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지금"(으)로 총 3,824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강박적 행복추구는 오히려 독이다2018.04.21
- 때문이다. 그저 한 발짝 떨어져 슬플 때는 ‘내가 지금 슬프구나’, 기쁠 때는 ‘내가 지금 기쁘구나’ 하고 생각하는 것으로 족하다는 것이다. 감정은 평가할수록 나빠질 수 있다는 것 기억해보자. [1] Mauss, I. B., Tamir, M., Anderson, C. L., & Savino, N. S. (2011). Can seeking happiness make people unhappy? Paradoxical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위산과다 치료제, 세대교체 일어나나?2018.04.17
- 임상시험을 거쳐 1988년 로섹(Losec)이라는 약품명으로 유럽에서 출시됐다. 오메프라졸은 지금까지 나온 약물 가운데 가장 널리 쓰여 2004년까지 16년 동안 세계에서 무려 8억 명이 넘는 사람이 처방받았다. 올해는 오메프라졸이 나온 지 30년이 되는 해다. 오메프라졸 이후 다양한 PPI가 나왔고 덕분에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칭찬을 받을 때 불편한 느낌이 드는 이유는?2018.04.14
- 전반적 속성에 대한 칭찬일수록 더 부담스러운 것과 같은 이치다. 누군가 칭찬을 할 때 지금 저 사람이 나의 인간 됨됨이를 평가하고 있다기보다 나의 이러저러한 행동을 기쁘게 받아줬다고 생각하면 된다는 것. 참고로 나의 ‘단점’이나 ‘잘못’에 대한 해석 또한 마찬가지다. 단점을 ... ...
- [호킹, 별이 되어 떠나다] 호킹의 말로 되돌아본 그의 삶 과학동아 l2018.04.11
- 않은 것을 아주 기쁘게 생각한다. 만약 기본입자를 택했더라면, 그 시절 나의 연구는 지금 모조리 폐기됐을 것이다" 1962년 10월 호킹은 케임브리지대 대학원에 진학했다. 그는 당대 유명한 천문학자이자 ‘정상 우주론’의 옹호자였던 프레드 호일의 연구실에 들어가길 원했다. 그러나 거절당하고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뇌 건강 노력을 게을리 할 수 없는 이유 2018.04.10
- 세포 네 개), 미성숙 뉴런(GFAP 표지)이고 맨 오른쪽은 세 이미지를 합친 것이다. 이 논문은 지금까지 6300회 인용됐다. - ‘네이처 의학’ 제공 무엇보다도 뇌에서 신경생성이 일어나는 부위가 기억과 학습에 관련된 해마라는 게 이런 반향을 일으켰다. 즉 신경생성이 기억과 학습에 연관될 가능성이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女 마라톤 최고 기록 김도연, 밥심으로 달렸다!2018.04.03
- 봐도 예전 사람들은 지금보다 밥을 훨씬 많이 먹었다. 당시 사진을 보면 밥공기가 지금보다 훨씬 더 큰 데다 밥도 무덤처럼 봉긋하게 담았다. 실제 지난 반세기 동안 1인 당 쌀 소비량을 보면 1970년과 1979년 136kg으로 가장 많았고(중간에 쌀이 부족해 분식장려운동을 펼치면서 쌀소비량이 소폭 ... ...
- [표지로 읽는 과학] ‘찌릿’ 열 쇼크로 탄생한 나노 합금동아사이언스 l2018.03.31
- 도구를 만들어 문명을 발전시켰다. 보다 ‘쓸모 있는’ 합금을 만들기 위한 노력은 지금도 이어지고 있다. 전통 합금이 아닌 새로운 ‘고엔트로피 합금(High Entropy Alloy, HEA)’이다. 전통적인 합금은 청동의 구리처럼 구성하는 금속 원소가 한 쪽으로 치우쳐져 있다. 그러나 고엔트로피 합금은 모든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배터리 핵심소재 리튬 vs 코발트, 누가 더 귀한 몸?2018.03.20
- 2025년까지는 바다에서 추출하는 걸 고민해야 할 정도는 아니라는 것이다. ‘아니 지금 리튬이온배터리 얘기를 하다가 왜 코발트를...’ 이렇게 생각하는 독자들도 있을 텐데 리튬이온배터리에 리튬만 들어가는 건 아니다. 배터리는 양극과 음극, 전해질 이렇게 세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 ...
- “인공지능이 인류 멸망시킬 수도”…경종 울렸던 스티븐 호킹 박사동아사이언스 l2018.03.15
- 문명이 없던 시절에는 그런 생존 본능이 도움이 됐을지 모르지만 지금은 도를 지나쳤다”며 “도시화, 현대화의 최후는 핵전쟁, 생화학전쟁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호킹 박사는 인류가 100년 후면 지구를 떠나야 한다고도 했다. 지난해 11월 옥스퍼드대 레버흄미래지능센터 개소식 연설에서 ... ...
- 스티븐 호킹은 어떤 업적을 남겼나2018.03.15
- “(서로 물과 불처럼 상극이던) 중력이론과 양자이론이 서로 연결될 수 있는지 여부는 지금까지도 풀리지 않은 물리학 난제”라며 “호킹 복사는 맞고 틀리고를 떠나, 이 문제의 해결 가능성을 타진해 물리학계에 근원적이고 거대한 화두를 던졌다”고 말했다. 대중에게 천체물리학을 알린 ... ...
이전3073083093103113123133143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