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아지
개새끼
강아지새끼
도그
개봉
첫상연
잡종개
d라이브러리
"
개
"(으)로 총 16,270건 검색되었습니다.
독감 백신은 왜 매년 맞아야 할까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3가 백신 1종, 4가 백신 1종이 세포 배양 백신이다. 동물의 세포를 이용하는 방식이어서 2~3
개
월이면 백신을 생산할 수 있고, 항생제도 투여할 필요가 없다. 유정란 백신에 비해 생산 기간이 짧아 신종플루 같은 변종 독감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것도 장점이다 ... ...
26
개
뼈와 33
개
관절의 정교한 하모니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본인이 평발인지 아닌지에 지나치게 집착할 필요는 없다. 안 교수는 “발의 모양은
개
인차가 크다”며 “아치 구조만이 달리기 능력에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게다가 아치가 어느 정도로 낮아야 평발이고, 어느 정도로 높아야 요족인지 분류하는 명확한 의학적 기준도 사실 없다.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우주인이 된 의사 로버트 써스크(Robert Thirsk)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자녀들의 탄생석을 넣은 특별한 반지에 우주 미션을 새겨 우주로 가져간 것이다. 6
개
월간 우주에 다녀온 반지를 평생 간직할 아이들에게는 자랑스러운 아빠를 기억할 아주 좋은 선물이 됐으리라 생각한다. 아내에게는 “ISS가 집 근처 밤하늘을 지날 때 특별히 불을 켜서 반짝이게 하겠다”는 아주 ... ...
[과학뉴스]토성의 위성 색깔이 서로 다른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8호
토성의 위성 색깔이 서로 다른 이유는? 지난 3월 28일, 미국항공우주국(NASA) 보니 버래티 박사팀은 토성의 위성이 서로 다른 모양과 색깔을 갖는 이유를 밝혔다고 발표했어요. 지 ... NASA는 ‘그랜드 피날레’라고도 알려진 카시니호의 마지막 탐사 결과를 4월 중 또 공
개
할 예정이랍니다 ...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모래알이 몇
개
모여야 더미일까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8호
그것을 모두 없앨 수 없어요. ‘모래알’도 사실 모호한 낱말이에요. 규산염 분자가 몇
개
모여야 모래알이라고 할 수 있을까요? 과학에서 모호한 낱말을 모두 없앨 수 없다면 우리는 모호한 낱말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요? 오늘의 생각실험은 여러분께 이런 문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면 좋을지 ... ...
천 년의 기록이 밝힌 태양의 비밀
수학동아
l
2019년 08호
짧으면 그 해는 추운 것이고, 길면 따뜻한 겁니다. 그런데 조선 때 남긴 서리 기록 700
개
를 조사하자 서리가 급격히 줄어든 시기도 240년 주기성을 보였습니다. 태양의 흑점 활동이 기후 변화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이 드러난 겁니다. 태양 흑점의 수가 늘어날 때 지구 기온이 낮아지는 거라면 언제 또 ... ...
스냅챗? 알고 보면 ‘數’냅챗! 아기 얼굴 만드는 비결
수학동아
l
2019년 08호
수 있겠죠? 얼굴을 찾는 기술은 필터뿐 아니라 더 많은 곳에 활용될 예정입니다. 김 수석
개
발자는 “PC에서는 이목구비 뿐 아니라 피부의 질감까지 포착할 수 있고 3차원 정보도 지각할 수 있다”며, “성형 수술하면 얼굴이 어떻게 변할지 미리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고 말했습니다. 최근 아기 ... ...
학구파
수학동아
l
2019년 08호
결과를 임의로 작성했기 때문이라는 사실이 밝혀졌죠. 저는 이 과정에서 확률이 중요한
개
념이라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그래서 그 이후로 ‘과학의 대상은 확률로 묘사해야 한다’라는 확률론을 제시했습니다. 그 덕분에 저를 현대 수리통계학의 창시자 중 한 명으로 꼽지요 ... ...
[맛있는수학] 피보나치도 울고 갈 파인애플 볶음밥
수학동아
l
2019년 08호
잎사귀가 나오기까지 5번의 피보나치 수의 나선을 갖고, ❶번과 ❾번 사이의 잎사귀
개
수도 8장으로 피보나치 수다. 식물의 생장 비밀을 파헤쳐라!이 정도면 식물들이 그야말로 피보나치 수열을 바탕으로 자라고 있다고 말할 수 있겠죠? 그러면 왜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 걸까요? 식물 생장의 ... ...
[오일러 프로젝트] 오각형 마방진을 풀어라!
수학동아
l
2019년 08호
들어가는 수들 중에 가장 작은 수는 되도록 커야 한다. 따라서 10부터 수가 큰 순서대로 5
개
의 수를 바깥쪽에 둬야 6으로 시작하는 큰 수를 만들 수 있다. 그리고 나머지인 1부터 5까지의 수는 노란색 오각형에 배열돼야 한다. 이렇게 손으로 써 가며 답을 찾을 수 있지만, 노란색 오각형에 수를 ... ...
이전
309
310
311
312
313
314
315
316
3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