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스님
까까중
승려
사주
사승
d라이브러리
"
중
"(으)로 총 19,280건 검색되었습니다.
바이러스는 생물학 무기가 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연구를
중
단했다는 정도만 알려져 있다.이처럼 바이러스를 이용한 생물학 무기들은 무기
중
에서도 가장 적은 양으로 가장 위협적인 피해를 입힐 수 있다. 때문에 첩보영화 등에도 종종 소재로 등장하지만, 실제로 개발됐거나 사용된 확실한 사례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특히 생물학 무기의 오용을 ... ...
STEP ③ 유전체 복제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바이러스는 유전적 다양성을 확보하기 위해 ‘대충 많이’ 만드는 전략을 구사한다. 이
중
살아남는 바이러스만이 전파될 것이다. 그야말로 적자생존의 세계다. 대표적인 예로 헤르페스바이러스는 만들어지는 자손의 50%가 복제가 불가능한 결손바이러스다. 복잡하고 정교한 유전체 복제 과정을 ... ...
1984년 단일클론항체를 만들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많은 물질을 인식할 수 있는 무수히 많은 항체를 몸속에 가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
중
자주 쓰는 항체는 더 많이 살아남고, 덜 쓰는 항체는 적게 살아남는다는 것이다. 예르네의 이론은 이후 틀린 것으로 밝혀졌지만, 1957년 호주의 바이러스 학자 프랭크 버넷이 제안한 클론 선택설의 토대가 됐다 ... ...
1996년 면역세포가 ‘남’을 구분하는 원리를 밝히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죽이는지에 대한 연구는 부족했다.호주 존커틴의학연구소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재직
중
이던 피터 찰스 도허티와 롤프 마르틴 칭커나겔은 이런 선천 면역 연구에 매진했다. 두 사람은 1960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인 버넷의 면역과 감염병의 관계를 다룬 책을 읽으며 과학자의 꿈을 키운 일명 ... ...
단백질 백신_B형 간염 백신 Hepatitis B vaccine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백신에 비해 간단해 개발 기간이 짧기 때문이다.실제로 현재 개발
중
인 코로나19 백신
중
에서도 단백질 백신이 가장 많다. 미국의 제약사로 메르스 백신을 보유한 노바백스와 국내에서는 SK바이오사이언스 등이 단백질 백신을 개발하고 있다. 노바백스는 5월 말 코로나19 백신 후보인 ‘NVX-Cov2373’에 ... ...
만능 인플루엔자 백신 Universal flu vaccine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사스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가 사람 세포에 결합해 유전체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중
요한 역할을 하는 스파이크 단백질을 항원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스파이크 단백질은 돌연변이가 자주 일어나는 대표적인 부위로, 사스코로나바이러스-2도 박쥐 세포에 결합하는 스파이크 단백질이 ... ...
[노벨상 수상자 특별 인터뷰] 피터 도허티 "백신 개발 전까지 코로나19는 위험한 질병"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억제제 역할을 하는) 류머티스 관절염 치료제인 토실리주맙(Tocilizumab) 성분이 최근
중
증 코로나19 환자들에게 처방할 수 있도록 동정적 사용(compassionate use‧환자에게 적절한 치료제가 없어 시판 승인 전의 약을 사용하는 것) 허가를 받았다. 다만 항체를 이용한 치료제는 아직 만들기 어려워 비싼 것이 ... ...
성층권에 드론 날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더 좋은 성능의 임무 장비를 사용할 수 있도록 EAV-3의 탑재 능력을 높이는 연구에도 집
중
할 계획”이라고 밝혔답니다.성층권 태양광 드론은 전세계적으로 개발이 한창이에요. 성층권에서는 태양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기 좋은 데다, 공기 밀도가 작아 드론이 적은 에너지로 한곳에 오래 머물 수 있기 ... ...
[과학뉴스] 물방울 모양 별이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7호
4423가 물방울 모양인 이유는 근처에 있는 적색왜성 덕분이라고 발표했어요. 적색왜성의
중
력이 HD74423을 끌여당겨서 물방울 모양으로 만들고, 한쪽으로만 진동하게 한 거예요. HD74423과 적색왜성은 쌍성계로, 서로를 약 1.6일 만에 공전할 만큼 매우 가까이에 있거든요. 논문의 공동 저자인 영국 센트럴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종류에 따라 먹이와 사는 곳도 달라지지요. 우리가 흔히 돌고래라 부르는 친구들은 이
중
어디에 속할까요? 돌고래는 몸집이 작은 이빨고래예요. 몸길이가 4~5m 이상으로 크면 고래(whale), 그보다 작으면 돌고래(dolphin)라 부릅니다.돌고래의 ‘돌’은 옛말로 돼지를 의미하던 ‘돝’에서 유래했다고 ... ...
이전
310
311
312
313
314
315
316
317
3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