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으)로 총 16,270건 검색되었습니다.
- [스미스의 탐구생활] 엘리베이터의 변천사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원리를 배워보자! ‘디스커버리 구슬아 달려라! 마블런 엘리베이터 만들기’ 의 311개의 부품으로 나만의 구슬 미끄럼틀과 간단한 엘리베이터를 만들어 봐요. 그 과정에서 ‘톱니바퀴’와 ‘축바퀴’의 원리도 배울 수 있어요. 톱니바퀴는 톱니의 맞물리는 힘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장치예요. ... ...
- 한국우주전파관측망(KVN) 구축 10주년 4개의 눈으로 우주를 보다과학동아 l2019년 10호
- “해외 연구자들이 자국의 망원경으로 관측한 결과를 발표하는 걸 볼 때 부러웠죠.”10년 전, 해외 천문학자들이 수천만 광년 떨어진 천체를 자국의 전파관측망으로 연구하고 그 결 ... 대한 자부심도 크다. 그런 독일과 이제는 어깨를 나란히 하고 있다는 사실이 감개무량하기만 하다 ... ...
- 로봇에게 희로애락이란 프로그래밍에 의한 반응일 뿐과학동아 l2019년 10호
-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To be continued. 한재권한양대 로봇공학과 교수다.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을 비롯해서 인간과 로봇간의 상호작용 연구를 활발하게 수행하고 있다.jkhan@hanyang.ac ... ...
- 이탈리아 최초, 유럽 여성 우주인 최장 기록 세운 사만다 크리스토포레티과학동아 l2019년 10호
- 뜻이다.순간 2008년 내가 우주에 갈 때 한국의 대표 음식인 김치를 우주 식품으로 개발하기 위해 많은 연구자들이 노력했던 사실이 떠올랐다. 우리에게 김치가 있었다면, 이탈리아 사람들에게는 그게 에스프레소였겠구나 하는 생각과 함께.사만다는 2015년 비행을 마친 뒤에도 훈련과 연구를 계속하고 ... ...
- Q. 방류하면 1년 안에 동해가 오염된다?과학동아 l2019년 10호
- 그는 “해양방사능 감시체계를 제주도 남방 지역까지 확대해 총 32개 지점에서 적게는 3개월에 1번씩, 많게는 2주에 1번씩 해수의 변화를 관측하고 있다”며 “장단기 변화를 종합적으로 평가하면 오염수 유입 여부를 정확하게 알고 대응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 ...
- [프로듀스X101] 투표 조작 의혹 한방에 정리하는 수학 정리수학동아 l2019년 10호
- 꼴로 바꿔 나타낼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특히 7494와 7495에 각각 곱하는 자연수 2개의 합은 7494.442에 곱하는 수 n과 같다는 것도 알아냈습니다. 즉 이 말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위에 정의한 식을 이용하면 네티즌이 제기한 의혹이 모두 해결됩니다. 우선 임의의 두 연습생의 ... ...
- [수학미술관] 브릭캠퍼스~ 브릭아트의 비밀은 수학수학동아 l2019년 10호
- 됐습니다. LDD 이외에도 브릭을 디자인 프로그램은 많이 있습니다. 대부분이 무료로 공개돼 있는데요, 브릭 아티스트들은 이런 프로그램을 이용해 디자인한 뒤 브릭에 모터와 센서, LED 라이트 등을 이용해 움직이는 기계장치인 레고 오토마타를 비롯해 여기 전시장에 있는 작품까지 만든 겁니다 ... ...
- 산호와 맹그로브의 천국 태평양해양과학기지에서 꿈을 찾다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수 있는 시간이었다.이상진 군(경기 충훈고 2학년)은 “원래는 유전자 재조합으로 식물을 개량해 아프리카의 기아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는 연구를 하고 싶었다”며 “이번 캠프에서 다양한 해양동물을 보며 심해생물을 연구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생물을 해부하며 ... ...
- [출동!기자단] 유산균이 태어나는 곳, 쎌바이오텍 연구소를 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0호
- 뭔가 바쁘게 돌아가고 있는 게 보이나요?” 탱크 안쪽에선 풍차처럼 생긴 날개 여러 개가 빙글빙글 돌아가며 유산균을 잘 섞어주고 있었어요. 탱크 안쪽의 온도가 38℃, pH가 6.47로 유산균이 발효하면서 증식하고 있었지요. 발효는 유산균이 포도당과 같은 당을 영양분으로 쓰고, 결과물로 젖산을 ... ...
- 블랙홀을 찾아낸 사람들에게 묻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있는 전파 천문대가 이미 EHT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관측을 시작했고, 2021년까지 2개의 천문 대가 더 참여할 예정이지요. 그럼 이번에 발표한 것보다 더 나은 블랙홀 이미지를 얻을 수 있을 거예요. 현재 EHT 연구팀은 우리 은하 중심의 블랙홀인 ‘궁수자리 A*’의 이미지를 얻으려 하고 있어요. 빠르게 ... ...
이전3053063073083093103113123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