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정도"(으)로 총 4,081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강간범과 일반인의 차이2018.05.26
- 또 강간 상황을 구체적으로 서술한 오디오를 들려주었다. 음경에 장치를 부착하여 발기 정도, 즉 성적 흥분도를 측정했는데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N: 중립적 사건 C: 남녀가 합의하에 관계 R: 강간 Nv: 성적이지 않은 폭력 상황 M/F: 남성 화자, 여성 화자로 이야기가 전개됨 E/S: 여성이 ... ...
- [표지로 읽는 과학] 연구책임자-신진연구자 온도차 줄일 수 있을까?동아사이언스 l2018.05.20
- 자신의 연구 주제를 간단히 설명할 수 있을 거라고 답한 비율은 81%였고, 제대로 토론할 정도로 안다고 답한 비율은 69%로 떨어졌다. 핵심 분야 외의 분야를 연구할 자유가 있다는 신진과학자 역시 70%대로 PI의 주장과 차이를 보였다. 가장 시각차가 큰 주제는 실험 자료(raw data)를 PI가 점검하는지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미의 과학, 꽃의 여왕은 이렇게 탄생했다2018.05.14
- 유전자에는 전이인자가 끼어 들어가 이 유전자가 고장 난 상태다. 그 결과 기온이 어느 정도 이상이면 주책맞게 계속 꽃을 피우는 것이다. 교배를 통해 올드 블러시의 고장난 KSN 유전자가 유입된 결과 현대장미(하이브리드 티 계열) 역시 오랜 기간 꽃을 피울 수 있게 됐다. 한편 홍조(blush)라는 ... ...
- [지뇽뇽 사회심리학] 나 지금 이대로 괜찮은 사람이야2018.05.12
- 90%의 사람들이 실패하는데 너라고 실패하지 않으면 안 되는 이유가 있냐고, 내가 이 정도로 그럭저럭 살아가고 있는 것도 실은 대단한 일이라고, 사랑받는 것 또한 당연한 일이 아니라고 삶에 대한 ‘현실적’이고 균형잡힌 시각을 갖는 것이다. 어쩌다 마음이 많이 힘들다면 이런 일로 힘들어하는 ... ...
- [사이언스지식IN]남북 협력으로 북한 산림 푸르러질 수 있을까동아사이언스 l2018.05.09
- 우리나라 산림 면적은 총 633만 50000ha로 전 국토의 63.2%를 차지합니다. 산림의 울창한 정도를 나타내는 임목축적은 1ha당 146m2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인 131m2를 상회하고 있습니다. 남북환 산림면적 현황 초록색이 산지다 -한국임업진흥원 제공 Q4. 한국정부는 북한의 산림에 어떤 도움을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나이가 들면 왜 효자손이 필요할까2018.05.08
- 0.02~0.4g다. 폰 프레이 털로 생쥐의 목덜미를 눌렀을 때 뒷발로 긁는 횟수를 측정해 가려움 정도를 평가한다. - ‘사이언스’ 제공 실험 결과 0.04, 0.07, 0.16g의 털로 목덜미를 눌렀을 때 생후 24개월 이상인 늙은 생쥐들은 생후 2개월인 젊은 생쥐들에 비해 뒷발을 올려 긁는 횟수가 훨씬 더 많았다. 반면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아이 지나치게 통제하는 부모의 공통점2018.05.05
- 부모들은 양육=통제라고 생각하는 걸까? 심한 경우이긴 하지만 자녀가 평소보다 집에10분 정도 늦게 왔다고 혼내거나 단지 이성 친구와 대화를 나누었다는 이유로 불같이 화를 내는 등의 경우들을 본 적이 있다. 자녀의 일거수일투족을 감시하고 통제하는 부모들의 자녀는 그렇지 않은 부모의 ... ...
- 일단 '시간통일'부터? 남북한 표준시 다른 이유동아사이언스 l2018.04.29
- UTC+0)과 9시간 차이나지만, 태양을 기준으로 한 서울이나 평양의 실제 시간과는 8시간 30분 정도 차이가 있다. 세종대왕 때인 1437년 완성된 해시계 앙부일구는 서울 종묘 남쪽 인근에 설치되었는데, 이 시계에 나타난 시각 역시 UTC+0과 8시간 28분의 차이가 있다. 국립고궁박물관에 전시 중인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개인의 노력을 탓하는 이유2018.04.28
- 과 자신의 힘으로 미래를 바꿀 수 있다고 믿는 통제감, 스스로를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정도인 자존감을 측정했다. 그 결과 남성과 여성, 사회적 지위가 상대적으로 높은 여성과 낮은 여성 모두에게서 실력주의에 대한 믿음이 통제감 및 자존감과 관련을 보였다. 모든 것이 본인 하기에 달려있다고 ... ...
- 논문으로 살펴본 북한 과학의 현재 과학동아 l2018.04.27
- 안보 ▲전통 의학 분야를 차례로 싣는다. 먼저, 북한의 과학기술 수준은 어느 정도일까?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은 2005~2015년 11년 간 과학기술논문인용색인(SCI)급 학술지에 등재된 북한 과학자들의 논문을 분석했다. SCI 등재는 연구결과의 학술적 의미가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는 의미다. ... ...
이전3113123133143153163173183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