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지금"(으)로 총 3,824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 후쿠시마 수산물 수입, 어떻게 해야 하나2017.10.24
- (낙진의 직접 피해를 받지 않았으므로) 전반적으로 부어류에 비해 방사능 수치가 높고 지금도 일본 정부의 허용치를 넘는 데이터가 종종 나온다(갈색 동그라미). 이는 해저 퇴적물에 방사성핵종이 꽤 있을 것이라는 조사 결과와 맥을 같이하는 현상이다. 특히 원전 항구에서 잡은 저서어류(갈색 x)의 ... ...
- ‘나는 멋진 사람’이라고 생각하면 정말 자존감이 높아질까2017.10.14
- (Neff, 2003). 또는 내가 믿지 않는 이야기보다 진심으로 믿고 있는 나의 한 두가지 장점(예, 지금까지 그럭저럭 잘해 왔잖아. 내가 끈기 하나는 좋잖아)을 떠올리거나, ‘소망’ - 예컨대 ‘내가 좀 더 행복해지길’ - 같이 내면의 반박으로부터 비교적 자유로운 이야기를 스스로에게 해주는 것이 더 ... ...
- 백두산은 과연 어떻게 생겨났나?... BMW vs 판구조론 격돌동아사이언스 l2017.09.27
- “BMW 모델 대로라면 1500만 년전부터 600만 년사이에도 계속 폭발이 발생했어야 하는데 지금까지 관측 결과 이 시기에는 화산 활동이 없었다”면서 “이런 부분을 설명하기위해 새로운 가설이 필요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화학적 분석에서도 BMW 모델로 설명할 수 없는 부분이 있다는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진드기, 성가신 게 아니라 두려운 존재!2017.09.19
- 40여 년 전 중국 중부의 다볘산에서 기원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그 뒤 돌연변이가 일어나 지금은 다섯 가지 계열로 분류하기에 이르렀다(각각 A, B, C, D, E)로 명명). 122개 게놈 데이터에는 우리나라에서 등록한 6개와 일본에서 등록한 8개가 포함돼 있다. 따라서 SFTS바이러스가 어떻게 한국과 일본으로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게놈편집으로 흰 나팔꽃 만들었다!2017.09.12
- 910년대까지만 해도 나팔꽃의 염색체 지도가 식물로는 세계에서 가장 앞서는 수준이었다. 지금도 나팔꽃은 원예식물의 모델로 다양한 측면에서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연구자들은 지난 수년 사이 대유행하고 있는 3세대 게놈편집기술인 크리스퍼/캐스9(CRISPR/CAS9)을 원예식물에 적용할 때 제대로 ... ...
- 지금 현재를 행복하게 살 수 있는 방법2017.09.09
- 이 저주를 조금이나마 줄일 수 있도록 마음이 떠돌아다니지 않게, 사람들로 하여금 지금 여기에 충실할 수 있게 하는 방법과 그 효과에 대해 연구하는 학자들이 있다(Brown & Ryan, 2003). 방법은 생각보다 간단하다. 오래 전부터 많은 사람들이 마음을 비우기 위해 즐겨온 ‘산책’을 하며 눈 앞에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객성과 신성과 초신성2017.09.05
- 그런데 그 위치가 2016년 위치와 살짝 달랐다. 이를 바탕으로 1437년 위치를 추정하자 지금 위치에서 동쪽으로 7.4초(여기서 초는 각도단위로 1초는 3600분의 1도) 북쪽으로 16.0도 지점에 있었을 것으로 추정됐다. 바로 성운의 중심에 해당하는 위치다. 즉 전갈자리 성운이 1437년 폭발한 신성의 잔해가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플라스틱을 분해하는 애벌레가 있다고?2017.08.15
- 인 대신 비소를 이용하는 게 아님을 입증한 연구결과가 2012년 ‘사이언스’에 실리면서 지금은 비소박테리아가 해프닝으로 기억되고 있다(그럼에도 ‘사이언스’는 비소박테리아 논문을 철회하지는 않았다). 당시 필자는 비소박테리아 논문을 읽어본 뒤 ‘이건 아닌 것 같다’는 예감이 들었지만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내미생물을 활용해 건강하게 살 방법은?2017.08.08
- 40년 전인 1970년대 흑백TV 시절 지상파에서 방영한 ‘미드’ 가운데 ‘타잔’이 지금도 기억난다. 타잔은 침팬지를 데리고 다녔는데 당시 어린이였던 필자는 이 녀석이 늘 부러웠다. 타잔에게 바나나를 얻어먹는 장면이 자주 나왔기 때문이다. 당시는 바나나가 엄청나게 비싼 과일이어서(지금 돈으로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우린 어떻게 습기를 느낄까2017.07.25
- 증발해 날아가기 때문이다. 그 결과 열을 빼앗겨 체온조절에 별 어려움이 없다. 그러나 지금처럼 고온다습할 때는 땀이 증발하는 동시에 대기 수증기의 물분자가 피부에 달라붙으므로(액화되며 열을 준다) 땀의 증발로 인한 냉각효과가 상쇄된다. 결국 피부의 수분은 제대로 증발되지 못해 쌓이고 ... ...
이전3113123133143153163173183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