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내아이
보이
남자아이
소년
아들자식
꼬마
동자
d라이브러리
"
남아
"(으)로 총 3,766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한랭화를 주도하는 대빙하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등 오랜 지질시대를 통해 반복돼 왔다. 하지만 빙하의 원인규명은 아직 미해결인 채로
남아
있다.현재를 간빙기로 간주하고우리 인류의 관심은 앞으로 지구의 기후는 어떻게 변할까 하는 문제다. 앞으로도 지구상의 모든 자연현상이 지금처럼 자연법칙에 잘 따른다고 가정하면 언젠가는 또다른 ... ...
머리좋은 생물들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때문이다. 한때 원시시대의 바다속을 누비던 두족류의 1만종중에서 7백종만이 아직도
남아
있다. 두족류는 8개 혹은 그 이상의 팔이 머리를 둘러싸고 있으며 날카로운 턱안에는 먹이를 거칠게 문지르는 치설이 있다. 강한 외피근육은 재빠른 동작을 가능케하는 분사추진시스템을 통제한다. 동작이 ... ...
3 그림으로 보는 우주구조 우주는 과연 끝이 없는가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우주는 무한한가 유한한가' 이 명제는 우주가 영원히 팽창할 것인가, 아니면 어느 순간에 다시 수축해 무한 밀도의 한점이 될 것인가라는 문제와 관련돼 있다. 외부 은하들이 그 거 ... 누가 그 큰 구조물을 만들었을까? 이것 또한 현대 천문학자들에겐 커다란 미해결 문제로
남아
있다 ... ...
테마에세이/환경과 인간⑦ 바다 쓰레기로 해양생물 몸살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것만 같다. 하지만 언제까지 푸른 바다가 사람들의 가슴속에 영원한 동경의 대상으로
남아
있을 수 있을까? 올여름 엄마 아빠를 따라 해수욕장에 피서를 다녀온 어린이에게 바다를 그려보라고 한다면 아마도 도화지에 쓰레기가 밀려온 더러운 해변을 그려 놓을지도 모른다 ... ...
로키 고원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보네빌화석호수는 오늘날의 그레이트 솔트(Great Salt)호수로서 유타주 북부에
남아
있으며, 천일제염으로 유명하다. 주변에는 수분이 증발한 후 염분이 단단한 지층을 이루는 평원사막(salt flat)과 염분이 쌓인 염분 습지가 자동차로 수시간을 달려도 계속될 만큼 넓게 발달해 있다.신생대 제4기에는 ... ...
(1) 효능 입증안된 것이 대부분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얻고 있으나 방부제 성분의 절대량 부족으로 인해 장기간 보관할 수 없다는 점이 문제로
남아
있다.스스로를 민감성 피부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어린이나 주니어화장품을 바르는 경우가 많은데 이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성인의 피부와 어린이 청소년의 피부는 근본적으로 다르기 때문이다."성인의 ... ...
핵사찰로 주목받는 우라늄과 플루토늄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그다음 환원제를 이용해 우라늄의 원자가를 변환시켜 주면 우라늄이 더이상 용매에
남아
있을 수 없게돼 분리된다. 이렇게 분리한 우라늄과 플루토늄은 핵연료로 다시 쓰고 질산에 녹은 핵분열 생성물은 건조시켜 가루로 만든 후 유리를 만드는 원료와 함께 섞어 고화시킨 후 영구 폐기하게 되는데 ... ...
'극초미니' 탐침현미경 STM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극치흔히 원자의 '파도타기'는 균형의 극치로 표현되기도 한다. 이동하는 원자와 표면에
남아
있는 원자 사이에서 역학관계가 절묘하게 맞아떨어져야 한다는 말이다. 우선 원자를 끄는 힘이 원자가 불룩 튀어나온 표면을 타고 넘어 움푹 패인 곳으로 가지 못하게 막는 힘, 즉 수평력을 초과해야 ... ...
경제개발·환경보존 두 토끼 동시에 잡을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대부분의 내용이 확정됐지만 재정조달과 집행방법의 문제 등 민감한 사안이 토의거리로
남아
있어 회의결과가 주목된다.더워지는 지구, 파괴되는 생태계70년대 이래 지구환경문제에서 가장 중요한 의미를 갖는 것은 오존층 보존과 지구기후변화방지를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다. 실제로 이 두 문제는 ... ...
「지구의 산소탱크」열대우림이 사라진다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1년이면 남한만한 면적의 열대숲이 사라지고 있는 것이다. 지금의 속도라면 2050년에는
남아
있는 열대우림이 모두 파괴될 것으로 예측된다.열대우림의 파괴가 계속되고 있는데는 여러가지 이유가 있다. 대부분의 열대우림은 가난한 저개발국에 있다. 이들 국가들은 밀림의 나무들을 베어낸 땅에 ... ...
이전
315
316
317
318
319
320
321
322
3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