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중"(으)로 총 19,280건 검색되었습니다.
- 1954년 바이러스를 시험관에서 배양하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이 세포에 멈프스바이러스가 감염된 소의 혈청을 주입한 뒤 멈프스바이러스의 당단백질 중 하나인 헤마글루티닌의 양을 측정했다. 측정 결과, 시험관의 헤마글루티닌 양은 뚜렷하게 증가했다. 바이러스를 시험관에서 증식시키는 데 성공한 것이다.연구팀은 곧바로 폴리오바이러스에도 도전했다. ... ...
- 2008년 에이즈와 자궁경부암 바이러스를 발견하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발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1981년 미국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대(UCLA) 의대에서 연구 중이던 마이클 고틀리브는 뉴모시스티스 폐렴을 앓고 있는 33세 남성의 사례를 학계에 보고했다. 뉴모시스티스 폐렴은 영유아나 면역억제제를 사용하는 환자들에게서만 발견되는 질환이었다. 그런데 이 환자는 ... ...
- 1980년 면역거부반응의 이유를 찾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복합체를 ‘H항원’ 유전자라 불렀다. 추가 연구를 통해 생쥐가 가진 80여 개의 H항원 중 H2항원이 다른 개체군에 대한 거부반응 여부를 결정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비슷한 시기 프랑스 국제수혈센터에 있던 장 도세는 수혈을 많이 받은 환자일수록 혈액 속에 백혈구를 파괴하는 항체가 많다는 점에 ... ...
- Chapter 06. 백신┃인간 지킬 유일한 방패, 백신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일으키며 인류를 무섭게 위협해 왔고, 그 위협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다. 2019년 중국 우한에서 발생해 전 세계에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을 일으킨 사스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는 높은 전염성을 앞세워 인류를 위협하고 있다. 여전히 바이러스에 대항하는 인류의 가장 강력한, 그리고 ... ...
- 생백신&사백신_인플루엔자 백신 Influenza vaccine과학동아 l2020년 07호
- 1932년부터다. 호주의 미생물학자인 프랭크 버넷은 인플루엔자바이러스 배양을 연구하던 중 우연히 유정란에서 배양된 바이러스의 병원성이 크게 약해지는 현상을 발견했다. 버넷은 처음으로 유정란을 이용해 인플루엔자바이러스용 생백신을 생산했다. 유정란 배양법이 알려지면서 홍역, 소아마비 ... ...
- [백신 개발 비하인드] 속도 높이는 코로나19 백신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2012년 메르스코로나바이러스 (MERS-CoV)로 인해 발병한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백신이 아직도 개발되지 않은 이유다. 2019년에는 코로나바이러스가 사스 코로나바이러스-2라는 이름으로 다시 찾아왔다. 벌써 세 번째 돌연변이의 등장이지만 백신 개발 연구는 원점부터 ... ...
- [과학뉴스] 물방울 모양 별이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4423가 물방울 모양인 이유는 근처에 있는 적색왜성 덕분이라고 발표했어요. 적색왜성의 중력이 HD74423을 끌여당겨서 물방울 모양으로 만들고, 한쪽으로만 진동하게 한 거예요. HD74423과 적색왜성은 쌍성계로, 서로를 약 1.6일 만에 공전할 만큼 매우 가까이에 있거든요. 논문의 공동 저자인 영국 센트럴 ... ...
- [한장의 과학] 개구리, 도롱뇽이 형광으로 반짝반짝!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개구리와 도롱뇽의 몸에서 빛이 난다? 이게 무슨 소리일까요? 지난 2월 27일, 미국 세인트클라우드주립대학교 제니퍼 램 교수팀은 ‘대부분의 양 ... 수 있을 것”이라고 연구의 가능성에 대해 말했답니다. 용어정리* 무족영원 : 양서류 중 다리와 발이 없는 동물. 지렁이나 뱀을 닮았다 ... ...
- [수학뉴스] ‘7차원 초구’ 미스터리 풀렸다수학동아 l2020년 07호
- 구처럼 둥그런 모양, 음수면 말의 안장처럼 오목한 모양입니다. 지금까지 7차원 초구 중 일부만 곡률이 음수라는 게 증명됐는데, 케린 교수가 모든 7차원 초구의 곡률이 음수라는 걸 밝힌 거죠. 1960년대에 처음 제기된 뒤 약 60년 동안 풀지 못한 문제를 해결한 겁니다. 케린 교수는 “10년 동안 ... ...
- [수학뉴스] 마스크의 한계, 수학으로 넘는다수학동아 l2020년 07호
- ‘IMA 응용수학저널’ 6월 2일자에 공개했습니다.마스크의 효율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는 마스크 속 필터의 구멍입니다. 유해 물질을 거르면서도 호흡하기 쉽게 구멍 크기를 조절해 마스크를 만들지만, 얼굴에 마스크를 쓰는 과정에서 구멍이 늘어나거나 호흡하는 과정에서 기압 차로 ... ...
이전3093103113123133143153163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