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살아 있는 지구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최초로 확인된 순간이었다. 이것은 당시 실험을 설계한 미국 존스홉킨스 대학의 핵물리
학자
인 제임스 앨프리드 밴 앨런의 이름을 따서 ‘밴 앨런 벨트’로 명명됐다. 밴 앨런 벨트는 지구 자기장에 의해 붙잡힌 태양풍의 입자들이 고밀도로 응축돼 있는 영역을 말한다. 맨눈으로 보기만 해도 시력에 ... ...
[수학에 길이 있다] 금융에 불어온 수학바람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시기에 같은 대학에서 로버트 머튼도 같은 주제를 혼자서 연구했다. 재미있는 사실은 세
학자
모두 자신이 만든 방정식에 따라 투자했다가 크게 손해를 입었다는 것이다. 1997년에는 금융분야를 발전시킨 기여로 블랙과 숄즈에게 노벨 경제학상의 영광이 돌아갔다. 그러나 블랙은 안타깝게도 95년에 ... ...
탄생 130주년 따스한 백열전구 역사 속으로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이미 탄소와 토리첼리안 진공 튜브를 이용한 백열전구 특허가 나와 있었고, 영국인 물리
학자
죠세프 윌슨 스완도 1870년대 중반에 진공 유리구와 탄화 종이 필라멘트로 만든 전구 실험에 성공을 거두고 있었다. 하지만 이들의 전구는 아직 일상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준은 아니었다.그런데 이 무렵 187 ... ...
존엄사, 의학에게 묻다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가브리엘관 704호에서는 ‘존엄사, 의학에게 묻다’를 주제로 강연이 열렸다. 의료법윤리
학자
이자 김 할머니 연명치료 중단 소송과 관련해 세브란스병원 윤리위원회 위원장을 맡았던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예방의학과 손명세 교수가 강연자로 나섰다. 존엄사, 환자의 의지 존중해야손 교수는 이날 ... ...
뇌가 아이스크림 덩어리 쌓이듯 진화했다고?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소통하는 15가지 시선을 소개한다. 이 책은 과학의 정체성, 과학적 연구 성과의 가치, 과
학자
가 된다는 의미를 다뤄 과학 기술 사회에 대해 성찰하고 우리는 어떤 미래로 가고 있는지 말한다. 과학 기술과 사회의 소통 문제를 제기하고 과학 기술 연구자들의 시각에서 바라보는 과학 기술적 논리의 ... ...
[수학의 위대한 발견] 별난 수, 소수의 발견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대단하다.수
학자
는 더욱 더 큰 소수를 꿈꾼다 수학의 한 분야인 정수론을 연구하는 수
학자
의 꿈은 끝없이 소수를 찾을 수 있는 함수를 발견하는 것입니다. 만일 소수를 찾을 수 있는 함수를 발견한다면 무한히 많은 소수를 포함하는 소수 수열을 알아 낼 수 있게 되기 때문이죠. 이 외에도 소수에 ... ...
우리가 몰랐던 D-아미노산의 세계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D-아미노산은 미생물이 생산하는 항생제의 주성분으로도 쓰인다. 1928년 영국의 미생물
학자
알렉산더 플레밍이 푸른곰팡이(Penicillium )에서 페니실린을 발견한 이래 임상에서 쓰이는 천연 항생제의 상당수가 아미노산을 기초로 한 펩티드계 분자임이 밝혀졌다. 그런데 펩티드계 항생물질을 구성하는 ... ...
현대인 깨우는 물리학 강의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더 나은 연구 환경을 마련해주고 과학이 사회에 끼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활성화하려면 과
학자
가 아닌 사람들도 과학의 개념을 정확히 이해해야 한다는 뜻이다.하지만 최 교수가 독자층으로 과학도들을 염두에 두지 않은 것은 아니다. 그는 “암기식, 주입식 교육에만 적응해 과학을 전공했음에도 ... ...
노벨상 특집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노벨이 사모하던 여인이 자기 대신 수
학자
를 선택했기 때문이라는 것이죠. 그 수
학자
는 수학적 업적이 높고 스웨덴에서의 영향력도 커서 첫 번째 노벨 수학상을 받을 가능성이 높았다고 합니다 ... ...
광통신 구현한 광섬유 디카의 핵심 CCD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수백만 개의 작은 CCD(광다이오드)가 나열돼 있다.CCD는 1969년 미국 벨연구소의 물리
학자
보일 박사와 스미스 박사가 처음 개발했다. 재밌는 것은 그들이 처음 연구를 시작할 땐 성능이 뛰어난 메모리칩을 만들 목적이었다는 사실이다. 하지만 두 박사는 우연히 디지털 카메라의 이미지 센서로 쓸 수 ... ...
이전
305
306
307
308
309
310
311
312
3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