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중"(으)로 총 19,280건 검색되었습니다.
- 돌멩이 하나에 30억 원? 운석 재테크 해볼까과학동아 l2020년 08호
- 한 장소에서 운석 수천 개가 발견되기도 한다. 현재 지구에서 발견된 6만 개가 넘는 운석 중 70%가량이 남극에서 발견됐다. 연구 목적으로만 방문할 수 있는 남극과 달리 누구나 갈 수 있는 사막에서도 운석 탐사가 이뤄진다. 그래서 운석을 찾으러 다니는 ‘운석 헌터’라는 직업(?)도 있다. 운석 ... ...
- [기초과학의 힘] RNA 연구단,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완벽한 유전체 지도 완성과학동아 l2020년 08호
- ‘바이오아카이브(bioRxiv)’에 공개했다. 그러나 해당 결과는 염기서열을 읽어내는 데 중점을 둬 분석 내용은 많지 않았다. doi: 10.1101/2020.03.05.976167v1RNA 연구단은 읽어낸 염기서열을 분석해 RNA의 화학적 변형과 sgRNA 등을 알아냈다. 지질과 단백질로 만들어진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껍질 안에는 약 3만 . ...
- [스쿨리포트 A+] 쉽고 재미있게 과학 영상 소개하기과학동아 l2020년 08호
- 과학교사 모임인 ‘신나는 과학을 만드는 사람들(신과람)’ 소속 교사들과 함께 중·고등학교 수업에서 실제로 진행되는 대표적인 수행평가 사례를 보여주고 교사들이 직접 해설하는 ‘스쿨 리포트 A+’를 연재합니다. 많이 기대해 주세요 ... ...
- [과학도서리뷰대회 수상자]책 리뷰의 달인을 찾았습니다과학동아 l2020년 08호
- 발바닥 면적만큼 강물을 얼리는 데 드는 에너지를 직접 계산했습니다. 얼음의 부력과 비중, 그리고 동생의 발을 직사각형으로 가정한 면적(240cm2) 등을 수식에 적용한 결과 여동생이 한 걸음 디딜 때마다 강물을 얼음으로 얼리기 위해서는 1GW(기가와트)급 원자력발전소 한 기가 생산하는 에너지가 ... ...
- 과학동아 천문대장이 내는 '이달의 퀴즈'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아틀라스 혜성이 금성보다 더 밝고, 낮에도 볼 수 있을 정도랍니다.지구에 근접한 혜성 중 가장 밝았던 혜성은 1965년 10월 지구 가까이 근접한 이케야-세키 혜성이에요. 당시 최고 밝기가 -10등급에 달했지요. 그 다음으로는 2007년 1월, 지구 근처를 통과한 맥노트 혜성이 -6등급의 밝기를 자랑했답니다. ... ...
- [특집] 세 장, 냄새나도 괜찮아! 또~옹을 연구한 사람들수학동아 l2020년 08호
- 설명했죠. 조금 더럽다는 이유로 똥오줌을 멀리하거나 웃음거리로만 여겼다면 중요한 발견들을 많이 놓쳤을 거예요. 양 연구원이 말한 것처럼 똥오줌 말고도 주변에서 찾을 수 있는 연구 주제는 얼마든지 있어요. 여러분도 똥 누는 시간이나 뭉친 휴지의 효율성처럼 누구도 생각하지 못했던 주제를 ... ...
- [기획] 세거나 나열하면 보인다! 카드 마술수학동아 l2020년 08호
- 0을 스페이드와 클로버처럼 무늬가 검정 카드, 1을 하트와 다이아처럼 무늬가 빨간 카드 중 하나로 바꾸는 거예요. 주의할 점은 카드의 순서와 종류를 외워야 하므로 쉽게 외울 수 있는 조합으로 카드 뭉치를 만들어야 한다는 거죠. 자, 이제 오른쪽에 있는 클로버 A 카드가 맨 위에 있게 카드 뭉치를 ... ...
- SNS에서 '핫'한 MBTI의 진실과학동아 l2020년 08호
- 분석에 대한 선호도를 나타내는 T 척도가 가장 중요하다”며 “각 성격유형에 따라 중요한 결과와 그렇지 않은 결과를 구분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기자는 검사 결과를 토대로 김 연구부장과 심층 상담을 진행했다. 먼저 검사 결과에 대해 본인 스스로 평가하게 했다. 평소 생활 습관, 경험을 ... ...
- 한국 화성 탐사 계획은? 화성에 가져갈 ‘잇’템 7과학동아 l2020년 08호
- 보기 위해전인수 : 실험 정신이 강하게 느껴집니다. 참고로 지구에서 발견된 박테리아 중 영화 ‘코난-바바리안(Conan the Barbarian)’에서 이름을 딴 ‘코난 더 박테리움(Conan the Bacterium)’이라는 박테리아가 있는데, 방사선에 아주 강하다고 합니다. 개인적으로 이 박테리아도 좋은 실험 표본이라고 ... ...
- 영화 '#살아있다' '반도' 속 좀비 바이러스 분석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전문가들도 골격이나 관절을 영화 속 좀비처럼 꺾는 건 불가능하다. 심지어 우리 몸의 중추신경계인 척수가 끊어질 만큼 심하게 몸이 꺾여도 좀비는 멀쩡하다. 두 영화 모두 좀비들은 총이나 도끼로 뇌를 파괴하지 않는 한 끊임없이 움직이는 것으로 나온다. 뇌만 무사하다면 신체의 모든 신경이 ... ...
이전3053063073083093103113123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