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간격
틈
거리
틈새
관계
겨를
도중
d라이브러리
"
사이
"(으)로 총 9,894건 검색되었습니다.
바다 밑에서 만난 동화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그는 현실과 환상
사이
의 새로운 세계를 꿈꾸곤 했다. 해초와 난파선, 인공 어초
사이
에서 마주친 낯선 풍경에 익숙하고 생기 넘치는 일상을 포갰다. 그렇게 탄생한 게 바로 ‘가라앉는 세계’ 시리즈다.특별한 건 사진뿐만이 아니다. 그는 뉴욕 같은 대도시가 아닌 깊은 바다 밑 한가운데서 전시회를 ... ...
존 내쉬, 영화처럼 잠들다!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게임은 더 복잡하다. 예를 들어 한 여자를
사이
에 두고 경쟁하는 두 남자가 있다면, 이들
사이
에서 게임의 규칙을 기대하기는 힘들다. 존 내쉬는 이 비협력관계 게임이론에서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영화에도 이와 관련된 장면이 등장한다.한 명의 여자를 두고 경쟁하는 두 남자의 경우를 생각해 ... ...
수학이 불러온 생물학 혁명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137.5°를 조금 바꾸면 씨앗 배열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보았다. 놀랍게도 씨앗
사이
에는 틈이 생기고, 해바라기 씨앗이 가진 특유의 나선무늬도 사라졌다. 가장 효율적인 생존을 위해서 수학적인 규칙을 따르도록 생명체가 스스로 진화했다는 사실이 놀랍다. 생물학과 수학의 만남~이언 ... ...
PART 1 인공지능 디스토피아는 없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같은 원리로 동작하는 컴퓨터용 마이크로 프로세서 ‘트루노스’를 개발해 학술지 ‘
사이
언스’에 발표했다. 일반 마이크로프로세서의 1cm2당 전력소모량이 전구를 켜는 수준인 50~100W인 데 비해 트루노스는 블루투스 송수신기 두 개를 작동시키는 수준인 20mW다. 연구팀은 이 칩으로 사람과 자동차 ... ...
Part 1.[발光하는 테크놀로지] 光의시대 光테크를 보여드립니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아주 섬세한 색상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기존의 LCD TV에서 광원인 LED 램프와 화면
사이
에 양자점 필름 한 장만 덧붙이면 만들 수 있기 때문에 가격도 상대적으로 저렴한 편입니다. 스마트 워치 이번엔 건강을 지키는 데 활용되는 빛기술을 조명해 보겠습니다. 여러분 스마트 워치에 대해선 ... ...
세월호 인양7가지 질문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해양방위연구센터장은 “세월호가 해저에서 바닷물의 흐름을 방해해 수심 20~40m
사이
에서는 유속을 예측하기가 어려웠다”면서도 “현재 전체 층의 80%를 예측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배는 옆면보다 바닥이 강하다. 사람의 척추처럼 몸 전체를 지탱하는 부재인 ‘용골’이 바닥에 있기 때문이다. ... ...
마법사라 불린 사나이의 민낯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수 있다”며 “테슬라라는 인간은 환상의 존재가 아니라, 자신의 아이디어와 환상
사이
에서 투쟁한 사람”이라고 밝힌다. 테슬라는 마법사가 아니라 성공과 실패를 거듭한 한 인간일뿐이라는 것이다.서두에 언급한 영화 속에서 테슬라는 어느 순간 갑자기 인물들의 갈등에서 빠져나와 잠적한다. ... ...
엄마도 깜짝 놀란 채소의 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줄기와 잎
사이
에 나는 곁눈을 발달시켜 만들었답니다.*교배 : 두 개체의 식물
사이
에서 수정이 일어나는 것. 인공적인 교배는 주로 한 개체의 암술에 다른 개체의 꽃가루를 묻혀 수정시키는 방법을 쓴다. 더 작고 더 화려하게! 채소의 변신!으…, 아니기를 바랐지만 양배추 녀석의 말이 사실이었어. ... ...
[수학뉴스] 투명망토의 정체는 벌집 구조?
수학동아
l
2015년 06호
만든 회로로 재현했습니다. 그 결과 “단순히 구멍을 뚫는 방식보다 벌집의 육각형
사이
를 벌리는 식으로 설계한 구조물이 더 안정적”이라고 밝혔습니다. 전체 구조를 유지하면서 구멍의 크기를 더 키울 수 있게 된다면 투명 망토뿐만 아니라 투명한 재료나 기구를 만들 수 있을 지도 모릅니다 ... ...
[가상 인터뷰] 문어는 회전대칭 구조!
수학동아
l
2015년 06호
어디로든 움직일 수는 있지만 저도 좋아하는 방향이 있습니다. 전 좌우 30°에서 60°
사이
방향으로 움직이는 걸 좋아합니다. 제 움직임을 분석해보니 이 방향으로 가장 많이 움직였다더군요. 제가 45° 방향으로 이동해 멋진 포즈를 잡아볼 테니 함께 사진이나 찍는 게 어때요 ... ...
이전
309
310
311
312
313
314
315
316
3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