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21세기 녹색성장 이끄는 생태공학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못했다.“대한토목학회에서 2005년 생태공학분과를 신설한 이유도 토목공
학자
와 생태
학자
가 함께 논의해 자연과 공존할 수있는 구조물을 만들어야 한다는 필요성 때문입니다.”양권열 위원은 원래 생태학도였는데, 대학원에서는 생태공학을 전공했다. 생태공학(ecological engineering)이란‘인간과 ... ...
유전자와 문화 사이의 균형추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논쟁이 과학의 진보에 영향을 줄 수도 있다. 이런 점에서 최신 학문인 인지과학을 국내 철
학자
의 관점에서 바라본 이 책이 자라나는 과학도에게 중요한 길잡이가 될 수 있다.갈릴레오의 두 우주 체계에 관한 대화오철우 지음 | 사계절출판사 | 238쪽 | 1만 1000원천동설을 무너뜨리고 지동설을 주장한 ... ...
마음을 울리는 청아한 소리 양금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천문학에 뛰어난 능력을 보여 천체관측장치인 혼천의를 만들고 지동설을 주장했던 실
학자
홍대용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는 어려서부터 거문고를 항상 지니고 다닐 정도로 음악에 관심이 많았을 뿐 아니라 절대음감을 지닌 인물이었다.연암 박지원이 쓴‘열하일기’와‘연암속집’에는 1772년 6월 1 ... ...
생활 곳곳에 자리잡은 χ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널리 쓰이게 됐어. X선도 마찬가지야.1895년 정체를 알 수 없는 빛을 발견한 독일의 물리
학자
콘라트 뢴트겐은 이걸 '미지의 빛'이라는 의미에서 X선이라고 이름 붙였지. 그는 검은색 종이로 둘러싼 음극관에 고압전류를 흘려 보냈더니 관에서 1m 떨어진 형광판에서 이상한 불빛을 발견했어. 그 사이에 ... ...
0의 발견 숫자 가문의 영광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수를 ‘234○, 2○34, 23○4’와 같이 간편하게 쓸 수 있었다.
학자
들 사이에서는 인도 사람들이 주판을 이용하면서 ○기호와 비슷한 0을 발견했을 것이라는 설이 있다. 이렇게 숫자 0은 빈자리를 채워 수를 간편하게 나타내 주고 계산을 손쉽게 해 줬다. 따라서 사람들은 큰 수를 ... ...
수학으로 하늘의 뜻을 알다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각도가 하루에 1°가 돼 계산하기 편리했다.반면에 칠정산외편은 2세기에 살았던 천문
학자
프톨레마이오스의 천문학을 기초로 한 서양식 방법으로 일식을 계산하는 법을 담고 있다. 서양에서는 고대 바빌로니아의 영향을 받아 60진법을 사용했기 때문에 원의 중심각을 360°로 사용했다. 칠정산외편은 ... ...
인류 농업사 이끈 일석팔조 기술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육종 발전 없이는 그 나라의 농업 발전을 기대할 수 없다. 한국이 낳은 가장 위대한 육종
학자
우장춘 박사의 서거 50주년을 맞이해 한반도에도 육종에 대한 올바른 인식이 자리 잡기를 간절히 바란다.박효근 교수는 서울대 농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미네소타대에서 식물육종학으로 농학박사 학위를 ... ...
한반도 아열대화 사실인가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기후를 구분할 때는 기온이나 강수량 같은 기상요소와 식생분포가 기준이 되는데,
학자
마다 구분법이 조금씩 달라 아열대를 정의하는 기준도 차이가 있다. 크루츠버그(N.Creutzburg)는 1년 내내 월평균기온이 6℃를 넘고 월평균기온이 20℃ 이상인 달이 2달 이상일 경우 아열대기후로 본다. ... ...
밤하늘은 왜 어둡나요?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역시 더 많은 ‘관측’을 통해서만 밝혀질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최근까지 천문
학자
들은 우주의 가스와 먼지가 모여 별과 은하가 형성된다고 막연하게 생각했다. 그런데 2000년대 들어 130억 광년이나 떨어진 퀘이사가 발견되면서 초기 은하의 형성과정에 대한 시나리오를 다듬는 손길이 ... ...
육종기술이 바꾼 풍성한 우리 식탁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각종 바이러스에 저항성을 갖춘 개체를 선발하는 게 목표”라고 설명했다.최근 육종
학자
들이 주목하는 바이러스는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TSWV). 국내엔 원래 없었는데 4, 5년 전부터 토마토와 고추, 파프리카, 감자에 피해를 입히기 시작했다. 이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반점이 생기면서 말라 죽는다. ... ...
이전
310
311
312
313
314
315
316
317
3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