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내아이
보이
남자아이
소년
아들자식
꼬마
동자
d라이브러리
"
남아
"(으)로 총 3,766건 검색되었습니다.
(5) 신경망컴퓨터 어느 수준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잊었으나 두사람의 짧은 만남을 묘사한 오 헨리의 절제된 글솜씨에 대한 감탄은 아직도
남아
있다. 이린시절 친구였던 두사람이 20년이 지나 한 사람은 범죄자가 되고 또 한 사람은 경관이 되어 약속된 장소에 오게 되지만, 짧은 순간 친구의 신원을 확인한 두 사람을 서로를 위해 상대방의 존재를 ... ...
한반도 자연과 밀접한 관계 드러낸 중국동북지방의 식물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토지의 변화가 없는 한, 어떤 지역의 잠재자연식생이란 바로 이 지역에 아주 단편적으로
남아
있는 원시림(원식생)을 의미하게 된다. 잠재자연식생은 그 지역의 자연적인 유전자를 모두 가지고 있는 유전자의 창고(Gene Pool)이며 미래의 가장 강한 자연인 것이다. 이 원식생에 대응되는 용어가 ... ...
멋진 별밤을 약속하는 용감한 사냥꾼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만든데서 비롯된 말이다. 그러나 이 별자리는 통용되지 않고 이 유성우의 이름에만
남아
있다)이다. 1월 4일밤 매시간 1백개 정도의 유성이 북두칠성의 손잡이 부근에서 떨어진다. 이것이 바로 사분의자리 유성우인데, 이 유성우는 그 활동시간이 단 몇시간 정도로 아주 짧다는게 아쉬운 점이다.선과 ... ...
베네치아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백70여년에 걸쳐 베네치아사람들이 사랑했던 곳으로 지금도 19세기 초기의 모습이 그대로
남아
있다. 이 고전적이고 우아한 분위기가 방문객을 매료시킨다. 이 카페가 갖는 독특한 분위기 때문에 많은 유명인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고 한다. 18세기의 유명한 플레이보이 카사노바도 이 카페의 ... ...
클레오파트라의 바늘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옮겨진 대리석 조각품들은 고스란히 원형이 보존되어 있는데 반해, 로마에
남아
있는 같은 시기의 야외 조각품들은 심하게 부식되어 버렸다. 미켈란젤로가 만든 로마의 마르쿠스아우렐리우스상은 금속이 부식되어 크게 망가져 버렸고, 베니스의 아름다운 왕궁과 기념비들도 큰 피해를 입었다. ... ...
브라질 원주민 야노마미족 옛집 되찾아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정부로부터 이땅을 약 2백만달러에 사들였는데, 이곳의 광산자원은 여전히 정부소유로
남아
있다.이제 아마존습지를 보호하기 위한 노력은 이른바 '생태경제학적인 구획정리'라는 계획에 따라 보다 본격화될 전망이다. 이 계획은 경제발전을 위해 지구촌의 허파인 이 지역을 완전히 파괴하는 일을 ... ...
'교사 목소리 담긴 정책이 아쉽다'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있지만 흑백 TV를 보던 20년전이나 오늘에나 '과학대중화'는 변함없이 요원한 과제로
남아
있다는 얘깁니다. 우리는 '과학'을 어디서 어떻게 만났습니까? 컴퓨터 자동차 TV 신문 잡지 등 온갖 매개체들이 머리에 떠오르지만 사실 그 첫대면은 국민학교 자연시간의 '각설탕'이나 '민들레'가 아니었는지요 ... ...
밤하늘은 천체교육의 산 교실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그림1)은 금성이 태양의 동편에 있어서 태양보다 나중에 지게돼 서녘 하늘에 저녁별로
남아
있는 경우를 촬영한 사진이다. 이 날 아침에는 금성이 물론 태양보다 나중에 뜨게 돼 이미 밝아진 하늘에서 우리는 금성을 볼 수 없다. (그림1)과 같은 경우를 매일 관측하면 금성이 태양으로부터 (그림2)와 ... ...
저녁 놀 빛깔로 대기오염도 알 수 있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따라서 이미 산란이 많이 된 파란색은 볼 수 없고 파장이 긴 붉은 색만이 마지막까지
남아
관측된다.반면 정오에는 태양빛이 거의 수직각도로 지표면에 쏟아지고 대기층도 가장 얇게 거치기 때문에 산란정도가 크지 않아 파장이 짧은 파란색이 두드러져 보인다.그러나 레일라이는 대기오염이 놀 ... ...
(3) 과학동아 편집실이 뽑은 '6공' 과학기술계 10대뉴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세계최초'라는 타이틀과 함께 화려하게 지면을 장식했지만 여전히 미완성인 상태로
남아
있는 것이다. 아무튼 이같은 신물질 열풍은 신물질 창출건수에 관한한 세계1등국인 일본을 따라잡기 위한 첫걸음으로 볼 수 있다.G7프로젝트 91년들어 본격화2천년대 한국과학기술을 이른바 서방선진7개국(G7) ... ...
이전
320
321
322
323
324
325
326
327
3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