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약"(으)로 총 10,715건 검색되었습니다.
- [스미스의 탐구생활 2화] 우주를 향해 로켓을 날려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땅을 밀고 올라가는 힘도 커지지요. 일반적으로 로켓 안에서 태워진 연료의 압력은 약 200기압, 온도는 최대 3700℃ 정도나 된답니다.식초와 베이킹 소다로 스미스소니언 로켓을 날려 보세요!식초와 베이킹 소다만 있으면 친구들도 로켓을 직접 날려볼 수 있어요. 이 두 재료가 만나면 추력이 ... ...
- [과학뉴스] 국내 연구진, 지구질량 외계행성 발견!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찾는 시스템이다.이충욱 천문연 변광천체그룹 책임연구원팀은 우리은하 중심부를 약 9분 간격으로 조밀하게 관측한 결과, 미시중력렌즈현상에 의해 2시간 반 동안 일시적으로 밝기가 변하는 현상을 검출했다. 중력렌즈현상은 보이지 않는 천체의 중력에 의해 별빛이 휘어져 원래 밝기보다 밝아지는 ... ...
- [포커스 뉴스] 랜섬웨어 ‘워너크라이’가 특별한 이유?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이미 세계적으로 존재가 알려진 뒤라 전파 속도는 현저히 줄어들었다. 김 연구원은 “만약 실수로 킬 스위치를 만든 것이라면 정말 아마추어가 뒷걸음 치다 쥐 잡은 격이고, 일부러 넣었다면 진짜 목적에 대해 해석할 여지가 많다”고 말했다.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5월 14일 사이버위기 ... ...
- [Future] 우주의 모든 유원지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강도를 피부로 느끼면서, 부디 자신이 마지막 불멸자는 아니기를 바랐다.하지만 만약 내가 마지막 불멸자라면, 단 하나의 역사를 우주에 남겨야 한다면, 난 무엇을 남겨야 할까?고대 역사에 관한 링크가 영원히 사라지는 순간을 남겨야 하지 않을까?노마는 찰나의 순간에 두뇌를 스치고 지나간 ... ...
- [Future] 잠 테크놀로지 시대, 숙면 위해 ○○하라!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들어보자. 기자의 경우 몸통과 엉덩이에 하중이 집중돼 있고 허리 쪽은 깊이가 얕다. 만약 무른 매트리스를 쓴다면 몸통과 엉덩이가 매트리스를 많이 누르게 되고, 매트리스가 허리를 제대로 받쳐줄 수 없다. 박 과장은 “미국인은 한국인에 비해 척추의 굴곡이 심한 편이라(위 그림의 3 번에 해당), ... ...
- [Origin] 영국 쿼드람 인스티튜트 바이오사이언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몰려 있습니다. 일하는 과학자와 임상의사만 1만 1000명이 넘는다고 해요(QIB 자체 인원은 약 150명). 한 해에 사용하는 연구비도 1억 파운드(약 1434억5700만 원)로 어마어마합니다.노리치를 방문할 계획이 있다면 10월에 가는 것을 추천합니다. 21일부터 29일까지 큰 과학축제가 열리기 때문입니다. ... ...
- Part 1. 암의 절대다수는 ‘무작위’로 온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있는 중개연구가 주된 관심사이며, 유전체 분석 기업 테라젠이텍스 바이오연구소 및 신약개발 기업 메드팩토에서 임상시험본부장을 역임하고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암(癌) 지독한 랜덤 게임?Part 1. 암의 절대다수는 ‘무작위’로 온다Part 2. 암세포가 서로 협력한다고?Part 3. 암 ... ...
- Intro. 인류 키운 빵, 그 4000년의 진화 효모 사피엔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다르다. 하지만 순위를 매기기 어려울 만큼 각자 맛있는 개성을 뽐낸다. 빵은 기원전 약 2000년 전부터 인류를 키웠다. 이보다 훨씬 전에 사람이 먹었던 단순한 밀가루 반죽에 숨을 불어 넣은 건 바로 효모다. 지금보다 훨씬 맛있고 건강한 빵에 대한 열쇠도 효모가 쥐고 있다. 앞으로 효모는 어떤 ... ...
- Part 1. 문명이 낳고 과학이 키우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밀가루가 원활하게 공급됐다. 그러니까 우리나라에서 실질적인 빵 역사는 지금까지 약 70년 동안으로 볼 수 있는 셈이다.하지만 아시아의 모든 나라가 서양으로부터 빵과 제빵 기술을 전해 받은 것은 아니다. 중국에서는 기원전 2000년경부터 밀을 재배했으며, 밀가루를 이용해 빵을 만들었다. 중국과 ... ...
- [과학뉴스] 고양이 발바닥과 랍스터가 반짝!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이때 별들의 뜨거운 에너지가 주위 수소 기체로 전달돼요. 그 결과, 태양 에너지보다 약 10배 더 많은 에너지를 방출하며 붉게 빛나게 된답니다.이번에 발표된 성운들은 유럽남방천문대가 공개했던 사진들 중 가장 크고 선명해요. 가로 4만 9511 픽셀과 세로 3만 9136 픽셀을 곱해 무려 20억 픽셀 정도의 ... ...
이전3083093103113123133143153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