하는 속도가 남성에 비해 꽤 느리다는
사실
을 발견했다. 결국 FDA는 여성의 경우 복용량을 기존의 절반으로 줄이게 했다. 스테패닉 교수는 “2016년 미국립보건원(NIH)은 성별(sex)을 생물적 변수로 명시할 것을 요구했다”며 이제 의학에서 섹스의 중요성이 ... ...
백인우월주의자는 어떤 성향의 사람들인가
2017.08.26
반면 흑인의 권익 향상을 위한 행동들은 부정적으로 보는 경향을 보였다. 흥미로운
사실
은 경제적 불안감이 이들의 극우화를 촉진시켰을 것이라는 일반적인 생각과 달리 미국의 현재 그리고 앞으로의 경제 상황을 평가해보라고 했을 때 극우 집단의 평가와 일반인 집단의 평가가 크게 다르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플라스틱을 분해하는 애벌레가 있다고?
2017.08.15
아무튼 베르토치니 박사는 꿀벌부채명나방 애벌레가 폴리에틸렌필름을 먹는다는
사실
을 재확인했다. 즉 폴리에틸렌봉지에 애벌레 100마리를 넣고 12시간이 지난 뒤 조사한 결과 구멍이 220개나 뚫려 있었고 질량이 92mg 줄었다. 그러나 이 결과만으로는 애벌레가 플라스틱을 분해했다고 말할 수는 ... ...
최초의 미국인은 어디서 왔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8.13
이용한 이동이 정설처럼 됐던 것. 하지만 과학자들의 여러 연구 결과로 인해 이 정설은
사실
이 아닌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대표적으로, 과학자들이 얼음 없는 통로 지역 땅을 연구한 끝에 이곳에 식물이 처음 등장한 것이 1만2600년 전이라는 분석을 내놨기 때문이다. 클로비스 문화가 생겨난 지 100 ... ...
중고 카메라에서, 37년전 화산 폭발 장면 발견돼
팝뉴스
l
2017.08.09
보던 것과 달랐다. “이거 혹시 세인트헬렌이 폭발하는 장면 아닐까?” 그녀의 짐작은 곧
사실
로 판명되었다. 이 골동품 카메라는 37년 세인트헬렌 화산이 폭발하기 시작할 때부터 상당 기간이 경과할 때까지를 찍은 필름들로 가득 차 있었다. 오리건주 지방지 ‘오리거니언’은 이 희귀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내미생물을 활용해 건강하게 살 방법은?
2017.08.08
대사에 장내미생물이 깊숙이 관여하고 있고 우리 건강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사실
이 하나둘 알려지고 있음에도 아직 갈 길은 멀다. 무엇보다도 장내미생물의 어떤 종이 어떤 효소를 이용해 생체이물 대사를 하는지 알아내는 게 꽤 어려운 일이기 때문이다. 게놈이나 유전자의 유사성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생쥐의 앞발이 손이 되지 못한 사연
2017.08.01
되자 완전히 사라졌다. 연구자들은 이 과정에서 ‘PlexA1’이라는 유전자가 관여한다는
사실
을 알아냈다. 그렇다면 이 유전자 스위치를 끄면 성장과정에서 회로가 유지돼 생쥐도 사람처럼 손가락을 움직일 수 있게 될까. 이 유전자의 스위치가 꺼진 변이 생쥐를 만들어 실험한 결과 앞발이 손의 ... ...
오지랖 넓은 한국사회에서 자신을 되돌아 보는 방법
2017.07.30
사이 나는
사실
밥을 느리게 먹는 걸 좋아하고 걸음걸이도 상당히 느린 사람이라는
사실
을 깨닫게 된 적이 있다. 이전에는 사람들과 함께 우르르 활동하는 것 외에 내가 어떤 걸 좋아하는지도 잘 몰랐는데 혼자 있는 시간을 통해 홀로 잔디밭에 누워있는 즐거움, 홀로 산책하는 즐거움, 손으로 뭔가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우린 어떻게 습기를 느낄까
2017.07.25
예쁜꼬마선충이 습도를 지각할 때 정말 기계감각 경로와 온도감각 경로가 관여한다는
사실
을 발견했다. 즉 초파리의 더듬이에서와 마찬가지로 습도가 선충 피부의 큐티클층의 수화 정도(팽창)와 수분의 증발에 따른 냉각 속도에 영향을 미친 결과라는 말이다. 기계감각의 경우 FLP 뉴런을 통해 ... ...
이전
322
323
324
325
326
327
328
329
3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