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간격
틈
거리
틈새
관계
겨를
도중
d라이브러리
"
사이
"(으)로 총 9,894건 검색되었습니다.
달에서 씽씽 달려라~! 한국형 달 탐사 로버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없이 지구와 통신하라!그렇다면 이 조종기로 로버도 조종할 수 있을까요?“지구와 달
사이
의 거리가 멀기 때문에 이 조종기로 로버를 조종할 수는 없어요. 훨씬 큰 컴퓨터로 우주에서 쓰는 주파수인 ‘S band’라는 주파수대역을 이용해야 해요. 그러면 로버의 움직임을 조종하거나 로버와 영상을 ... ...
[수학뉴스] 투명망토의 정체는 벌집 구조?
수학동아
l
2015년 06호
만든 회로로 재현했습니다. 그 결과 “단순히 구멍을 뚫는 방식보다 벌집의 육각형
사이
를 벌리는 식으로 설계한 구조물이 더 안정적”이라고 밝혔습니다. 전체 구조를 유지하면서 구멍의 크기를 더 키울 수 있게 된다면 투명 망토뿐만 아니라 투명한 재료나 기구를 만들 수 있을 지도 모릅니다 ... ...
[가상 인터뷰] 문어는 회전대칭 구조!
수학동아
l
2015년 06호
어디로든 움직일 수는 있지만 저도 좋아하는 방향이 있습니다. 전 좌우 30°에서 60°
사이
방향으로 움직이는 걸 좋아합니다. 제 움직임을 분석해보니 이 방향으로 가장 많이 움직였다더군요. 제가 45° 방향으로 이동해 멋진 포즈를 잡아볼 테니 함께 사진이나 찍는 게 어때요 ... ...
[참여] 반짝반짝 빛나는 신비한 광물의 세계로!
수학동아
l
2015년 06호
현재 지구에는 300종류 이상의 육안으로 구별할 수 있는 광물이 있다. 그런데 우리나라에도 그중 200종류 이상의 광물을 한자리에서 볼 수 있는 곳이 있다. 바로 경기도 ... 사랑하렵니다.”대학시절부터 이어온 광물을 향한 권 관장의 일편단심은 박물관에 가득한 보석
사이
에서도 빛났다 ... ...
[Knowledge] 전쟁의 포성 속에서 우주의 비밀에 접근하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중요하다. 중력장 방정식을 비롯해 물리학에서 다루는 방정식은 여러 가지 물리량
사이
의 추상적이고 일반적인 관계를 나타낼 뿐이다. 방정식만으로는 현상을 설명하거나 예측할 수 없다. 특히 뉴턴 방정식이나 맥스웰 방정식과 같이 가장 근본적인 방정식들은, 물리량을 나타내는 함수와 그 함수의 ... ...
무서운 신예, ‘태양왕’에 도전하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페로브스카이트의 성장에 놀란 과학자들이 허겁지겁 연구에 뛰어들었다. 그 결과 2년
사이
에 효율이 가파르게 높아져 지난해 9월에는 20%가 넘는 페로브스카이트가 처음으로 나왔다. 석상일 성균관대 에너지공학과 교수팀의 성과였다. 이제 페로브스카이트의 효율은 실리콘과 비슷한 수준까지 ... ...
조곤조곤 풀어보는 문화재의 수수께끼 ④ 조선 왕릉 연구의 기틀을 닦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목표로 2006년부터 종 합학술조사를 시작했습니다.올해 벌써 10년째에 접어들었지요. 그
사이
에 조선 왕릉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됐고(2009 년), 40개의 왕릉 전체에 대한 정밀한 실측 자료와 역 사 자료를 확보했습니다. 덕분에 지금은 이 아름다운 문화재에 대한 인식과 관심이 예전보다 ... ...
파충류의 속사정 ② 어벤져스 : 에이지 오브 렙타일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이렇게 몸집을 줄일 수 있는 비 결은 뭘까. 과학자들은 엘리뇨가 심했던 1992년부터 1993년
사이
에 바다이구아나들의 몸집이 최대 20%까 지 줄어든 데 주목했다. 이들은 바다이구아나의 근육 과 지방, 그리고 연골이 줄어들었을 것이라고 예측했 지만, 실제로 관찰해 보니 그렇지 않았다. 이렇게만 줄 ... ...
PART3. 가상현실과 현실을 구분 할 수 없다면?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말이면 나노봇이 뇌를 직접 자극해 오감을 느낄 수 있 게 되고, 2030년대엔 가상과 현실
사이
에 경계가 사 라질 것이란 전망이었다. 나노봇 수십억 개가 뇌 모세 혈관에 상주하면서, 우리가 가상현실을 경험하고 싶 을 때마다 실제 감각 기관에서 오는 신호를 차단하고 가짜 신호를 뉴런에 전달한다. ... ...
“스파이더맨이 제일 그리기 어려웠어요”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등장인물이 늘면 일러스트 가격도 올라가야 되는데 그렇지 않아 문제다(웃음). 작가들
사이
에서 가장 어렵다고 꼽히는 캐릭터는 스파이더맨이다. 허리를 반으로 접는 것 같은 역동적인 동작이 많고, 쫄쫄이 슈트의 줄무늬를 따라 그리는 게 무척 따분하고 힘들다고 한다. 스파이더맨을 아직 그려본 ... ...
이전
311
312
313
314
315
316
317
318
3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