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약"(으)로 총 10,71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암세포가 서로 협력한다고?과학동아 l2017년 06호
- 환경에 맞는 새로운 서브클론이 생긴다. 이런 식으로 서브클론의 수는 자꾸 늘어난다. 만약 특정 서브클론에 맞춘 항암치료를 시작하면, 기존에 없던 서브클론이 생겨나 주류로 떠오른다. 암과 싸우는 전략이 과거보다 훨씬 복잡해져야하는 이유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암(癌) 지독한 ... ...
- Part 3. 최고의 빵 만드는 ‘태양의 손’은 누구?과학동아 l2017년 06호
- 화학팽창제는 반죽을 발효시키지 않는다. 물과 열을 가했을 때 화학반응이 일어나면서 약간의 이산화탄소가 생긴다.발효가 끝난 반죽을 손바닥으로 두드리자 아기 엉덩이처럼 토실토실하면서도 탱탱했다. 상셰 제빵장은 통통하게 살이 오른 반죽 표면에 고운 밀가루를 뿌렸다. 그리고 칼로 반죽의 ... ...
- [과학뉴스] 지구랑 꼭 닮은 외계 행성 7개 찾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것처럼 트라피스트-1 주변을 돌고 있답니다.●1광년 : 빛의 속도로 1년을 이동한 거리. 약 9조 4670억 km에 해당한다.연구팀은 트라피스트-1 앞을 주기적으로 지나가는 7개 행성을 발견했어요. 트라피스트-1의 밝기가 변하는 것을 보고 앞을 지나가는 행성들을 찾아낸 거죠. 이런 관측법을 ... ...
- [과학뉴스] 방사성 물질에 오염된 물 미생물로 깨끗하게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먹힌 방사성 요오드가 금 나노입자에 들러붙는다. 연구팀은 30분 이내에 방사성 요오드를 약 99.9% 없애는 데 성공했다. 이 기술로 항암치료에서 발생하거나 뜻하지 않은 원전 사고로 노출될 수 있는 방사성 폐기물을 제거할 수 있을 전망이다. 이 연구 결과는 영국왕립화학회가 발간하는 학술지 ... ...
- [과학뉴스] 고인류 호모 날레디, 현생 인류와 공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공존했을 가능성이 높아졌다.연구팀은 최근, 호모 날레디가 처음 발견된 구덩이로부터 약 100m 떨어진 또 다른 구덩이에서 성인 두 명과 어린이 한 명 등 최소 세 명의 것으로 보이는 호모 날레디의 뼛조각 130여 점을 추가로 발굴하기도 했다.호크 교수는 “이번 추가 발굴로 호모 날레디가 멀고 ... ...
- [Future] 누나 드론 차 뽑았다, 널 데리러 가♪과학동아 l2017년 06호
- 114년 전, 라이트형제가 만든 인류 최초의 비행기는 1인승이었다. 그동안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했고, 지금은 수백 명이 탑승하는 2층 항공기까지 개발 ... 멋지게 이륙해 SF 영화에서 꿈꾸던 새로운 시대를 열까, 아니면 또 한 번의 도약을 기약하며 잠시 날개를 접어야 할까. 지켜볼 일이다 ... ...
- [Issue] 나폴레옹이 6월에 전쟁을 떠난 이유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날씨는 결정적인 요소로 작용한다. 그리고 전쟁의 승패는 지금의 세계사를 완성했다. 만약 그때 전쟁의 시기를 6월로 잡지 않았더라면 지금과는 많이 다른 세계사를 공부하고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미국의 장군이자 대통령이었던 드와이트 아이젠 하워의 말로 글을 맺는다.“훌륭한 장군은 ... ...
- [Issue] 슈퍼박테리아 비상, 그런데… 한국엔 재래식 무기만 있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조금만 아파도 약을 먹는 습관도 문제지만 아프다가 조금 괜찮아졌다 싶으면 스스로 약을 중단한다. 이건 몸속에 내성균 생산공장을 마련해 주는 것”이라며 “의사와 의견을 조율해 시기와 복용량을 조절해야 한다”고 말했다. + 더 읽을거리‘내성이 생기지 않는 새로운 항생제’ doi:10.1038 ... ...
- Part 3. 암 치료, 두 가지 트렌드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있다. 또 면역 조절 치료가 듣지 않는 환자들의 내성 기전을 연구해 이를 극복하는 약제를 개발 중이다. +더 읽을거리in 과학동아 31년 기사 디라이브러리(정기독자 무료)특집 3파트 ‘쓰레기 RNA가 암 정복한다’ (2015.8) dl.dongascience.com/magazine/view/S201508N004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 ...
- Part 2. 세계 최초의 빵을 재현하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토기와 화덕…, 심지어 수도였던 테베에서는 멘투호테프 2세의 무덤을 발굴하던 중, 약 4000년 된 빵의 화석도 발견됐다. 당시 빵의 종류는 40가지가 훨씬 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고대 이집트의 빵 맛은 과연 어땠을까. 서진호 서울대 식품·동물생명공학부 교수는 “현대의 빵보다 신맛이 강한 ... ...
이전307308309310311312313314315 다음