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사과를 가장 효율적으로 쌓는 법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부임했다. 정수론과 그 응용인 암호학, 정보학 분야를 연구하고 있다. 1992년 조선시대 수
학자
최석정의 저서‘구수략’을 접하고 이듬해 ‘최석정과 그의 마방진’이라는 논문을 써 최석정이 조합론 분야의 원조임을 알리는 데 기여했다 ... ...
패턴의 과학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사람이 하버드 대학교의 유명한 진화생물
학자
스티븐 제이 굴드이다. 그는 진화생물
학자
답게 4할 타자를 일종의 ‘변이’로 취급하고 통계적인 방법으로 야구를 분석했다. 그의 결과에 따르면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후반까지 메이저리그 평균타율은 2할 6푼으로 거의 변화가 없었다. 하지만 어떤 ... ...
Part 3. 수학을 알면 세상이 즐겁다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잠도 하루에 4~5시간만 자면서 연구에 몰두했다. 그래서인지 평생 동안 수백 명의 다른 수
학자
와 공동으로 연구해 그래프 이론, 수론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많은 업적을 남길 수 있었다 ... ...
미국산 쇠고기 파동은 과학적 지식에 근거했을까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고르지 않는 이유는 뭘까. 눈앞에서 기차를 놓치면 왜 더 억울하게 느껴질까. 인지심리
학자
인 저자는 인간의 일상을 지배하는 다양한 심리를 실험을 통해 설명한다. 구분짓기에서 군중심리, 자아도취, 거울 메커니즘까지 마음이 내가 행동하는 데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궁금하다면 이 책을 보자 ... ...
생활 곳곳에 자리잡은 χ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널리 쓰이게 됐어. X선도 마찬가지야.1895년 정체를 알 수 없는 빛을 발견한 독일의 물리
학자
콘라트 뢴트겐은 이걸 '미지의 빛'이라는 의미에서 X선이라고 이름 붙였지. 그는 검은색 종이로 둘러싼 음극관에 고압전류를 흘려 보냈더니 관에서 1m 떨어진 형광판에서 이상한 불빛을 발견했어. 그 사이에 ... ...
100년 넘은 광학법칙 깨뜨린 나노렌즈 개발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크기를 구분할 수 있는 광학기기에 대한 이론은 이미 1928년 나왔고 1982년 스위스의 물리
학자
디에테르 폴 박사는 근접장스캐닝광학현미경(NSOM)을 만들어 아베의 법칙을 극복한 상을 얻는 데 성공했다. 하지만 NSOM은 렌즈를 이용해 상을 얻는 방식이 아니라 한 번에 한 점의 소멸파 데이터를 측정해 ... ...
“로봇기술 한계, 사회 갈등은 인지과학으로 푼다”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인지과정’이 빚어내는 문제라고 보고 있다.“2002년 노벨경제학상을 받은 미국 인지과
학자
다니엘 카네만은‘인간은 비합리적’이라고 했어요. 저 사람이 가진 지식과 이 사람이 처한 상황이 만날 때 항상 합리적인 상호작용만 이뤄지는 건 아니죠. 최선의 해결책을 찾을 수도 있지만, 돌이킬 수 ... ...
유전자와 문화 사이의 균형추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논쟁이 과학의 진보에 영향을 줄 수도 있다. 이런 점에서 최신 학문인 인지과학을 국내 철
학자
의 관점에서 바라본 이 책이 자라나는 과학도에게 중요한 길잡이가 될 수 있다.갈릴레오의 두 우주 체계에 관한 대화오철우 지음 | 사계절출판사 | 238쪽 | 1만 1000원천동설을 무너뜨리고 지동설을 주장한 ... ...
마음을 울리는 청아한 소리 양금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천문학에 뛰어난 능력을 보여 천체관측장치인 혼천의를 만들고 지동설을 주장했던 실
학자
홍대용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는 어려서부터 거문고를 항상 지니고 다닐 정도로 음악에 관심이 많았을 뿐 아니라 절대음감을 지닌 인물이었다.연암 박지원이 쓴‘열하일기’와‘연암속집’에는 1772년 6월 1 ... ...
맛있는 세계 면류 총집합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밀이 아닌 기장이라는 사실이다. 기장은 밀보다 경작한 지 얼마 안 된 식물이다. 따라서
학자
들은 이보다 더 오래 전에 밀로 만든 국수 형태의 음식이 생겼을 거라고 추측하고 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서 가늘고 기다란 형태의 음식이 탄생하게 됐을까. 이에 대한 답을 알려면 먼저 밀의 특성을 ... ...
이전
309
310
311
312
313
314
315
316
3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