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거꾸로 자라는 고드름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과
학자
들은 대신 역고드름을 실험실에서 만들어 보기로 했다. 미국 캘리포니아공대 물리
학자
케니스 리브레츠트 교수는 2003년 케빈 루이라는 제자와 역고드름 연구에 착수했다. 리브레츠트 교수는 눈 결정 모양이 왜 다양한지, 또 어떤 모양이 있는지 밝혀내는 연구로 명성을 얻고 있었다.그가 ... ...
꽃매미를 추적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3호
눈에 띄는 주홍빛의 날개를 갖고 있는 곤충이 우리나라에 살고 있었다면, 그 동안 곤충
학자
와 학생들에게 발견이 되었어야 하네. 그런데 꽃매미가 공식적으로 확실하게 발견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지. 또한 꽃매미는 수 세기 전 중국의 본초강목에도 등장하고, 한약재로도 사용됐던 유명한 녀석일세. ... ...
만화가와 천문
학자
가 만나면?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소행성 200개를 유심히 관찰하고 있지요. 미국항공우주국(NASA)과 유럽우주국(ESA) 과
학자
들이 현재 지구와 소행성의 충돌을 막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답니다.다른 행성이나 소행성을 우주식민지로 만들 수 있을까? 달보다 소행성에 가는 비용이 오히려 적게 들어요. 따라서 달보다는 지구에 가까이 ... ...
Part 4. 남녀의 수학차이 사라져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찾아 더 잘할 수 있도록 학회가 돕고 있지요. 학생들에게 모델이 될 수 있는 여성 수
학자
를 앞으로 더 많이 소개할 계획이랍니다.★ 수학을 공부하는 학생, 특히 여자 후배들에게 하고 싶은 말씀은?지금은 남녀 차별이 없는 시대예요. 누구나 집중력을 가지고 자신있게 공부하면 수학을 잘 할 수 ... ...
짧지만 강렬한 기억 첫인상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바뀌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첫인상은 부정확한 경우가 많다. 1946년 미국의 사회심리
학자
솔로몬 애시 박사는 첫인상의 함정을 잘 보여주는 실험을 했다.애시 박사는 두 그룹으로 나눈 학생들에게 가상의 인물을 묘사하는 정보를 준 뒤 그 사람에 대한 이미지를 떠올리도록 했다. 첫 번째 그룹에는 ... ...
지구온난화 주범 이산화탄소 붙잡아 가두려면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해야 할까.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포획하면 되지 않을까.미국 컬럼비아대 지구물리
학자
클라우스 랙커 교수는 이산화탄소를 포획하는 인공나무인 ‘에어 스크러버’를 연구하고 있다. 에어 스크러버는 이산화탄소와반응하는 화학물질을 넣은 인공구조물로 나무처럼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 ...
우주에도 거대한 장성(長城)이 있다고요?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12월 중에 2차 설문을 실시해 그 결과를 발표한다. ‘천문학 지식사전’ 오픈 현직 천문
학자
들이 집필한 천문 콘텐츠를 웹진에 공개해 교육자료로 활용하는 프로젝트. 온라인에서 잘못 유통되는 관련 정보를 바로잡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학생들이 궁금해하는 태양과 소행성, ... ...
알싸한 겨울철 별미 홍어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우리나라 전통 문헌에 나타난 과학 관련 내용에 관심이 많다. 저서로 조선 후기
학자
정약전의 어류학서 ‘자산어보’를 현대적으로 해석해 기행문식으로 정리한 ‘현산어보를 찾아서1~5(청어람미디어)’ 등이 있다 ... ...
날씬한 몸매 가진 해면의 비결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연구 결과가 ‘실험생물학’ 12월호에 실렸다.네덜란드 왕립해양연구소의 생물
학자
야스퍼 데후에이 박사는 해면의 한 종류(Halisarca caerulea)를 살아 있는 상태로 수집해 세포분열을 관찰했다. 하루에 자기 몸무게의 3분의 2에 해당하는 유기물을 먹는 이 동물은 계산대로라면 3일마다 몸집이 2배로 ... ...
촉각이 착각에 빠질 때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드는가. 볼록한 공과 반대로 움푹 들어간 느낌이 전해지지 않는가.최근 촉각 일루전은 과
학자
들의 연구를 통해 속속 새로운 사례가 등장하고 있다. 이렇게 촉각 일루전 연구가 활발해진 이유는 무얼까. 촉각을 이용해 컴퓨터와 상호작용하는 햅틱스(컴퓨터 촉각 기술)가 발전하는 데 촉각 일루전에 ... ...
이전
304
305
306
307
308
309
310
311
3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