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정도"(으)로 총 4,081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가난과 불공정2018.02.17
- 절대적인 이익뿐 아니라 ‘룰이 공정한가’에도 크게 집착하는 동물이기 때문에 약 50-70% 정도의 사람이 이런 불공정한 제안을 거절한다고 한다. 이렇게 많이들 불공정한 제안을 거절하지만, 연구자들의 분석 결과 나이, 성별, 교육수준, 인종과 상관 없이 집안 소득이 낮은 사람들이 소득이 높은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당신은 칼슘맛을 느끼십니까2018.02.13
- 많은 사람들이 감칠맛을 내는 MSG의 맛을 짠맛으로 느끼고 있어 정확한 맛 평가가 어려울 정도이고, 음식에 단백질이 들어있음을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는 설명도 설득력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MSG가 단백질을 이루는 아미노산인 글루탐산의 나트륨 염(salt)인 건 맞지만 다시마나 버섯처럼 단백질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행복이, 건강이, 성공이 정말 당연해?2018.02.10
- ’라는 질문을 던져보았다. 바깥에서 잘 보이지 않을 뿐 병원에는 병실이 모자랄 정도로 많은 환자들이 있었다. 질병도 다양해서 층층이 서로 다른 진료과들이 있었고 흔히 들어본 질병들보다 난생 처음 들어보는 질병들이 더 많았다. 환자들의 사연도 다양해서 이제 막 취직했는데 병이 발견되어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구글은 왜 벌거숭이두더지쥐에 주목했나2018.02.06
- 세로축으로 로그척도다. 숫자에 100을 곱하면 %다.)을 보여주는데 곰페르츠 법칙이 놀라울 정도로 잘 들어맞는다. 하지만 사람을 빼면 많은 개체를 수명을 다할 때까지 키우는 개나 고양이 말고는 포유류의 최대수명을 알기 어렵다. 야생에서 늙어죽는다는 건 드문 일이므로 알 수가 없고 결국은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설탕보다 낫다더니... 트레할로스의 씁쓸한 이면2018.01.30
- 교란한 결과라는 충격적인 사실이 밝혀졌다. 물론 제조업체가 좀 더 일찍 대응했다면 이 정도로 큰 피해가 나지는 않았겠지만 아무튼 딱한 일이다. 가격 급락하며 식품첨가제로 쓰여 학술지 ‘네이처’ 1월 18일자에는 가습기살균제가 연상되는, 그럼에도 인과관계가 여전히 이해가 잘 안 되는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자존감의 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마라 2018.01.20
- 않은 사람들에 비해 몇 가지 기분 좋거나 기분 나쁜 일에 의해 기분이 요동을 치는 정도가 덜 한 등 ‘평정심’을 더 잘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를 포함, 글을 쓰는 등의 창작 활동을 하는 사람들 중에도 일이 조금 잘못되기라도 하면 마치 ‘나’라는 사람 전체가 우르르 무너져 내린 것처럼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나만 친구 없어! 나만 불행해! 라는 생각이 찾아올 때 2018.01.13
- 의미 없고 쓸모 없을지 모른다는 불안감을 안고 살아간다. 한계가 많은 인간으로서 각자 정도는 달라도 우리 모두 나름의 짐을 지고 살아가는 셈이다. 하지만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자기 품 안의 짐만 바라보며 내가 제일 어려운 상황에 처해있고 나만 각종 고통을 당하고 좋은 일은 꼭 나만 빗겨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9000년 전 사냥개의 활약상 생생하게 묘사된 암각화 감상법2018.01.09
- 묘사돼 있어서 사냥 장면을 직접 보는 듯하다. 논문을 읽으며 당시 개와 사람이 이 정도 수준으로 협력할 수 있었다면 공동 사냥의 역사는 한참 더 거슬러 올라갈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시프먼 교수의 주장이 꽤 설득력이 있다는 말이다. 고고학에서 바위에 새겨지거나 그려진 암각화나 벽화는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남의 시선과 의무감을 벗어던질 때 최고의 성과가 나온다 2018.01.06
- 복잡한 경험을 한 이후로는, 물론 싫어도 해야하는 일들이 존재하지만, 적어도 한 두가지 정도는 순전히 나의 선택으로, 그저 그 일을 하는 내가 기쁘고 즐거워서 하는 성격의 것들로 채워 두는 게 정신 건강에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누가 인정해주든 인정해주지 않든 그저 내가 너무 기쁘고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카페라테의 유체역학2018.01.02
- 역할)로 다층구조가 나오는 조건을 찾은 결과 밀도가 낮은 액체를 튜입하는 속도가 어느 정도 이상이 돼 두 층의 밀도 기울기가 완만해야 다층구조가 나온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위는 초속 0.17m로 주입한 경우로 두 층으로 이뤄진 구조가 30분이 지나도 그대로다(a와 b). 가운데는 초속 0.37m로 주입한 ... ...
이전3143153163173183193203213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