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내아이
보이
남자아이
소년
아들자식
꼬마
동자
d라이브러리
"
남아
"(으)로 총 3,766건 검색되었습니다.
(2) 벙어리 컴퓨터가 달변가로 변신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우리 앞에 선은 보였지만 일반 대중에게 접근하기 위해서는 몇가지 문제가 아직
남아
있다.그 첫번째는 멀티미디어 컴퓨터를 활용할 수 있는 각종 소프트웨어 및 응용 분야의 개발이다. 각종 시청각 교재를 담은 CD롬이라든지 사전 잡지 같은 각종 정보들이 CD 롬에 담기게 되면 멀티미디어 컴퓨터도 ... ...
새기술 새발명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그만이지만 그동안 대량생산하는 방법을 찾아내지 못해 '실험실 속의 물질'로만
남아
있었다.그런데 최근 유전공학연구소의 이상기박사팀(대사공학연구실)이 히루딘을 유전공학적으로 얻어낼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해냈다. 히루딘을 만들 수 있는 유전자를 거머리의 침샘에서 뽑아낸 뒤 이를 효모에 ... ...
생명연장을 위한 인류의 도전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것에 익숙해지는 동안 심장외과의사들은 멈추어 서야만 할 것이다."그 뒤 1967년 12월 3일
남아
프리카의 심장외과의사 크리스티안 버나드는 54세난 환자에게 사상 최초로 뇌사(腦死)한 젊은 사람의 심장을 이식했다. 이 환자는 수술 뒤 18일 동안 생존하다가 그람음성균에 의한 폐렴으로 사망했다. 당시 ... ...
스티븐 메이슨 「과학의 역사」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과학과목을 공부하면서 과학이 이미 너무 발달해 버려 앞으로 내가 할 일이 과연
남아
있을까 하는 생각을 해본 사람이 많을 것이다. 이런 생각을 하게 되는 것은 자연과학을 큰 흐름속에서 파악하지 않고 단편적인 지식을 암기하는 데만 시간을 보낸 데서 온다. 우리가 알고 있는 과학지식을 인류가 ... ...
스타시티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지구로 귀환한다. 샤만은 곧바로 돌아왔고 선장 아르체바르스키와 콜리칼료프는 미르에
남아
임무수행에 들어갔다. 문제는 91년 10월 이들과 임무교대할 소유즈 TM 13호를 쏘아올릴 때 발생했다. 13호의 발사비용을 부담하고 우주비행을 할 차례는 오스트리아인 비보크였다.그런데 여기서 훼방을 놓고 ... ...
준비는 완료, 장기확보가 문제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신장기능은 25%만 살아있으면 인체에 해가 없다. 따라서 한쪽을 떼어낸다해도 50%가
남아
있어 별문제가 없으며 게다가 신장은 왼쪽과 오른쪽이 서로 역할분담을 하고 있지 않고 나빠지게 되면 양쪽이 함께 나빠지므로 한쪽을 떼어줬다해서 질병에 걸릴 확률이 높아지는 것은 아니다"라고 설명한다 ... ...
헤라클레스를 시험한 불사의 괴물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알려진 운석 중에서 가장 큰 것은 미국 애리조나 주에 떨어진 것으로 지금은 그 구멍만이
남아
있는데 그 지름이 1.2km나 된다.맑은 날 밤 우리는 보통 매 시간당 수 개 정도의 유성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연중 특별한 때, 즉 지구가 혜성의 궤도를 통과하게 될 때에는 무척 많은 유성이 떨어지게 된다. ... ...
컴퓨터 그래픽의 「마술」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야심작 수준으로 만족해야 했다. 그러나 컴퓨터의 위력은 오렛동안 사람들의 뇌리에
남아
있었다.휘트니의 아들 존 휘트니 2세는 아버지의 실패에 설욕이라도 하겠다는듯이 다시 컴퓨터 영화업에 뛰어들었다. 이번에는 좀더 첨단무기인 슈퍼컴퓨터 크레이 X-MP를 이용해서 트론보다 무려 7백배나 ... ...
아시모프의 삶과 꿈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없다. 그러나 한가지 분명한 것은, 그가 남긴 그 방대하고 독보적인 업적들은 영원히
남아
인류문명의 원동력이었던 상상력과 영감의 세계를 살찌워갈 것이라는 사실이다 ... ...
(2) 유전병 치료의 새 시대 열어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이 플라스미드는 세포 분열시에 자세포(子細胞)로 분리되지 않고 모세포(母細胞)에
남아
있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 복제원은 복제는 얼마든지 가능하지만 염색체를 분리시키는 데에는 솜방임을 곧 알게 되었다.그후 1980년에 미국 산타바바라 소재 캘리포니아주립대학의 클라크(Clarke)와 카본(Carbon ... ...
이전
316
317
318
319
320
321
322
323
3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